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7 No.3 pp.105-117
https://doi.org/10.12811/kshsm.2023.17.3.105

국내 핵심간호술 교육 연구동향

안민희‡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Research Trend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in South Korea

Min-Hee An‡
Department of Nursing, Songwon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rends i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Methods:

Twenty studies on nursing education reported in domestic journals were reviewed. The Riss4U, Scienceon, E-article and KISS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the analysis criteria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Results:

The peer teaching method was applied most frequently in the class. The intervention period ranged from a minimum of 5days to a maximum of 70 days and the frequency was at least once a week and a maximum of once a day. Performance confidence was the most commonly used outcome variable. The duration ranged from a minimum of 12minutes to a maximum of 6 hours.


Conclusions:

Fundamental core nursing skills applied various tutoring methods for nursing stud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because of a lack of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re nursing skills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사의 핵심역량은 국내외 보건의료환경 변화 와 간호사의 역할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대학 간 간호교육목표에 따라 반영되고 있다[1]. 간호교 육은 이론과 실습의 수준 높은 간호를 제공하는 전문직 간호사의 양성에 있다. 핵심간호술은 간호 대학생에게 있어서 실습역량을 높이는 중요한 항 목이며, 간호대학생은 간호교육인증평가원에서 제 시한 핵심간호술을 이수하며[2], 교육과정에 따른 단계별 성취수준을 설정하여 졸업인증평가로 이뤄 지고 있다.

    핵심간호술은 2학년 기본간호학실습을, 3, 4학년 의 임상교과목실습과 시뮬레이션, 통합실습교과목 으로 운영되며, 교내실습, 임상실습 교과목, 핵심간 호술 프로그램을 통해 반복적인 훈련과 재학습이 이뤄지고 있다. 이렇듯 간호대학생들은 간호인증평 가원에서 선정한 필수항목을 바탕으로 반복연습하 고 있으나 간호대학생들 간에 핵심간호술 역량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교수자들은 간호대학생의 핵 심간호술 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새로운 교수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시 도가 이뤄지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간호대학생은 핵심간호술을 수행한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이 유 의하게 상승했을 뿐 아니라[3] 수행자신감, 숙련도 가 향상되었다[4][5][6]. 또한 신규간호사의 경우 임 상현장에서 핵심간호술의 수행빈도가 높았을 때 수행자신감이 있으며, 수행자신감이 높은 간호사는 업무 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여 신규간호사의 이 직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7]. 게다가 신규간 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은 환자안전과 직결되므로 핵 심간호술은 간호대학생에게 필수적인 항목이며, 간 호대학생에게 핵심간호술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코로나 19를 시작으로 간호대학생들은 실습교과 목의 변화가 불가피하였고[8], 감염병상황 속에서 실습교과목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국내간호대학생 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을 분석하는 것은 교내실 습과 비교과 프로그램을 성찰하여 더 나은 교육을 교수자들의 준비가 필요하겠다. 간호대학생의 실습 교육은 교수 1인당 수업운영동안 학생개인별 피드 백이 충분하지 않고, 학생들의 훈련시간도 제한되 어 있어 핵심간호술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 이 있다. 또한 최근 4주기 간호인증평가원 편람에 따르면 핵심간호술의 항목이 20개에서 18개로 변 화되고, 동영상 촬영이 추가됨에 따라 간호대학생 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을 적용하는 교수자들의 교수법, 학습목표 및 달성도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 교육에 적용된 문헌을 검색하고 선정하여 출판연 도, 연구설계, 중재종류, 중재기간, 빈도, 중재시간 에 대해서 검증할 필요가 있겠다.

    국내의 경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습교과목 의 전반적인 운영[8]에 대한 문헌은 있었으나 핵심 간호술만 분석된 것은 없었으며, 해당 주제와 관련 해서 핵심간호술 수행한 빈도, 기간, 중재내용, 결 과변수에 대해 분석한 문헌은 없었다. 또한 간호대 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통합적 고찰 [9][10]된 문헌이 있었으나, 특정 교수법만을 대상 으로 분석되어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 로 핵심간호술에 적용된 국내문헌을 분석하여 일반 적인 특성과 방법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핵심간호술 적용한 문헌을 고찰하고 핵심간호 술과 관련한 중재의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 다.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의 변화를 파 악하고 핵심간호술 교육을 보완하고 더 나은 교육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 문헌의 일반적인 특성(출판연도, 연구대상자, 교과목 및 비 교과프로그램)을 분석한다.

