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8 No.4 pp.13-23
https://doi.org/10.12811/kshsm.2024.18.4.013

복지관 내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기초체력 및 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정현정1, 손태용1, 김선화2, 이혜지2
1유한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2궁동종합사회복지관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a Health Promotion Program in a Welfare Center on the Basic Physical Strength, Depression, and Stress of Older Adults

Hyun-Chong Chong1, Tae-Yong Sohn1, Sun-hwa Kim2, Hye-ji Lee2
1Department of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Yuhan University
2Gungdong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in a health promotion program at a welfare center on the basic physical strength, depression, and stress of older adults.


Methods:

Twenty-seven older adults from the welfare center engaged in a 12-week health promotion program, with data analyzed using the SPSS/WIN 27.0 software.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assessed using specific survey tools for basic physical strength, depression, and stress, and a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pre- and post-program evaluations.


Results:

The data confirm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improvements in the basic physical strength, depression, and stress levels of older adults. Firs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our out of six physical strength factors (p < .05). Second, the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depression and stress levels (p < .05).


Conclusions:

Health promotion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the scope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should be expanded to cover various areas.



    Ⅰ. 서론

    우리나라의 급속한 고령화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통계청(2023)이 발표한 대한 민국의 주요 인구 지표에 의하면 2023년 65세 이 상 인구는 9백 93만 8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18.4% 를 차지하고 있다[1]. 또한 전체 노인 인구 중 독 거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8.5%이며, 2025년에는 20%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 된다(2023, 통계청).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의 Global Health Observatory : Risk Factors : 2012에 따르면 현대 사회에서는 운동 부족, 과도한 음주, 흡연, 잘못된 식습관, 스트 레스 등의 요인이 만성질환을 증가시키며[2], 결국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초고령화 사회로 의 변화는 만성질환에 대한 취약성으로 건강이 사 회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건강한 노년을 위해서는 신체활동과 체력 유지 및 증진이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3]. 노인실태 조사(2020)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84.0%가 1 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1개 보유하 고 있는 노인은 29.2%, 2개는 27.1%, 3개 이상은 27.8%였다. 또한, 평소 운동을 하는지에 관한 질문 에 대해 53.7%는 운동을 하며, 46.3%는 운동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권장수준 이상(1주 150분 이상)의 운동 실천은 37.6%이고, 16.1%는 권 장 수준 미달의 운동을 하고 있어 노인의 건강관 리에 대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한 상황이다[4].

    한편, Oh[5]의 연구에 따르면, 성공적인 노화와 웰다잉(well dying)을 위해 우울증 관리가 중요하 다고 여겨지며 우울증 관리를 위하여 좌식생활의 시간을 줄이며 신체활동의 시간을 늘리며 규칙적 인 운동에 참여하는 활동적인 노화가 중요할 것이 라고 하였다. 또한 스트레스와 우울을 줄이는 방법 으로 운동은 안전하며, 저비용으로 효과를 볼 수 있는 활동으로 노르에피레프린의 분비량을 증가시 켜 기분을 완화하고, 우울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6].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 보면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운동참여는 정서반 응 즉, 운동 활동을 통해 부정적인 정서를 정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pielbeger, 1987).

    이와 같이 노인들은 노화과정을 겪으며 신체적, 생리적, 정신적 기능의 퇴화, 그리고 주변 친구들 의 건강문제, 죽음을 보며 느끼는 공포, 무기력증, 박탈감, 외로움 등 심리적 문제를 겪고 있는데 이 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국 각 지자체마다 보건소, 복지관, 노인복지관을 통해 노인의 건강증 진을 위해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 다[7]. 따라서 이러한 노인들의 건강증진 운동프로 그램 참여가 기초체력을 증진시키고 우울과 스트 레스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지 살펴볼 필요 가 있다.

