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7 No.4 pp.91-101
https://doi.org/10.12811/kshsm.2023.17.4.091

시간관리기술평가(Assess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의 국내 적용을 위한 내용타당도 연구

박경영1, 박총순2, 정원미3, 박소연4, 박수현5
1중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2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3동남보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4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5여주대학교 작업치료과

A Study of the Content Validity of the Assess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Korean Version

Kyoung-Young Park1, Chong-Soon Park2, Won-Mee Jeong3, So-Yeon Park4, Su-Hyun Park5
1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Jungwon University
2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3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nam Health University
4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Hanseo University
5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tent validity of the Assess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 (ATMS) for measuring time management skills.


Methods:

A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ist consulted with the original author to translate the ATMS. A review of an expert panel, back-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back-translation were performed. Fifty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at least thre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surveyed the item content validity index (CVI).


Results:

The Korean translation of 12 items was revised in the initial round of review by the translation verification committee. During the second round of review, one item was deemed “not similar” in back-translation and was subsequently revised. The average comprehensibility for each item ranged from 3.46 and 4.78. The CVI was reported as 0.75 for 21 items and below 0.75 for 6 items.


Conclusions:

The ATMS followed the translation guideline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o ensure its linguistic accuracy and cultural appropriateness. Experts found the tool useful in assessing patients’ time management skill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현대인에게 의미 있는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생활양식 을 개선하며,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1]. 시간관리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략과 규칙적인 일상을 만들고 유지하며 자신의 효과성을 스스로 평가하는 능력으로 일, 여 가, 휴식의 균형을 계획하고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 한다[2]. 따라서 시간관리는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술로 개인의 생산성과 효율성, 전반 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3].

    세계보건기구에서 개발한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 (IC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2016)에 따르면, 시간관리는 정신기능에 속하며(ICF code b1642) 이는 사건들 을 시간 순서로 배열하고 사건과 활동에 시간을 할당하는 기능이며, 높은 수준의 인지 기능에 해당 한다. 이는 목표지향적인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 는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의 일부이기도 하 다[4].

    시간관리는 인지 능력의 한 부분으로 발달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자폐스펙트럼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 우울증(major depression disorder), 조현병(schizophrenia) 등과 같이 인지장 애를 동반하는 환자들은 시간관리에 어려움을 겪 게 된다[5]. 이러한 시간관리의 어려움을 보이는 대상자를 위해 작업치료 분야에서는 무의미한 시 간을 최소화하고 의미 있는 작업에 참여하여 건강 을 유지하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사용 중재(Time-use Intervention)를 적용 하고 있다[6]. 시간사용 중재는 인간 작업 모델 (Model of Human Occupation; MOHO)이론을 기 반으로 하며, 작업영역에서 시간을 적절하게 배분 하여 작업균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7].

    시간관리 중재에 관한 국내연구를 살펴보면, 뇌 졸중 환자, 척수손상 환자, 정신과 환자, 노인, 대 학생, 발달장애인 등 다양한 대상에게 적용되었으 며 그 결과, 우울 감소, 삶의 질 향상,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등이 개선되었다고 보고되었다[8][9]. 또한, 국외의 선행연구에서도 시간관리를 위한 ‘Let’s Get Organized’ 프로그램을 약물중독 및 심 각한 정신질환자 16명에게 적용한 결과 일상생활 만족도가 향상되었고, 시간관리, 조직 및 계획능력, 감정조절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10]. 같 은 내용의 프로그램을 신경발달장애와 경도지적장 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12개월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시간관리와 감정조절 기술, 일 부 집행기능과 일상생활의 만족도가 향상된 것으 로 나타났다[11][12].