    • 2)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 문헌의 방법론적 특성(저자, 연구설계(실험연구, 질적연구), 중재기간, 빈도, 중재시간, 결과변수)을 분석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2019년 이후부터 2022년 7월 18일 까지 국내학술지에 출판된 핵심간호술과 관한 국 내간호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 이다.

    2. 문헌 검색 및 선정

    1) 선정기준

    • -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을 수행한 국내에서 발표된 문헌

    • - 연구설계는 실험연구, 질적연구만을 대상으로 선정함.

    2) 배제기준

    • - 대상자가 간호대학생이 아닌 문헌

    • - 학위문헌, 초록만 있는 문헌

    • -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 주제가 아 닌 문헌

    • - 자료수집기간이 제시되지 않은 문헌

    • - 연구설계가 실험연구와 질적연구가 아닌 문헌

    • - 중복문헌을 제외

    3. 자료수집

    자료수집 절차는 검색어 선정, 검색 데이터베이 스 선정, 검색전략수집, 문헌검색 수행, 최종 문헌 선정 및 분석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검색어는 “간 호대학생”, “핵심간호술”, “간호”를 주요어로 불리 언 연산자 AND를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문헌검색 의 검색엔진은 총 4개로 Riss4U, Scienceon, E-article, KISS으로 검색하였다. 문헌의 선정기준은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중재는 핵심간호술 중 재, 연구설계는 실험연구 혹은 질적연구로 제한하 여 문헌을 선정하였다.

    문헌 검색한 결과 총 103편으로 중복문헌 22편 을 제외하고 81건이었으나, 2019년 이전 문헌 35 편, 주제와 맞지 않은 문헌 5편, 초록만 있는 문헌 2편, 학위문헌 1편을 제외하였다. 또한 원문을 분 석한 결과 주제와 맞지 않은 문헌 1편, 자료수집 기간이 제시되지 않은 문헌 5편, 연구설계가 실험 연구와 질적연구가 아닌 경우 12편을 제외하여 최 종 20편을 선정하였다<Figure1>. 최종 선정된 문헌 은 2인의 평가자가 제목, 초록 및 본문을 독립적으 로 구체적인 배제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불일치된 의견이 있는 경우에는 평가자 간 논의를 통해 합 의된 결과로 기술하였다.

    <Figure 1>

    Flow diagram for study selection

    KSHSM-17-3-105_F1.gif

    4. 연구진행절차 및 자료분석 방법

    본 연구의 분석은 간호학과 교수 1인과 간호학 석사 1인이 이중 검수하였으며, 연구자들은 메타분 석과 관련된 특강을 3회 이상 수강하였다. 간호대 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 특성이 반영될 수 있 도록 연구자 2인이 연구목적에 맞게 분석틀을 만 들었으며,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적용하고, 문헌 의 제목, 발표연도, 출처, 연구설계, 연구대상자, 결 과변수, 결과 등을 구분하고, 연구자들의 논의를 통해 최종 분석틀을 확정하였다. 문헌별로 사용 된 주요변수와 변수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최종선 정된 20편의 연구가 다수의 변수를 사용하고 중복 하여 포함되어 본 내용분석에서 각 변수들의 사용 빈도를 분석 시 중복된 변수를 확인하고, 수집된 자료는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 율을 구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최종 선정된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최 종 선정된 문헌의 출판연도는 2019년 4편(20.0%), 2020년 8편(40.0%), 2021년 7편(35.0%), 2022년 1편 (5.0%)이었다. 연구설계유형으로 양적연구에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가 9편(45.0%)으로 가장 많 았고, 단일군 전후설계 6편(30.0%), 무작위대조군연 구 1편(5.0%)이었다. 질적연구는 4편(20.0%)이었다. 2학년 9편(45.0%), 4학년 7편(35.0%), 3학년 4편 (20.0%)이었다. 교과목 및 프로그램으로는 아래와 같다. 핵심간호술 프로그램은 7편(35.0%), 기본간호 학실습과 자율실습은 각각 4편(20.0%)이었고 핵심 간호술실습 2편(10.0%), 시뮬레이션 교육, 지역사회 간호학실습과 교과목을 알 수 없었던 문헌이 각각 1편(5.0%)이었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n=20)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Year of publication 2019 4(20.0)
    2020 8(40.0)
    2021 7(35.0)
    2022 1(5.0)
    Research design Non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test design 9(45.0)
    One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6(30.0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1(5.0)
    Qualitaitive 4(20.0)
    Participants Sophomore 9(45.0)
    Senior 7(35.0)
    Junior 4(20.0)
    Practicum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7(35.0)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4(20.0)
    Self directed practice 4(20.0)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2(10.0)
    Simulation Education 1(5.0)
    Community health nursing 1(5.0)
    Unknown 1(5.0)