    건강관리에 대한 요구는 이미 여러 선진국에서 도 고령사회에서의 보건의료복지의 목표를 건강 수명의 연장, 건강의 불평등 해소 및 삶의 질 개선 을 핵심과제로 선정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건강 노화’ 달성을 위해서는 이미 일상생활 동작 기능에 장애가 생긴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장기 요양서비스 제공보다는 현재 지역사회에서 독립적 인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건강한 노인을 더욱 건 강하게, 또는 일상생활 기능이 저하되고 있는 허약 과정의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 수준을 향상하고 유 지 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노인복지관 이용자들 또한 공통적으로 노인 운동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다. 신체활동이 부족한 노인들은 근력 감소와 고밀도 저하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근력과 유연성 및 순발력 등의 체력저하로 이어져 일상생 활 수행능력의 지장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질병 예방에 대한 맞춤형운동의 효과성이 강조되고 있 으며,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8].

    기존 우리나라 노인복지시설에서 진행되는 운동 프로그램의 경우 웰빙요가, 기체조, 댄스스포츠와 같은 흥미 위주에 여가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노인의 건강 상태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러나 운동을 단지 신체변화에만 연관시키는 관점 에서 벗어나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하고 이해하는 연구의 시도[9]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건강 향상 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있어 보 건교육사, 사회복지사, 생활체육지도사, 보건과 복 지 관련 전문가에 의해 개발된 건강증진 운동프로 그램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고 판단되어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구로구 내 G복 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의 복지관 내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기초체력 및 우울,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 하고자 한다. 더불어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를 위한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기 초체력, 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구로구 G복지관에 등록 된 65세 이상 노인으로서 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 하고, 인지장애가 없고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할 것을 동의한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2주 동안의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최 종 연구대상자는 총 27명이었으며 탈락률은 10%이 었다. 탈락이유는 기저질환(무릎수술, 고혈안, 당뇨, 기타 수술)으로 인한 운동 참여 후 나타나는 통증 이나 두려움 등이 있었다. 이 연구에 관련하여 사 전조사에서 연구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았으 며(승인번호P01-202309-01-010), 연구 참여자에게도 엄격한 고지된 동의 절차를 거쳤다.

    3. 측정도구

    1) 기초체력 측정

    연구 참가자의 기초체력 측정을 위하여 국민체 육진흥공단 국민체력 100에서 제시한 측정항목을 활용하였으며, 신체조성, 심폐지구력, 근지능(상지), 근지능(하지), 유연성, 평형성, 협응력 순으로 진행 되었다. 건강 체력 항목 4가지, 운동 체력 항목 2 가지를 측정하였으며, 총 6가지 항목의 체력측정을 실시하였다. 연령대별 기록에 따른 등급을 측정하 는데, 3등급을 상위등급으로 하여 등급의 수가 높 을수록 체력이 향상되었다고 정의하였다.

    (1) 심폐지구력 – 6분 걷기(m)

    연구 참여자는 시작 신호와 함께 우측 발부터 시작하여 양발 모두 완전하게 걸었을 때를 1회 계 수로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2) 근지능(상지) – 상대악력(%)

    연구 참여자는 팔을 곧게 펴고 몸통과 팔을 15 도로 유지하면서 힘껏 잡아당겨 5초간 유지하며, 좌·우 교대로 2회씩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3) 근지능(하지) –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30 초/회)

    연구 참여자는 시작 신호와 함께 완전히 일어섰 다가 완전히 앉은 자세로 되돌아오며, 30초 동안 완전히 일어선 총 횟수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4) 유연성 – 앉아윗몸 앞으로 굽히기(cm)

    연구 참여자는 측정 기구 위에 손바닥이 닿고 무릎을 구부리지 않도록 하여 상체를 숙여 최대한 앞으로 멀리 뻗어 수치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5) 평형성 – 3m(초)

    연구 참여자는 시작 신호와 함께 의자에서 일어 나 가능한 한 빨리 걸어서 3m 거리의 고깔을 돌 고 다시 의자로 돌아와 앉는 시간을 측정하여 기 록하였다.