    이와 같이 다양한 국내외 연구를 통해 시간관리 중재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효 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정 도구에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국외 선행연구들에서는 시간사용 중재의 효 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간관리기술을 평가하는 도 구를 적용하였고, 국내 연구에서는 시간사용을 측 정하기 위해 대부분 작업설문지(Occupational Questionnaire: OQ: Smith, 1986)를 사용하였다 [13]. OQ는 작업과 시간사용의 불균형을 스스로 인식하게 하고 치료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구로 특정 시간대에 어떤 활동에 참여 하는지에 대한 시간사용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그러나 시간사용과 시간관리는 서로 다른 개념 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시간사용이 특정 시간대에 활동 참여 인식에 대한 것이라면, 시간관리는 시간 을 다루고 유연하게 일정을 관리하는 능동적인 과 정으로 효율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 이다. 따라서, 시간사용 중재에 대한 효과를 측정 하기 위해서는 시간사용뿐만 아니라 시간관리 능 력을 반영할 수 있는 시간관리기술을 평가하는 도 구가 필요하다. 작업치료사가 무엇을 대상으로 어 떻게 행하는지를 규정한 작업치료실행체계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OTPF-3(2014) 에서 작업치료는 기본적인 일상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고 그 외 시간에 대한 일정 을 조정함으로써 대상자가 선호하는 작업을 이끌 어내는 것이어야 한다[14]. 따라서 작업치료사가 일상에서의 효율적인 시간사용과 작업균형 회복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시간관리기술 중재를 제공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시간관리기술을 평가하는 것은 기본적이며, 매우 중요한 직무이다. 이에 따 라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간관리기술평가도 구의 사용이 매우 중요하다[15]. 또한, 시간관리기 술은 삶의 질 향상, 개인의 스트레스 감소, 적은 시간으로 더 많은 개인 목표를 성취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시간관리기술평가는 누구에게나 필요 하다[16]. 정신과 환자 뿐 아니라 시간과 에너지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지 못해 어려움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이 평가도구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 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시간관리기술 평가도구의 사 용이 거의 전무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 하다. 최근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김은혜 등 (2022)의 연구에서 시간관리기술 평가도구 (Assess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 이하 ATMS)[17]를 적용하였고[18], 이 평가도구의 내용 타탕도를 높이기 위해 WHO의 권고를 따르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원문과 번역본 간 의 미 전달성의 비교를 위한 이중언어 사용자의 검토 및 결과 제시가 부족하고, 사용자들의 문항 이해도 조사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ATMS 의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전문위원회의 검토와 번 역, 문항 이해도 검증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시간관리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유용한 ATMS에 대해 WHO의 제시한 체계적 인 번역과정을 적용하여 한국판 ATMS의 내용타 당도를 확립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ATMS의 한국어 번역을 위하여 첫 단계로 정신건강전문요원으로서 ATMS를 사용하 고 있는 작업치료사 1명이 참여하였다. 다음으로 영어와 한국어를 사용하며 재활분야를 전공했고, ATMS를 사용한 경험이 없는 2개 국어 검토자 (bilingual reviewer) 2명이 한글 번역의 적합성 검 증을 시행하였다. 역번역 과정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고 ATMS를 사용한 경험이 없는 영어 번역 전 문가 1명이 수행하였고, 영어가 모국어이며, 2개 국어를 사용하는 작업치료사 1명, 영어권에서 학사 이상의 학위를 받은 의학전문가 1명과 국제보건용 어 전문가 1명이 참여하여 원문과의 의미 전달성 을 비교하기 위해 역번역 검증을 하였다. 역번역 검증 후 한글 번역된 ATMS의 문항 이해도와 내 용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 임상 경력 3년 이상인 작업치료사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번역검증위원회에는 유생열(2003)의 연구와 같 이 평가항목에 대한 다른 관점을 갖고 있는 사람 들로 구성하였다[18]. 번역자, 역번역자, 평가대상 자, 해당분야의 전문가를 포함하기 위해 2개 국어 작업치료사 1명, 작업치료학과 교수 4명, 정신과 작업치료사 1명, 평가대상자로 조울증 진단을 받은 환자 1명이 참여하였다. 번역검증위원회의 2개 국 어 작업치료사는 국내 작업치료사 면허를 소지하 고 있으며, 영어권에서 학사 이상의 교육을 받은 자를 선정하였다.