    2. 방법론적 특성

    질적연구는 4편(20.0%)으로 다음과 같다. 선후배 동료 교수활동에서는 교육과 술기 수행능력 향상 을 위한 선배 동료 교수활동, 선배 동료교수자가 되기 위한 훈련과 피드백, 후배들과 상호 도움이 되는 술기교육현장, 자기성찰을 통한 발전으로 범 주화되었다. 상호동료학습법에서는 학습동기유발, 자기주도학습, 성취도 향상, 학습요구 불충족으로 범주화되었다. 다음으로 도움의 의미, 두려움의 극 복, 간호술기 습득기회로 범주화되었다. 마지막으 로 VR을 적용한 경우 VR 수업의 긍정적 경험, VR 수업의 부정적 경험, VR 실습의 양면가치로 범주화되었다. 온라인 성찰일지를 활용하여 핵심간 호술 지식, 기술, 태도로 구분하였다<Table 2>.

    <Table 2>

    Summary of the qualitatives (n=4)

    1 Author (year) Result

    J.Y. Kang(2021) “Senior peer tutoring to improve education and nursing skills performance”
    “Training and feedback to become a senior peer teacher”
    “Win-win nursing skills education field with junior students”
    “Development through self reflection”

    K.H. Kim(2021) “Motivation of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Limproving achievement”
    “Insufficient learning requirements”

    M.H. Kim(2021) “Meaning of help”
    “Overcoming fear”
    “Opportunity to acquire nursing skills”

    H.J. Jung(2020) “Positive experience of VR class”
    “Negative experience of VR class”
    “Two sided value of VR practice”

    VR=virtual reality

    양적연구 중 실험연구는 총 16편(80.0%)이었다. 실험군의 교수법으로는 동료 교수법이 3편(18.8%) 으로 가장 많았고, 비디오 촬영과 시뮬레이션 적용 이 2편(12.5%), 이미지훈련, SBAR 를 적용한 프로 그램, 문제중심학습, 스텝스 모델에 기반한 프로그 램, 비디오 사전학습 및 자기주도실습평가, 비디오 녹화를 통한 동영상 자기관찰 학습법, 온라인 학습 을 병행한 실습, 형성적 피드백, 팀학습, 지시적 심 상요법, 교수법이 제시되지 않은 문헌이 각각 1편 (6.3%)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중재기간은 최소 5일에서 최대 70일이 었으며, 빈도는 최소 일주일에 1번 최대는 1일에 1 번이었다. 마지막으로 중재시간은 최소 12분에서 최대 6시간이었다. 최종 문헌으로 선정된 실험연구 문헌 중 중재기간 3편(18.8%), 빈도 2편(12.5%), 시 간에서는 2편(12.5%)이 표기되지 않아 알 수 없었 다. 실험연구의 결과변수를 다중분석한 결과 다음 과 같다<Table 3>. 자신감이 11편(68.8%), 자기효 능감 7편(43.8%), 수행만족감 5편(31.3%), 숙련도, 기술이 각각 3편(18.8%)이었고, 학습 만족도는 2편 (12.5%)으로 나타났다.