    (6) 협응력 – 8자보행(초)

    연구 참여자는 사각형 앞 모서리 중앙에 있는 의자에 앉아서 대기하다가 시작 구호에 따라 오른 쪽 후방에 있는 고깔에 돌아 의자에 앉고, 쉬지 않 고 다시 의자에서 일어나 왼쪽 후방에 있는 고깔 을 돌아 의자에 앉는 시간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2) 우울 척도

    우울척도 검사는 Radoff(1977)가 개발하고, 전겸 구(2001)가 활용하여 타당도가 입증된 한국판 CES-D를 사용하였다. 우울관련 문항은 심리정서적 안정을 평가하는 도구로 현재 자신의 기분상태에 대해 3가지 문항을 질문하여 1개 이상 해당하는 경우 우울척도검사(CES-D)를 진행한다. 여기에서 우울척도 검사는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각 문항에 대해 지난 1주일 동안 얼마나 자주 느꼈는지, 또는 지속기간을 기준으로 응답하게 되 어 있다. 모든 문항에 대해 ‘극히 드물다(1주일 1 일이하)’는 0점, ‘가끔 있었다(일주일 1-2일간)’는 1 점, ‘종종 있었다(일주일간 3-4일간)’는 2점, ‘대부분 그랬다(일주일 5일이상)’는 3점으로 각 문항을 0~3 점으로 채점하여 모든 항목의 점수가 합산되어 총 점은 0점~60점까지이며 이 점수가 낮을수록 우울 증상이 없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조맹제와 김계희 (1993)의 연구에서는 임상적 우울의 최적 절단점을 25점으로 제시하였는데, 더 구체적으로 우울증을 구분하면, 합산 점수가 0-15점은 ’정상‘, 16-20점은 ’경미한 우울‘, 21-24점은 ’중한 우울‘, 25-60점은 ’ 심한 우울‘로 분류된다. 우울증 도구의 신뢰도 Cronbach α값은 0.91이었다.

    3) 스트레스 척도

    스트레스 척도는 Cohen 등(1983)이 개발하고, 박준화와 서영석(2010)이 표준화한 것으로 총 10문 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뢰도 Cronbach’s α는 0.84이었다. 부정적 지각과 긍정적 지각의 2개 하 위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0점부터 4점까지 5점 리 커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정의하였다.

    4.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본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은 노인의 운동에 대 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성하였다.‘건강증진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신체화 증상 및 인지장애 에 미치는 영향[10]’에서 제시한 내용을 근거로, 보 건교육사, 사회복지사, 생활체육지도사, 보건과 복 지 관련 교수로부터 본 운동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운동유형의 적절성, 각 전문 인력의 역할 등 에 대한 논의 과정을 거친 후 수정·보완하여 개발 하였다<Table 1>. 프로그램 참여 기간은 생활양식 변화 보건프로그램에서 행동이 변화되어 정착되기 까지 최소한 12주 이상의 지속이 바람직하다는 연 구결과를 반영하여 주1회 12주로 산정하였다[11]. 사회복지기관 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 프로그 램(체조, 단전호흡 등)은 통상적으로 운영되나, 국 민체력100 홈페이지에 기재된 내용의 사전검사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체력검사 결과에 따른 집단운 동을 설정하여 근력 및 근지구력 심부근육을 안정 화시키는 코어강화운동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Table 1>

    Overview of health promotion program(once a week)