    2. 연구도구

    1) 시간관리기술평가(Assess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

    ATMS는 물질 관련 장애 및 중증 정신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시간관리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White, Riley, Flom(2013)에 의해 개발되었다[2]. 이 평가도구는 자가 평가도구로, 일상생활에서 실제 자신의 시간관리기술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대처하는지, 시간을 조직화하고 계획하는지, 감정 을 조절하여 시간관리를 수행하는지 질문하는 내 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ATMS는 ‘시간관리’, ‘계획 및 조직화’, ‘정서 조절’의 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4점 척도로 평가한다. 4점 척도는 ‘전 혀 그렇지 않다(1점)’, ‘약간 그렇다(2점)’, ‘대부분 그렇다(3점)’, ‘항상 그렇다(4점)’이며, 점수가 높을 수록 시간관리기술이 더 나은 것을 의미한다. 이 중 7개 문항은 역변환점수(reverse score) 문항으로 되어있다. 이 평가도구는 높은 내적 일치도(α=.86) 와 검사-재검사 신뢰도(r=.89)를 보였으며, 스웨덴 에서 시간관리기술이 부족한 정신과 및 신경발달 장애가 환자들에게 ATMS를 확대적용하기 위해 ATMS에 대한 번역에 대한 내용타당도와 라쉬분 석을 적용한 구성타당도 연구를 통하여 총 27개 문항으로 ATMS를 구성하였다[21].

    3. 연구과정

    본 연구는 타 문화권에서 개발한 평가도구를 국 내에 적용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권장하는 평가도구 번역 및 적용 과정 지침에 따라 시행하였다[19]. 이 지 침에 따른 번역 과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건 관 련 전문가에 의한 번역, 전문가 패널의 검토, 역번 역 및 전문가 패널의 검토, 예비 조사가 포함되었 으며, 연구 과정은 <Figure 1>과 같다.

    <Figure 1>

    Flow diagram for the present study

    KSHSM-17-4-91_F1.gif

    한글 번역은 정신건강전문요원 작업치료사가 원 저자와 협의를 통해 문장의 개념을 면밀히 검토 후 번역하였고, 영어권에서 학사 이상의 교육을 받 은 2개 국어 작업치료사 2명이 지시문과 전체 27 개 문항에 대하여 한글 번역의 적합성을 5점 척도 로 평가하였다. 5점 척도는 ‘매우 적합’(5점), ‘적 합’(4점), ‘보통’(3점), ‘부적합’(2점), ‘매우 부적합’(1 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글 번역의 적합성 검증 에서 2개 국어 검토자가 모두 ‘적합’ 또는 ‘매우 적 합’을 부여한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1차 수 정 대상 문항으로 하였다. 또한, 2개 국어 검토자 에게 부적절하게 번역한 문항에 대해서는 대체할 적합한 단어 또는 구절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한글 번역 적합성 검증 후 선정된 수정 대상 문 항에 대해 1차 번역검증위원회에서 한글 번역 내 용을 검토하였으며, 번역검증위원회의 의견에 따라 1차 수정하였다. 수정된 문항을 포함하여 전체 27 개 문항은 이후 역번역을 위해 사용되었다.