    <Table 3>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outcomes (N=16)

    1 Author (year) Study design Intervention Intervention period (P: period, F: frequency, D: duration) Outcome※

    D . W . Choi(201 9) nonequivalent c o n t r o l pretest-postte st design formative feedback program
    • P: not mentioned

    • F: 2 times/not mentioned

    • D: 1 hour/1 time

    practice satisfaction (p=.012)
    learning motivation (no change)
    academic self-efficacy (no change)
    task hardness preference (no change)
    self control efficacy (no change)
    confidence (p=.024)

    E . Y . Hong(20 20) nonequivalent c o n t r o l pretest-postte st design guided imagery program
    • P: 5 days

    • F: 1 time/day

    • D: not mentioned

    stress (p=.012)
    state anxiety (p=.005)
    test anxiety (no change)
    core basic nursing skills (p=.015)

    G . H . Choi(201 9) one group pre post design video learning
    pre learning
    self directed practice evaluation
    • P: 28 days

    • F: 3 times over/36 days

    • D: -video learning (3 hours)

    • -5 hours (self-directed practice)

    self-efficacy (p<.001)
    professional self-concept (p=.003)
    confidence in performing (p<.001)

    H . J . Kim(2020 ) nonequivalent c o n t r o l pretest-postte st design reciprocal peer tutoring
    • P: 56 days

    • F: 4 times/7 days

    • D: 2 hours/1 time

    confidence of Performance
    • - pre op, personal hygiene, post op (p<.001)

    • - V/S (no change) core nursing skills

    • - pre op, post op, V/S (p<.001)

    • - personal hygiene (no change)

      practice satisfaction (p<.001)


    H . J . Lee(2020 ) nonequivalent c o n t r o l pretest-postte st design convergence based simulation
    • P: 56 days

    • F: 1 time/7 days

    • D: 4 hours/7 days

    problem solving ability (p<.043)
    self-efficacy (no change)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p<.001)

    H . S . Koo(201 9) onequivalent c o n t r o l pretest-postte st design peer tutoring
    • P: 21 days

    • F: 3 times/7 days

    • D: 4 hours/7 days

    performance (p<.001)*
    confidence (p<.001)**
    self-efficacy (p<.001)***

    H . S . Gu(2021) nonequivalent c o n t r o l pretest-postte st design peer tutoring
    • P: 56 days

    • F: 2 times/7 days

    • D: 6 hours/7 days

    performance (p<.001)+
    performance confidence (p<.001)++
    learning satisfaction (p<.001)

    H . S . Gu(2021) nonequivalent c o n t r o l pretest-postte st design PETTLEP model based image training program
    • P: 28 days

    • F: 4 times/7days

    • D: 12 minutes

    confidence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p<.001)
    competence (p<.001)
    nursing skills (p<.001)
    self practice participation (p<.001)

    H . Y . Seo(202 0) one group pre post design STEPS model based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 P: not mentioned

    • F: 6 times/10 days

    • D: 4 hours/1 time

    problem solving efficacy (p<.001)
    self-confidence (p<.001)
    core self-evaluation (no change)

    J . E . Cha(202 0) one group pre post design ore basic nursing skills education combined with online learning
    • P: 70 days

    • F: 10 times/7 days

    • D: 3 hours/7 days

    self directed learning preparation (p<.001)
    academic self efficacy (p<.001)
    self-confidence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p<.001)
    correlation self directed learning prepar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p<.001)

    J . H . Park(202 2) one group pre post design problem based learning
    • P: 42 days

    • F: not mentioned

    • D: 4 hours/7 days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p<.001)
    academic self efficacy (p<.001)
    clinical thinking disposition (no change)

    J . H . Park(202 0) one group pre post desig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 P: 42 days

    • F: 20 times(1st 21 days) 30 times (2nd 21 days)

    • D: 15 minutes/1 time/ per 4 students

    performance confidence (p<.001)
    clinical capacity (p<.001)
    core nursing ability (p<.001)

    K . E . Lee(201 9) nonequivalent c o n t r o l pretest-postte st design video recording self observation
    • P: 28 days

    • F: 2 times/7 days

    • D: 4 hours/1 time

    self-efficacy (p<.047)
    self-leadership (no change)
    goal commitment (no change)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 IV (p<.001), Indwelling catheterization
    satisfaction (p<.020)
    S . Y . Kim(202 0) one group pre post design SBAR training program i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 P: 14 days