    Week Contents of program Duration

    1 - Orientation of the program progress Contents of program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Main exercise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 30min
    -Lower limb strength training exercise
    Cool-dowm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2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Main exercise -Band/Chest, Back stretch exercise 30min
    -Band/Shoulder strength exercise
    -Band/Calf strength exercise
    Cool-dowm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3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Main exercise -Band/Ankle ligament strengthening exercise 30min
    -Band/Gluteu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Band/Hamstring strength
    Cool-dowm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4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Main exercise -Aerobic exercise/Full-body workouts 30min
    -Gymball/Hamstring Strength
    -Gymball/Chest, Shoulder isometric exercise
    -Gymball/Femoral adductor isometric exercise
    Cool- dowm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5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Main exercise -Gymball/Pelvis stretch 30min
    -Gymball/Side band strength
    -Gymball/Quadriceps strengthening exercise
    Cool-dowm exercise -Gymball/Gluteu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6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Main exercise -Finger, Wrist, Forearm relaxation stretch 30min
    -Dumbbell/Triceps strengthening exercise
    -Dumbbell/Latismus dorsi strengthening exercise
    -Dumbbell/Chest strengthening exercise
    Cool-dowm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7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Main exercise -Dumbbell/Erector spinae strengthening exercise 30min
    -Dumbbell/Triceps strengthening exercise
    -Dumbbell/Deltoids strengthening exercise
    Cool-dowm exercise -Dumbbell/Calf strengthening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8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Main exercise -Pilates ringl/Side band Strength 30min
    -Pilates ringl/Chest Isometric exercise
    -Pilates ringl/Femoral ad, Abduction strengthening exercise
    -Pilates ringl/ Hamstring, Calf Strength
    Cool-dowm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9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Pilates ringl/Walking aerobic exercise 30min
    Main exercise -Pilates ringl/Hip joint Flexibility
    -Pilates ringl/Femoral ad, Abduction strengthening exercise
    -Pilates ringl/Gluteus, Cor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Cool-dowm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10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Main exercise -Stretch-Body 30min
    -Strengthening the lumbar spine and glutes
    -Band/Shoulder and arm strength training
    -Abdominal exercise
    Cool-dowm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11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Main exercise -Stretch- Body 30min
    -Strengthening the lumbar spine and glutes
    -Chair squat
    -Chair leg extention
    Cool-dowm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12 Warm-up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Main exercise -Stretch&Exercise to review the exercise 30min
    Cool-dowm exercise -Walking in place 10min
    -Cervical spine stretch/Hip joint stretch

    프로그램 순서는 강도가 낮은 맨손운동을 시작 으로 소도구 적응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소도구를 활용한 운동까지 강화하였으며, 탄성 밴드를 활 용한 운동은 잡는 위치에 따라 자신의 체력수준에 맞추어 강도 조절이 용이하고, 노인의 근력 향상에 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12]. 또한, 두 가지 이상의 운동 형태를 결합하 였으며, 한 가지 운동에 흥미를 잃기 쉽고 중도 포 기가 많은 노인운동에서는 여러 가지 변화를 주며 꾸준히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으로 구성된 복합운 동은 한 가지의 운동 형태보다 효과적이라고 말하 고 있다[13].

    이에, 다양한 소도구를 활용하여 반복횟수와 중 량을 증감시켜 운동 강도의 높낮이를 적절히 변형 하여 실시하였고, 실생활 속에서 반복적으로 활용 가능한 소도구를 중심으로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을 개발하였다.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의 참여자는 12주간 운동프로그램의 참여와 동시에 가정 내 반 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를 배포하여 일상생활 속 자가건강관리가 지속될 수 있도록 지 도하였다.

    5.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2주간의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상태 변화 측정을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등을 분석하였 다. 또한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의 성과는 각 조사 도구(기초체력, 우울증정도, 스트레스)의 프로그램 사전평가와 사후평가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 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1.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개입의 성과

    1) 조사도구별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개입의 성과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들 을 대상으로 각 조사도구(기초체력, 우울증 정도, 스트레스)의 프로그램 실시 이전 사전평가와 프로 그램 실시 이후 사후평가의 성과 차이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Pre and Post evaluation analysis of health promotion program interventionUnit: Mean±SD

    Variable N Pre Evaluation Post Evaluation Z-value P-value
    Basic physial strength 27 7.22± 0.60 8.96±2.31 -4.095 .000
    Depression 27 18.63±10.04 14.81±8.62 -4.397 .000
    Stress 27 18.41± 4.82 15.67±4.16 -4.219 .000

    연구대상자의 기초체력 사전평가 점수는 평균 7.22점에서 사후평가 8.96점으로 높아 체력이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우울증 사전평가 점 수는 평균 18.63에서 사후평가 점수 평균 14.81점 으로 낮아 우울 증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하였으며, 스트레스는 사전평가 점수 18.41점에서 사후평가 점수 15.67점으로 낮아 스트레스가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개입의 기초체력 성 과

    연구대상자의 기초체력의 세부항목별 성과를 살 펴보면 <Table 3>과 같다. 근기능 상지와 하지의 사전평가 각각 1.44점, 1.15점에서 사후평가 1.89점, 1.56점으로 근기능 체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 상되었다. 유연성 사전평가 평균 1.30점에서 사후 평가 평균 1.74점, 평형성 사전평가 평균 1.07점에 서 사후평가 평균 1.41점으로 유연성과 평형성 모 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심폐지구력과 협응력의 사전, 사후평가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다.