    역번역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고 ATMS를 사용 한 경험이 없는 영어 번역 전문가 1명이 하였고, 역번역 검증을 위해 영어가 모국어이며, 2개 국어 를 사용하는 작업치료사 1명, 영어권에서 학사이상 의 학위를 받은 의학전문가 1명과 국제보건용어 전문가 1명에게 원문과 의미전달성을 비교하도록 하였다. 지시문과 전체 27개 문항에 대한 원문과의 의미전달의 유사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5 점 척도는 ‘매우 유사함’(5점), ‘유사함’(4점), ‘보 통’(3점), ‘유사하지 않음’(2점), ‘전혀 유사하지 않 음’(1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번역 검증에서 3명 중 2명 이상이 ‘유사하지 않음’ 또는 ‘전혀 유사하 지 않음’으로 표시한 경우 수정 대상 문항으로 선 정하였다. 수정 대상 문항에 대해서 한글 번역, 번 역검증위원회, 역번역, 역번역 검증의 과정을 다시 실시하여 원문의 의미 전달성이 3점(보통)이상이 될 때까지 반복하였다. 역번역 검증이 완료된 후 2차 번역검증위원회에서 최종 검토하였다. 다음 으로 임상 경력 3년 이상인 작업치료사를 대상으 로 구글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한글로 번역된 ATMS 문항들의 이해도 및 내용타당도 조사를 시 행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문항 이해도는 5점 척도 로 ‘매우 이해 잘됨(5점)’, ‘대부분 이해 잘됨(4점)’, ‘보통(3점)’, ‘거의 이해 안됨(2점)’, ‘전혀 이해 안됨 (1점)’으로 구성하였고, 내용타당도는 4점 척도로 ‘매우 관련성이 있음(4점)’, ‘관련성이 있음(3점)’, ‘약간 관련이 있음(2점)’, ‘전혀 관련이 없음(1점)’으 로 하여 내용타당도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확인하였다. CVI는 3점 또는 4점을 부여한 전문가 수를 전체 전문가 수로 나누어 구하였고, .75를 초과한 문항을 최종 선택하였다.

    4. 자료분석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version 22를 이용하였 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문항 이해도 및 CVI를 구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한글 번역 및 번역 적합성 검증 결과

    한글 번역 후 2개 국어 검토자의 번역 적합성 검증 결과, 지시문과 12개 문항(1, 2, 3, 5, 6, 9, 10, 12, 19, 20, 25, 26번 문항)이 수정 대상 문항으로 확인되었다.

    2. 1차 번역검증위원회 검토 결과

    번역검증위원회에서 한글 번역 적합성 검증을 통해 수정 대상 문항으로 선정된 지시문과 12개 문항을 검토한 결과,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하여 한 문장에 반복되는 문구를 삭제하거나 원문에서 의미하는 내용으로 <Table 2>와 같이 1차 수정하 였다.

    <Table 1>

    Items Selected for Modification through Korean Translation Suitability

    No. Items for Modification

    Instructions For each statement below, make an ‘o‘ in the field that reflects the following occurrence.
    o None of the time (about less than 5% of the time)
    o Some of the time (about 40% of the time)
    o Most of the time (about 85% of the time)
    o All of the time (about 95% of the time)
    1 I feel that I manage my time well.
    2 I use a calendar or an appointment book as a way of remembering my daily tasks
    3 I stop and plan out the steps before I start something new.
    5 I rush while completing my work.
    6 I do my most difficult work at the time of day when I have the most energy.
    9 Even if I do not like to do something, I still complete it on time.
    10 I am disorganized in my tasks.
    12 I complete the tasks on my schedule or appointment book to my satisfaction.
    19 I make sure that I have a good night’s sleep
    20 I feel competent about managing my time when I write down my appointments.
    25 I look at a watch or cell phone to keep track of the time.
    26 I put my things back where they belong or where I got them from.
    <Table 2>

    First Revision Contents Reviewed by the Translation Verification Committee

    No. Pre-Revision Post-Revision

    Instruct -ions For each statement below,
    • None of the time (about less than 5% of the time)

    For each of the next statements below,
    • Almost never (about 5% of the time or less)

    1 I feel that I manage my time well. I think that I am good at time management
    2 I use a calendar or an appointment book as a way of remembering my daily tasks I turn to a calendar or a planner to remind me of daily works.
    3 I stop and plan out the steps before I start something new. I plan first embarking on a new project.
    5 I rush while completing my work. I tend to rush near the work deadline.
    6 I do my most difficult work at the time of day when I have the most energy. I do the most difficult work during my most energetic time of the day.
    9 Even if I do not like to do something, I still complete it on time. I get things done on time even if I do not feel like it.
    10 I am disorganized in my tasks. I am not good at doing my work in an organized way.
    12 I complete the tasks on my schedule or appointment book to my satisfaction. I finish the to-do list on my schedule or planner satisfactorily.
    19 I make sure that I have a good night’s sleep I make efforts to get a good night's sleep.
    20 I feel competent about managing my time when I write down my appointments. When I write down schedules, I feel that I am good at time management.
    25 I look at a watch or cell phone to keep track of the time. I check my watch/smartphone to see what time is it.
    26 I put my things back where they belong or where I got them from. After using things, I return them to their original place.