    • F: not mentioned

    • D: not mentioned

    communication competence (no chang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001)
    problem solving ability (p<.042)
    educational satisfaction (no change)

    S . Y . Kim(202 1) Randomized Control Trials practical education using intravenous simulator
    • P: not mentioned

    • F: 10 times/not mentioned

    • D: 4 hours

      • - only IV practice

      • - simulator(not mentioned)

    self-confidence (p=.000)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p=.002)
    self-efficacy (no change)

    Y . S . Choi(202 1) nonequivalent c o n t r o l pretest-postte st design team based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 P: 5 days

    • F: 10 times/23 days

    • D: 3 hours/1 time

    fundamental nursing knowledge (p=.000)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nfidence (p=.003)
    learning self efficacy (p=.003)
    interpersonal understanding (no change)

    ※ Improvement in Intervention group, *, **: Indwelling catheterization, protection equipment for quarantine room and waste disposal *, **, ***: Cleansing Enema, +: Indwelling catheterization, endotracheal suction, intradermal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ermittent tube feeding),++: Indwelling catheterization, endotracheal suction, intradermal injection

    VR=virtual reality; PBL=Problem based learning; STEPS= Set-tutor demonstration, Explanation, Practice, Subseuent deliberate practice; PETTLEP=Physical characteristics, Emviroment, Task, Timing, Learning, Emotion, Perspective; SBAR=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IV=Intravenous injection

    Ⅳ. 고찰

    본 연구는 최근 4년 이내의 국내에서 출판된 문 헌 중 핵심간호술과 관련된 문헌을 선정하고 분석 했는데 총 20편이었다. 최종 분석된 문헌 중 출판 시기를 살펴본 결과 2020년과 2021년에 총 15편 (75.0%)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염병기간 동안 간 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면 실습, 비대면 실습과 같 은 수업운영을 고민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일반적인 특성에서 연구설계에서 실험설계가 16 편, 질적연구가 4편으로 구성되었는데, 간호대학생 으로 핵심간호술 수행시 실험설계를 주로 진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설계에서 주로 실험연구가 많았던 것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을 운영시 반복적인 훈련의 결과를 통해 효과성을 검 증하기 위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학년별로는 2학년 이 9편(45.0%), 4학년 7편(35.0%), 3학년은 4편 (20.0%)으로 구성되어 단계별 학습의 일환으로 교 내실습과 임상실습 교과목에서 핵심간호술을 적용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2학년에서 주로 핵심 간호술이 이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목에서는 핵심간호술 프로그램은 7편 (35.0%), 기본간호학 실습과 자율실습은 각각 4편 (20.0%)이었고, 핵심간호술실습 2편(10.0%)으로 나 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를 통해 2학년부터 4학년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실습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 고, 핵심간호술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핵심간 호술 프로그램 7편(35.0%)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간호대학생들의 졸업인증평가로 운 영되었기 때문이다. 핵심간호술 프로그램은 간호학 과의 많은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지만 학생 개인별 학습 및 효과에는 차이가 있다.