    <Table 3>

    Pre and Post evaluation analysis of basic physial strength of health promotion program intervention Unit: Mean±SD

    Variable N Pre Evaluation Post Evaluation Z-value P-value

    Muscle function (upper limb) 27 1.44±0.64 1.89±0.84 -2.472 .013
    Muscle function (lower extremities) 27 1.15±0.36 1.56±0.69 -3.317 .001
    Cardiopulmonary endurance 27 1.22±0.50 1.33±0.55 -1.134 .257
    Flexibility 27 1.30±0.61 1.74±0.81 -3.207 .001
    Equilibrium property 27 1.07±0.27 1.41±0.63 -2.714 .007
    Coordination 27 1.04±0.19 1.04±0.19 .000 1.000

    3) 연구대상자의 우울 변화

    우울증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건강증진 운동프 로그램의 사전평가와 사후평가를 비교한 결과‘심한 우울’경우 사전평가에서는 5명(18.5%)이었으나 사 후평가에서는 4명(14.8%)으로 감소하였다.‘중한우 울’은 3명(11.1%)에서 1명(3.7%)으로 ‘경미한 우울’ 은 7명(25.9%)에서 3명(11.1%)으로 감소하였다. 이 와 반대로‘정상’은 12명(44.4%)에서 19명(70.4%)으 로 증가하였다<Table 4>.

    <Table 4>

    Pre and Post evaluation analysis of depress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interventionUnit: N(%)

    Variable Pre Evaluation Post Evaluation

    Normal(0-15) 12( 44.4) 19( 70.4)
    Mild depression (16-20) 7( 25.9) 3( 11.1)
    Moderate depression(21-24) 3( 11.1) 1( 3.7)
    Exterme depression(25-60degree) 5( 18.5) 4( 14.8)

    Total 27(100.0) 27(100.0)

    Ⅳ. 고찰

    본 연구는 12주간 복지관 내 건강증진 운동프로 그램 참여가 노인의 기초체력측정(근기능상지, 근 기능 하지, 심폐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협응력), 정서기능에 해당되는 우울, 스트레스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기 초체력 요인 6가지 중 4가지 근기능(상지), 근기능 (하지), 유연성, 평형성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노인의 기초체력측정은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민 체력 100에서 제시한 측정항목[14]을 활용하였으 며, 근기능(상지), 근기능(하지), 유연성, 평형성 항 목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 과는 초고령자를 대상으로 유연성과 저항운동으로 인한 반복적 근력운동이 노인의 활동량 증가 및 체력 수준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7] 연구와도 유사한 맥락이었다. 만 65세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소도구 운동프로그램이 신체조성, 일상생 활체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와 같은 맥락 이라 할 수 있다[15]. 향후 우리나라의 초고령자 인구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므로 이들을 대상 으로 한 체력, 신체활동 등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 발은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에 효과적이며 의료비 감소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 연구인 지속가능한 맞춤형 복지전략 도입방안[16] 에서는 OECD(2011 Health Deta) 보고를 통한 한 국의 의료비 지출은 2009년 73.7조원으로 GDP 대 비 6.9%를 차지하고 있으며 2050년에는 26%로 예 측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생활체육참여자(267,800 원)가 비참여자(556,600원)보다 의료비용을 52%정 도 적게 지출되는 것을 보아 생활체육 참여 시 의 료비 지출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어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기초체력 증진과 나아가 의료비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 된다.