    3. 역번역 및 역번역 검증과 2차 번역검증위원 회 검토 결과

    1차 수정된 한글 문항들을 역번역 한 뒤 역번역 검증을 위해 원문과의 의미 전달성을 검증한 결과, 검토위원 3명 중 2명 이상이 원문과의 의미 전달 성에서 ‘유사하지 않음’ 또는 ‘전혀 유사하지 않음’ 으로 표기한 문항은 1개 문항(문항 25)이었다. 이 문항에 대해 다시 한글 번역, 번역검증위원회, 역 번역, 역번역 검증 과정을 실시한 결과, 25번 문항 은 ‘나는 시간을 확인하려고 시계나 휴대전화를 본 다’ 로 최종 수정되었으며, 2차 번역검증위원회 검 토에서도 수정사항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4. 문항 이해도 및 내용타당도 조사 결과

    문항 이해도 및 내용타당도를 조사한 설문은 약 10분~2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이에 응답한 작업 치료사는 50명이었다. 이 중 임상경력이 7년 이상 인 사람이 34명(68%)으로 가장 많았고, 3년~5년 미만은 9명(18%), 5년~7년 미만은 7명(14%)순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관으로는 공기관(국립병원 및 보 건소 등)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19명(38%)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병원(대학병원 및 재활전문 병원 등)은 17명(34%), 지역사회기관(복지관 등)은 3명 (%), 기타 11명(22%) 순이었다.

    응답자들의 한글 번역된 ATMS의 각 문항의 이해 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3.46 ~ 4.78 범위로 2개 문 항(7, 24번 문항)만 평균 3.46, 3.86로 문항 이해도 가 ‘보통’ 수준이었고, 나머지 모든 문항의 이해도 는 ‘대부분 이해 잘됨’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

    Results of a Surve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tems

    Item Number Average Standard Deviation Item Number Average Standard Deviation

    1 4.52 .762 15 4.52 .789
    2 4.70 .544 16 4.36 1.064
    3 4.72 .536 17 4.48 .707
    4 4.40 .756 18 4.54 .734
    5 4.06 1.185 19 4.54 .813
    6 4.22 .975 20 4.18 .850
    7 3.46 1.034 21 4.40 .926
    8 4.26 1.139 22 4.44 .705
    9 4.40 .700 23 4.22 .975
    10 4.14 1.178 24 3.86 1.069
    11 4.64 .663 25 4.64 .776
    12 4.42 .758 26 4.64 .693
    13 4.78 .507 27 4.34 1.099
    14 4.04 .968

    또한, 한글 번역된 ATMS의 각 문항에 대한 CVI를 조사한 결과, CVI가 6개 문항(7, 11, 14, 18, 19, 26번 문항)이 .75이하로 내용타당도가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Table 4>.

    <Table 4>

    CVI of ATMS Items Translated into Korean

    Item Number Sub-domain CVI Item Number Sub-domain CVI

    1 Time Management 0.96 15 Emotion Control 0.78
    2 Planning & Organizing 0.98 16 Time Management 0.86
    3 0.96 17 0.96
    4 0.92 18 0.54*
    5 Time Management 0.84 19 Planning & Organizing 0.66*
    6 Planning & Organizing 0.76 20 Emotion Control 0.92
    7 Time Management 0.56* 21 0.82
    8 0.8 22 Time Management 0.88
    9 0.88 23 Emotion Control 0.80
    10 Planning & Organizing 0.82 24 Time Management 0.78
    11 0.72* 25 Planning & Organizing 0.88
    12 Emotion Control 0.88 26 0.72*
    13 Planning & Organizing 0.94 27 Time Management 0.86*
    14 0.62*