    교수법으로는 동료교수법, 비디오 녹화를 통한 동영상 자기 관찰 학습법, 이미지 훈련, SBAR를 활용한 프로그램, 문제중심학습, 스텝스 모델 기반 프로그램, 비디오 사전학습 및 자기 주도실습평가, 온라인 학습을 병행한 실습, 형성적 피드백 팀학 습, 지시적 심상요법 등이었다. 이를 통해 교수자 들이 다양한 교수법으로 간호대학생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된 교수법은 동료교수법이었다. 동료교수법을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했을 때 자신감이 높아지고,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11][12][13] 효과 적인 교수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술기항목의 평가자가 아닌 학습자를 존중하고 격려하면서 자 아성찰의 계기가 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동료학습법을 진행하면서 간호대학생들은 “자신이 가르쳐준게 맞을까?” 하는 의구심을 갖는 등 질높 은 피드백의 어려움이 있었다[14]. 따라서 동료교 수법을 적용할 때 학생들의 실습시간을 확보하면 서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이뤄지는 술기평가가 정 확하게 이뤄지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교 수자와 학생마다 술기평가의 난이도에 차이를 파 악하고, 반복훈련과 지속적인 피드백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간호대학생에게 핵심간호술 적용된 것 은 비디오촬영이었다. 간호대학생에게 핵심간호술 을 수행시 비디오 촬영을 적용하는 것은 자기효능 감, 숙련도, 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나, 목표몰입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5][16]. 선행연구에 따르면 비디오 촬영은 반복학습이 가능하고, 실습 후 자가 평가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수업운영동안 문자를 하거나 앱 접속으로 인해 집중이 어렵고 산만해질 단점이 있다[9]. 최근 4주기 간호인증평가원에서 간호대학생의 직접평가 대신 동영상 제출로 변경 되어 핵심간호술 실습시에 교수자는 학생들의 몰 입도를 높이기 위한 수업전략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문헌은 팬데믹 기간을 포함 하여 실습교육에 변화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을 대 상으로 핵심간호술 운영시 대면실습이었으나, 온라 인과 오프라인 학습을 병행한 수업이 운영되고 [17], VR[18]을 수업에 활용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교수자가 미래 간호교육에 있어서 매체의 활용과 더불어 새로운 강의전달 방식을 적용하고 효과성 을 검증하여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역량을 향 상시키기 위한 노력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온라인 공간에서 학습관리시스템인(Learning Managemen System, LMS)을 이용하여, 반복학습과 더불어 교 수자별 피드백을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실습시간 부족으로 인한 교육을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최종선정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결과 변수로 수행자신감이 많았다. 수행자신감은 간호대 학생에게 필수적인 핵심역량 중 하나이다. 이러한 간호대학생의 수행자신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핵심 간호술을 수행시 스트레스와 불안 등의 심리적 변 수의 통제하는 것이 필요한데 선행연구결과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상요법을 적용한 결과 스트 레스와 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19].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반복훈련 뿐만 아 니라 심리적 환경을 고려한 수업설계가 필요하며,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기 성찰의 단계까지 나아가 기 위해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교수자는 교수법 및 매체의 이용을 통해 학생과의 상호작용과 학습만족도를 높여 핵심역량 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대학생에게 임상상황과 비슷한 환경과 안정된 심리적인 환경 을 구축하여 자기주도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물 리적, 심리적 공간을 확보하는 것도 교수자의 역할 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노력들이 간호대학생으로 하여금 핵심간호술을 몰입하게 하고 핵심간호술기 습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실험연구만을 분석한 결과 중재기간은 최소 5일에서 최대 70일이었으며, 빈도는 최소 일 주일에 1번 최대는 1일에 1번이었다. 마지막으로 시간은 최소 12분에서 최대 6시간이었다. 핵심간호 술은 술기의 특성상 상, 중, 하로 분류되고 그에 따라 술기평가에 주어진 시간도 차이가 있다. 따라 서 분석과정에서 빈도와 시간을 평균화하기에는 핵심간호술의 항목에 따라 상이하고, 정성적 합성 하는데 이질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연구의 일반화 에 제한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분석된 문헌은 연구자에 따라 측정된 도구가 다르고, 핵심간호술 의 영역이 다양해서 통합분석에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되며, 소수의 문헌만으로 분석되어 추후 메타 분석할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학위논문을 제외하고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만을 선정되었으며, 국외 문 헌을 검색하지 않았다. 또한 핵심간호술 항목 중 상, 중, 하에 따른 결과변수를 일부의 문헌만이 제 시하고 있어 통합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 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핵심간호술의 난이도에 따 라 효과적인 중재기간 및 시간 등을 통합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며, 학년별로 학생들에게 핵심간호술 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 요하겠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분석한 결과 간호대학생 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을 적용한 문헌을 분석한 결과 간호대학생 중 2학년이 가장 많았으며, 동료 교수법을 포함한 다양한 교수법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다양한 교수법의 적용과 학생들의 선호하는 전 달방식을 활용한 교수자의 수업설계는 간호대학생 의 학습동기유발과 학습만습족도에 영향을 줄 것 이라고 생각되며,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수자 의 노력이 필요하겠다. 특히 4주기 간호인증평가에 서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에 대한 녹화영상이 요구되고, 교수자는 단계별에 맞게 지식, 태도, 기 술을 포함하여 수업을 운영하면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수업시 간호대학생들의 몰입도를 유지하는 것과 그에 따른 교수법에 대한 역량 강화가 필요 하겠다.