    둘째, 12주간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노 인의 우울지수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 을 주었으며,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참여 전·후 비교를 세부적으로 실시한 결과 우울의 단계 변화 에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05). 이러한 연구 결과는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제공이 노인들의 우울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10]와 일치하였으며, 여성노인의 복합운동 참여가 우 울 지수의 전·후 유의미한 감소가 있으며, 실험전 우울의심 단계에서 실험 후 일반적 우울 의심 증 상이 없는 단계로 하향하였다는 선행 연구[17]와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im[18]의 노인 여 성들을 대상으로 한 단전호흡과 걷기 운동 참여 또한 운동 참여 전에 비해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 였음을 확인하였다. 우울증 해소에 유효한 효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이와 같이 현재 우리나라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운동프로그램 제공과 관련된 연구는 많았으나 사회복지사, 보건교육사, 생활체육지도사 등 보건 과 복지를 융합한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이 개발 된 사례는 드물었다. 이에, 노인의 심리, 건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노인에게 다양 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건강 증진 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연구결과를 도출 하였다.

    셋째, 12주간의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진행 전 보다 진행 후에 스트레스 지수가 감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노인의 스트레스지수 감소에 영향 을 미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p<.05). 이에 Lee[19]의 연구에서 규칙적인 걷기 운동이 노인의 기초체력, 스트레스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지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 여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 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또한, 운동참여유무와 스 트레스의 결과를 살펴 본 결과 운동참여는 스트레 스에 유의한 차이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 는 운동 시 원활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많은 양의 산소를 필요로 하고, 신체 각 부위에서 생성되는 노폐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개개의 세포가 활성화 됨으로 심신의 정 화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운동은 스트레스에서 벗 어날 수 있는 좋은 계기를 제공하고 있어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지지한다[20].

    Ⅴ. 결론

    본 연구는 구로구에 거주하는 27명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이 기초체 력과 우울,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 명하고,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를 위한 건강증진 운 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은 기초체력과 노인의 정서기능인 우울,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먼저, 연구대 상자들의 기초체력 점수는 사전평가 평균 7.22점에 서 사후평가 평균 8.96점으로 기초체력 점수가 향 상되었다.

    다음으로 노인의 정서기능인 우울과 스트레스에 서도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우울의 사전평가 점수는 평균 18.63에서 사후평가 점수 평균 14.81점으로 낮아 우울 증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스트레스는 사전 평가 점수 18.41점에서 사후평가 점수 15.67점으로 낮아 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자의 활동성을 증가시키고, 일상생활관리와 규 칙적인 활동 참여로 연구대상자의 운동 참여를 증 가시켰기 때문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였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 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사회복지관은 건강 노화를 기반으로 한 노인 건강과 복지가 연계되어 통합된 모델을 개발 하여 맞춤형 보건, 복지, 의료 등 통합적 서비스를 필수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사회복지관 내 건강증 진 운동프로그램이 기초체력과 우울, 스트레스 감 소에 변화를 미친다는 결과를 반영하여 사회복지 관은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흥미 위주의 프로그 램을 넘어서 보건과 복지가 연계된 건강증진 운동 프로그램을 강화하여야 한다. 동시에 생활체육 영 역과의 접점을 확대해 나가며, 반복적인 수행과 일 상생활 속 자가건강관리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책 및 법적 제도 정비를 통해 사회복지 관 내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필수 공간 구축 및 보건교육사, 생활체육지도사의 배치 가 의무적으로 적용 되어야 한다. 또한, 인력 확충 이 어려울시 지역사회 내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에 대한 네트워크와 연계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여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를 지원하고자 해야한 다. 보건교육사를 통해 거주 노인의 인구·사회적 특성을 반영하여 대상자의 연령, 성별, 교육 수준 등을 고려한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을 개별화된 맞춤형으로 구성하고 개발하도록 하고, 생활체육지 도사의 경우 기초체력 증진에 대한 전문지식을 기 반으로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관련 예산 지 원과 제반을 갖춰 각 영역의 전문인력으로 건강증 진 운동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 영역 내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영역의 확대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맨손운동, 소도구 운동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맨손운동, 소도구 운동을 기반으로 다양 한 매개체를 통한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 개발을 통해서 지역사회 안에서 건강증진을 위한 전문적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대상자 영역 에 있어 노인 뿐만 아니라 아동, 장애인 등 프로그 램 대상자에 대한 확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복지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위에 제시한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의 연구 결 과와 제언을 토대로 정리하면, 본 연구는 복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기초체력과 정서기능을 강 화할 수 있는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을 전문가들 을 통해 개발하였고, 사전사후검사를 통해서 효과 성을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효과성 검증과정에서 드러난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는 서 울특별시 구로구에 위치한 G종합사회복지관을 이 용하는 대상자로 편의적 표본추출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이 기 초체력, 우울, 스트레스에 영향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특정 지역 및 복지관에 국한된 결과이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수의 표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적용 및 분석이 필 요하다.