    * content validity index(CVI) < .75

    Ⅳ. 고찰

    본 연구는 시간관리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ATMS의 국내 적용을 위해 WHO에서 권장하는 평가도구 번역 및 적용 과정 지침에 따라 번역하 고, 전문가 패널의 검토 후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문항 이해도 조사하여 내용타당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시간관리는 고차원적인 인지기능으로, 시간순서 에 따라 목적지향적인 활동에 시간을 배분하여 일, 여가, 휴식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작업균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4][15]. 이와 관련한 국내 선행연구는 대부분 시간사용과 작업 참여에 대한 연구이며, 시간사용에 대한 평가도구 로써 OQ를 사용하였다. OQ는 하루 일과를 점검 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30분 단위로 활동한 내용과 활동에 대한 수행도, 중요도, 흥미도에 대한 점수 를 기입함으로써 시간사용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15]. 그러나 시간관리는 의미있는 활동에 시간배분하고, 시간 그 자체를 관리하는 능력뿐 아 니라 이를 위한 계획 및 조직화, 정서 조절 능력까 지 포함되어 있어 시간사용과는 매우 다르다. 시간 관리기술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조현병 환 자를 대상으로 ATMS를 사용한 연구가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원문과 번역본 간 의미 전달성의 비교 를 위한 이중언어 사용자의 검토 및 결과 제시가 부족하고, 사용자들의 문항 이해도 조사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시간관리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ATMS는 물 질 관련 장애 및 중증 정신장애 대상으로 30개의 문항으로 개발되었으나 경도지적장애, 신경발달장 애, 조현병,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인지저하가 있는 사람들까지 다양한 대상으로 확대하여 신뢰 도와 타당도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최종 27개 문항 으로 구성하여 우수한 안전성을 보였다[20][21][22].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ATMS가 다양한 대상자에 게 적용될 수 있도록 최종 27개 문항에 대해 연구 하였다.

    시간사용을 포함하여 일상의 모든 영역에서 작 업에 초점을 두고 그 능력과 요구를 평가하는 작 업치료사는 효과적인 치료계획 및 중재를 위하여 평가과정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다른 문화권에서 개발된 평가도구를 국내 에서 적용하는 경우,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해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의 의미를 정확하게 번역하 여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23]. 따라서, 평가도 구를 번역하여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이론 적 개념과 그 의미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ATMS에 대해 WHO의 권고에 따 라 보건전문가를 포함하여 영어와 한국어를 모두 사용하는 이중 언어사용자, 평가대상자로 구성된 번역검증위원회를 구성하여 원문 의미의 전달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12개 문항에 대해 수정하였으 며, 대부분 한 문장에 동일한 의미를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단어를 삭제하거나 번역시 문장에서 빠 진 단어의 의미를 추가하여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표현을 수정하였다. 또한, 번역문장의 의미표현이 원문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충분한 번역검증위원 회의 논의를 거쳐 수정하였다. 예를 들어, 5번 번 역 문항의 경우, ‘나는 일을 마무리하려고 서두른 다.’는 일의 완수를 목표로 하는 행동으로 이해되 어 시간관리기술의 부족 때문에 급하게 일을 서두 른다는 원문 의미와 다르게 해석되는 측면을 고려 하여 ‘나는 일의 막바지에 급히 서두른다.’로 수정 하였다. 또한, 19번 번역 문항에서 ‘좋은 수면’이라 는 표현은 익숙치 않은 표현이므로 ‘숙면’과 같이 익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변경하였고, 12번 문항에서 번역시 누락된 ‘book’의 단어 의미를 추 가하여 나는 내 일정이나 일과를 만족스럽게 처리 한다’를 ‘나는 내 일정이나 수첩(스케줄러)에 있는 할 일을 만족스럽게 처리한다’로 수정하였다. Janeslätt et al.[21]의 연구에서 25번 문항은 라쉬분 석 결과 부적합 문항으로 확인되었으나 임상적 타 당성을 고려하여 최종 포함되었다. 다른 연구에서 도 25번 문항의 시계나 휴대폰을 소지하는 개념의 ‘wear’는 부적합한 단어로 지적하였으나, 시간관리 를 위해 보조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시간관리의 중 요한 기술 중 하나로, 의미표현을 시계나 휴대폰을 본다는 ‘look’으로 수정하여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 다고 하였다[22]. 본 연구에서도 번역 및 1차 수정 문항을 비교하면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번역상의 문제가 나타났으며 이를 수정하였다.