    마지막으로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역량을 향상 시키기 위해 다양한 교수법에 대한 개발과 활용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실습운영을 위해 실습보조인력 등의 행정지원이 필요하다.

    Ⅴ. 결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 적용한 일반적인 특성과 방법론적 특성을 분석하 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 핵심간호술은 핵심 간호술 프로그램에서 가장 많았고, 2학년이 9편 (45.0%)으로 가장 많았다. 교수법으로는 동료교수 법이 3편(18.8%)으로 가장 많았고, 비디오 촬영, 이 미지 훈련, VR이 적용되었다. 실험연구만을 분석 한 결과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 중재 기간은 최소 5일에서 최대 70일이었으며, 빈도는 최소 일주일에 1번 최대는 1일에 1번이었다. 수행 시간은 최소 12분에서 최대 6시간이었다. 또한 간 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 운영시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하고, 강의전달방식에 있어서 온라인 과 오프라인을 병행한 실습이 운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에게 핵심간 호술 적용한 교수법과 결과변수, 중재기간, 빈도, 중재시간을 알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에서 간호대학생을 위한 핵심간호술 프로그램 개 발과 이를 위한 대학의 행정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 자 한다.

    첫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국내·외 핵심간호 술 연구를 메타분석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핵심간호 술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Appendix.]

    [1]J.Y. Kang, J.Y. Seo(2021),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ross-Age Peer Tutoring for Core Basic Nursing Skills Training in Nursing Students: Focus on Senior Peer Teachers’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Vol.5(4);79-94.

    [2]H.S. Koo(2019),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Self-directed Practice based Peer-tutoring 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Self-efficacy of Core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10(12);453-463.

    [3]H.S. Gu(2021), The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Mutual Peer-tutoring on Nursing Students’ Core Basic Nursing Skills Performance, Confidence,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1(16); 947-963.

    [4]H.S. Gu(2021), Effects of Pettlep Model-based Image Training on Nursing Student Confidence and Competency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Participation in Self-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8(4);1056-1069.

    [5]K.H. Kim, J.M. Lim, Y.M. Jang(2021), A Convergenc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pplying the Self-directed Practice Reciprocal Peer Tutoring: Focusing on Medication Nursing of Fundamental Core Nursing Skill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12(9);229-238.

    [6]M.H. Kim, J.H. Lee(2021), The Experience of First Nursing Meaning amo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7(3);1-6.

    [7]S.Y. Kim, H.S. Kim(2020), Effects of the SBAR Training Program in Essential Fundamental Nursing Skill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0(2);1071-1086.

    [8]S.Y. Kim(2021), The Effect of Practical Education using Intravenous Simulator on the Self-confide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Intravenous Therap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1(10);51-58.

    [9]H.J. Kim(2020),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Core nursing skills,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8(4);315-323.

    [10]J.H. Park, M.H. Park(2022),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actical Education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3(2);269-281.

    [11]J.H. Park, D.Y. Lee(2020), The Effect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among Final Year Nursing Students on Performance Confidence,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and Core Nurs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11(3);281-289.

    [12]H.Y. Seo(2020), Effect of STEPS Model-Based Core Nursing Skill Training Program on Problem Solving Efficacy, Core Self-evaluation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0(1);103-122.

    [13]K.E. Lee, H.D. Kim(2019), Effects of Applying Video Recording Self-observation on Self-directed Practice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11);481-500.

    [14]H.J. Lee(2020), Effects of Convergence-based Simulation Education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10(1);44-50.

    [15]H.J. Jung, M.J. Chae(2020), Experience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Using Virtual Realit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HSS21), Vol.11(4);703-716.

    [16]J.E. Cha, H.J. Kang(2020),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Education Combined with Online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Prepar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1);433-446.