    둘째,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로 통제집단 이 구성되어 있지 않아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이 러한 한계들은 후속연구들을 통해 극복해가야 할 것이다.

    Figure

    Table

    Overview of health promotion program(once a week)
    Pre and Post evaluation analysis of health promotion program interventionUnit: Mean±SD
    Pre and Post evaluation analysis of basic physial strength of health promotion program intervention Unit: Mean±SD
    Pre and Post evaluation analysis of depress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interventionUnit: N(%)

    Reference

    1. KOSTAT ( 2023), Future Population Estimation.
    2. H.M. Chong ( 202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nationahealth using health care big dat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pp.1-101.
    3. D.S. Ko, Y.S. Won ( 2009), The Effect of Physical Fitness and Exercise Participation on Healthy aging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9(3);899-915.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2020). Survey on Seniors
    5. J.Y. Oh ( 2024), Combined Impacts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on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Life Science, Vol.34(3);208-213.
    6. C.S. Lee, Y.K. Choi, D.J. Ju ( 2022), The Effects of Regular Walking on Basic Physial Strength,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Low Income Elderly Live Alone: Focusing on the Elderly Living Alone in Daegu Area,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Vol.13(4);2247-2460.
    7. K.H. Kim, M.J Lee, J.G. Kim, ( 2022),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welfare center exercise program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on the physical strength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super-aged: Focusing on 24 week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31(6);1019-1027.
    8. H.C. Chong, T.Y. Sohn ( 2019),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Service Program Needs of Senior Welfare Center Us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3(4);201-214.
    9. S.M Kim ( 2023), Domestic Research Trends on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in 2012-2022,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32(2);41-51.
    10. S.J. Lee ( 2020),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Exercise Program on Depression, Somatoform Symptom and Cognitive Disorder of Elderl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Vol.11(4);1821-1832.
    11. J.Y. Lee ( 2021), Health Program Development&Evaluation, Gyechuk, pp.1-368.
    12. W.Y. Park, C.Y. Kim ( 2022), The Effect of 8-Weeks’ Hand-Props Exercise on Muscle Strength, Dynamic Balance and Gait Ability in Elderly Male Farmer,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al Society, Vol.42(3);499-511.
    13. H.J. Lee ( 2015), Effects of Complex Exercise with Props on Seniors' Physica l& Psychological Condition,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Sports Science The Graduate Schoo University of Seoul, pp.1-54.
    14. National Sports Promotion Agency ( 2023), National strength 100, https://nfa.kspo.or.kr/main.kspo.
    15. H.A. Kang, H. Kim, M.H. Hong ( 2022),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Using Props on Body Composition, Daily Life Physical Fitn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Vol.30(4);45-54.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cial Welfare Research Institute ( 2013), Introduction of Sustainable, Customized Welfare Strategies, pp.1-148.
    17. C.S. Kim ( 2020),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Functional Physic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Elderly Women,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pp.1-52.
    18. N.I. Kim ( 2011), The Effect of Danjeon Breathing and Walking Exercise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Vol.19(3);215-223.
    19. C.S. Lee, D.J. Ju ( 2023), Effect of COVID-19 on Physical Activity Behavior, Stress,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in Metropolitan and Small City: Focused on Daegu and Gyungsan City ,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port Anthropology, Vol.18(3);119-140.
    20. J.Y. Huh, H.M. Lim ( 2007), The Relationship of Elderly Perceived Stress According to Exercise Participation and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16(3);267-279.
    September 5, 2024
    October 22, 2024
    November 21, 2024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