    번역과 역번역, 번역검증위원회의 검토를 거친 후 최종 번역된 ATMS에 대해 작업치료사를 대상 으로 문항 이해도와 내용타당도 조사를 하였다. 문 항 이해도 평가는 번역한 평가도구가 언어적으로 그 문화권에 맞게 적합한 표현으로 번역이 되었는 지 확인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15].

    문항 이해도 조사결과, 7번과 24번 문항의 이해 도가 ‘보통’ 수준이었고, 나머지 모든 문항의 이해 도는 ‘대부분 이해 잘됨’으로 높았다. 7번 원문 문 항에서 ‘overwhelm’는 일상의 일들로 인해 압도된 다는 의미로 번역되었으나 일상용어로는 자주 사 용하지 않는 표현이고, 24번 문항의 경우 ‘important thing’을 ‘중요한 일’이라고 표현하였으 나 이 표현은 일상에서 중요한 일이 아니라 특별 하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일이라고 이해되어 다른 문항들에 비해 두 문항에 대한 이해도가 ‘보통’ 수 준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내용타당도 연구에서 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인 CVI를 조사하였으 며[24], Waltz & Bausell[25]가 제시한 4점 척도와 기준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CVI 0.75보다 낮은 문 항이 6개 문항으로(7, 11, 14, 18, 19, 26번 문항) 확인되었다. 이 중 7번, 18번 문항은 시간관리 영 역에 속하며, 11번, 14번, 19번, 26번 문항은 계획 및 조직화 영역 포함되어 있다. 하위영역으로서 시 간관리와 계획 및 조직화 영역 문항들의 내용타당 도가 일부 낮게 나타난 것은 선행연구에서 ATMS 평가항목이 활동 및 참여 수준에 가까운 평가 문 항과 실행기능으로서 인지 기능을 측정하는 문항 들을 명확하게 구별하여 시간관리기술을 측정하지 는 않는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이 있다[22]. 이 문 항들은 ‘나는 매일의 일상에 압도되어 있다고 느낀 다‘와 같이 시간관리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정도를 측정하거나 ‘나는 실수를 통해 배운 다’, ‘나는 일을 시작하기 전에 작업공간을 정리한 다’, ‘나는 밤에 숙면을 취하기 위해 노력한다’. ‘나 는 물건을 사용한 후 원래 있던 곳이나 가져왔던 자리에 되돌려 놓는다’와 같이 일상 활동에 참여를 잘 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관리기술에 대해 평가한 다. 이러한 이유로 시간관리기술과 직접적인 관련 성이 낮게 해석되어 내용타당도가 낮게 나타난 것 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에서는 ATMS의 3개 하위영역을 구성하는 문항의 타당도 를 라쉬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원점수 를 라쉬점수로 환산하여 표준점수로써 대상자끼리 비교하거나 시간관리기술의 전후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22][6].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CVI 0.75보다 낮게 나타난 문항을 포함하여 ATMS의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으 며,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판별타당도를 확인함 으로 평가도구로서의 임상적 유용성을 확립할 필 요가 있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시간관리기술평가도구인 ATMS의 국 내 적용을 위한 내용타당도 연구로 WHO의 번역 지침을 통해 언어적 정확성과 문화적 적합성을 확 보하였고, 전문가 집단의 이해도와 내용타당도 결 과 이 도구가 임상 현장에서 환자의 시간관리기술 에 치료적 적용에 유용한 평가도구로 활용이 기대 되며 추후 환자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Figure