    [17]G.H. Choi, H.J. Hong, S.H. Kwon(2019),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Assessment Program on Self Efficacy, Professional Self Concept, Confidence in Perform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4);2163-2177.

    [18]D.W. Choi, M.J. Park(2019), Effects of Formative Feedback Practice on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 Efficacy,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11);305-313.

    [19]Y.S. Choi, J.H. Bae(2021), The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Using Team Building among Nursing Students before Intro to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1(3);25-48.

    [20]E.Y. Hong, B.R. Kim(2020),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on Stress, State Anxiety, Test Anxiet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 Performance Scor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6(1);16-24.

    Figure

    KSHSM-17-3-105_F1.gif
    Flow diagram for study selection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n=20)
    Summary of the qualitatives (n=4)
    VR=virtual reality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outcomes (N=16)
    ※ Improvement in Intervention group, *, **: Indwelling catheterization, protection equipment for quarantine room and waste disposal *, **, ***: Cleansing Enema, +: Indwelling catheterization, endotracheal suction, intradermal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ermittent tube feeding),++: Indwelling catheterization, endotracheal suction, intradermal injectionVR=virtual reality; PBL=Problem based learning; STEPS= Set-tutor demonstration, Explanation, Practice, Subseuent deliberate practice; PETTLEP=Physical characteristics, Emviroment, Task, Timing, Learning, Emotion, Perspective; SBAR=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IV=Intravenous injection

    Reference

    1. E.J. Park, J.S. Ok, C.S. Park (2022),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Topic Modeling,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8(4);400-410.
    2. Korean Accredia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2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Evaluation Core Basic Nursing Skill Items.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pp122-123.
    3. S.Y. Kim, H.S. Kim (2020), Effects of the SBAR Training Program in Essential Fundamental Nursing Skill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0(2);1071-1086.
    4. H.J. Kim (2020),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Core Nursing Skills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8(4);315-323.
    5. G.H. Choi, H. J. Hong, S.H. Kwon (2019),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Assessment Program on Self efficacy, Professional Self Concept, Confidence in Perform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4);2163-2177.
    6. H.J. Kim (2020),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Core Nursing Skills,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8(4);315-323.
    7. S.S. Bang, I.O. Kim (2014), Relationship among Essential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Performance, Stress from Work and Work Capability of New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0(4);628-638.
    8. A.R. Jang, M.H. An (2021), A Literature Review on Education Research for Faculty of Nursing in Korea during covid 19 Pandemic.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2(10);676-685.
    9. H.W. Shin, J.M. Lee, S.J. Kim (2018), An Integrative Review of Smartphone Utillization for Nursing Education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4(4);376-390.
    10. R. Stone, M. Cooke, M. Mitchell (2020),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Use of Video Technology in Developing Confidence in Clinical Skills for Practice: A Systematic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Vol.84;104230.
    11. H.J. Lee (2020), Effects of Convergence-based Simulation Education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10(1);44-50.
    12. H.S. Koo (2019),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Self-directed Practice based Peer-tutoring 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Self-efficacy of Core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10(12);453-463.
    13. H.S. Gu (2021), The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Mutual Peer-tutoring on Nursing Students’ Core basic nursing Skills Performance, Confidence,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6); 947-963.
    14. J.Y. Kang, J.Y. Seo (2021),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ross-Age Peer Tutoring for Core Basic Nursing Skills Training in Nursing Students: Focus on Senior Peer Teachers’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Vol.5(4);79-94.
    15. G.H. Choi, H.J. Hong, S.H. Kwon (2019),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Assessment Program on Self Efficacy, Professional Self Concept, Confidence in Perform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4);2163-2177.
    16. K.E. Lee, H.D. Kim (2019), Effects of Applying Video Recording Self-observation on Self-directed Practice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in S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11);481-500.
    17. J.E. Cha, H.J. Kang (2020),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Education Combined with Online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Prepar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1);433-446.
    18. H.J. Jung, M.J. Chae (2020), Experience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using Virtual Realit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HSS21), Vol.11(4);703-716.
    19. E.Y. Hong, B.R. Kim (2020),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on Stress, State Anxiety, Test Anxiet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 Performance Scor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6(1);16-24.
    June 28, 2023
    August 28, 2023
    September 17, 2023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