    KSHSM-17-4-91_F1.gif
    Flow diagram for the present study

    Table

    Items Selected for Modification through Korean Translation Suitability
    First Revision Contents Reviewed by the Translation Verification Committee
    Results of a Surve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tems
    CVI of ATMS Items Translated into Korean
    * content validity index(CVI) < .75

    Reference

    1. Y. G. Kim (2006), A Study on Time Use Analysis and Activity Balance, Thesis Book of Daegu Health College, Vol26(1):271-288.
    2. M. White, A. Riley, P. Flom (2013), Assess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ATMS): A Practice-Based Outcome Questionnaire,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Vol.29(3);215-231.
    3. B. Thomack (2012), Time Management for Today's Workplace Demands, Workplace Health & Safety, Vol.60;201-203.
    4. A. Diamond (2013), Executive Funct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64;135-168.
    5. G. K. Janeslätt, H. Lindstedt, P. Adolfsson (2015), Daily Time Management and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Use of Electronic Planning Devices in Adults with Mental Disabilit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Vol.10;371-377.
    6. H.M. Kim, M.K. Shim (2014), A Comparative Study of the Time Use and Quality of Life in Local Community and Convalescent Hospital of the Stroke Pati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Vol.4(1);1-10.
    7. B. J. Jeon (2011),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lderly’s Life Time Use and Occupational Balance,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pp.1-147.
    8. S.H. Ryu, S.J. Park, M.H. Kim, D.Y. Hwang (2020), Effects of Time-Use Interven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Stroke Patients,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Vol.9(3);91-102.
    9. J.H. Choi, H.S. Hwang, S.K. Kim (2022), Time Use and Occupational Bala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30(1);51-63.
    10. S.M. White, S.A. Meade, L. Hadar (2007), OT Cognitive Adaptation: An Intervention in Time Management for Persons with Co-Occurring Conditions,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Vol.12(11)9-14.
    11. M. Holmefur, K. Lidström-Holmqvist, A. H. Roshanay, P. Arvidsson S. White, G Janeslätt (2019), Pilot Study of Let’s Get Organized: A Group Intervention for Improving Time Managem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73(5);1-10.
    12. P. Arvidsson, G. Janeslatt, B Wennberg, K. Lidström-Holmqvist, M Holmefur, A.H. Roshanay (2023), Evaluation of the Group Intervention Let’s Get Organized for Improving Time Management, Organisation, and Planning Skills in Peopl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30(1);1257-1266.
    13. E.A. Lee, J.H. Jung (2021), The Effects of Time-Use Intervention for Disabled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9(11);565-573.
    14. https://www.aota.org/publications
    15. K.Y. Park, E.Y. Yoo (2009), A Study on the Readability and Content Validity of Korean-translated Version of the Sensory Profil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17(4);89-98.
    16. https://harappa.education/harappa-diaries/importance-benefits-and-advantages-of-time-management/
    17. M. White, A. Riley, P. Flom (2013), Assess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 (ATMS): A Practice-Based Outcome Questionnaire,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Vol.29(3);215-231.
    18. S.R. Yoo (2003), Translating and Validating Questionnaires for Physical Education Research, The Journal of Education, Vol.22;203-217.
    19.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20. M. Thorsson, M. Holmefur, K. L. Holmqvist (2023),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 (ATMS-S) in Adults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30(5);714-720.
    21. G.K. Janeslätt, K.L. Holmqvist, S. White, M. Holmefur (2017), Assess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wedish Version,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25(3);153-161.
    22. A. Roshanay, G. Janeslätt, K. Lidström-Holmqvist, S. White, M. Holmefur (2022),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Original Version of Assess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 (ATM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Vol.2022;1-9.
    23. C.T. Su, L.D Parham (2002), Generating a Valid Questionnaire Translation for Cross-Cultural Us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56(5);581-585.
    24. J.M. Kim, H.E. Jeong (201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Older Patients in Acute Care Survey, Vol.11(3);91-104.
    25. C.F. Waltz, R.B. Bausell (1981), Nursing Research: Design, Statistics, and Computer Analysis, PA: F. A. Davis, p.71.
    December 8, 2023
    December 27, 2023
    December 29, 2023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