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7 No.3 pp.93-103
https://doi.org/10.12811/kshsm.2023.17.3.093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강다해솜‡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The Influence of Patient Safety Attitude, Communication Skill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Nursing Students

Da-Hai-Som Kang‡
Department of Nursing, Kaya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safety attitude, communication skill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urther, it sought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Methods:

The study involved 174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April 10 to May 1, 2023.


Resul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 safety attitude (r=.386, p<.001), communication skills (r=.358,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430, p<.001). Nursing professionalism (β=.271, p=.001) and patient safety attitude(β=.238, p=.001) affecte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se factors explained 24.9% of the variance in clinical competency.


Conclusions:

Cultivating nursing professionalism and fostering a positive patient safety attitude is vital for enhancing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using policy strategies involving diverse patient safety case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환자안전은 국내·외 보건의료계의 표준이며 필 수 조건임과 동시에 환자의 기본권이다[1]. 이러한 이유로 환자 및 보호자는 입원과 치료 기간 동안 안전한 돌봄을 기대하지만, 의료서비스 제공 과정 에서는 수많은 환자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이다[2].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환자안전 통계연 보에 의하면 2022년 한 해 동안 14,820건의 환자안 전사고가 보고되었는데,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은 의 료기관의 중대한 환자안전사고만 의무 보고하도록 하고 있어[3], 실제적인 환자안전사고 발생률은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환자안전사고는 환자의 안위 위협 뿐 아니라 의 료인에 대한 신뢰저하 및 재원 기간 연장 등의 다 양한 문제를 초래하지만,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통해 예방 가능하다[2].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에게 발 생할 수 있는 재해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 인 활동으로, 의료기관 구성원 전체가 관심을 가지 고 참여해야 하는 항목이다[4]. 예비 간호사이자 미 래 간호리더인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동안 환자의 직접 간호에 참여할 뿐 아니라, 졸업 후 간호사로 서 임상실무현장에 투입되어 환자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5].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환자 안전관리 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간 호대학생이 환자안전역량을 가진 간호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한 후 이를 반영한 전략이 필요하다.

    환자안전 태도는 불필요한 위험과 재해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태도이며[6], 안전과 관련된 행동 결정에 주요역할을 한다[7]. 환자안전 태도는 후천적인 학습과 경험을 통해 단 기간이 아닌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며[6], 한번 형 성된 태도는 반복적인 교육에도 불구하고 쉽게 변 화하지 않는다[7].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환자안 전 태도 형성은 환자 간호의 기본이며, 임상실습 동안 자신감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8]. 또한, 임 상실무현장에서의 긍정적인 환자안전 태도는 환자 안전관리활동 수행에 있어 중요한 동기부여 요소 가 되어 환자안전사고의 감소 뿐 아니라 환자안전 의 극대화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8], 환자관리활동에서의 환자안전 태도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의사소통능력은 적절성과 효과성이 수반된 의사 소통에 관한 지식, 기술, 동기이며[9], 환자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명확한 의사소통은 환자의 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하며,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의사소 통을 할 때 환자안전관리활동이 향상된다[10]. 반 면, 비효율적인 의사소통은 환자안전에 위협을 가 하는 핵심 쟁점이 되는 부분으로, 심각한 위해사건 의 대부분이 의사소통 장애로 인해 발생한다[11]. 이처럼, 의사소통능력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지만,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 전관리활동의 요인임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간호전문직관은 환자 요구를 최우선 가치로 여 기는 간호대학생과 간호사가 가져야 할 기본 요소 이다[12].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에 대한 체계화된 견해이자 간호사의 간호활동 및 직 업 의식적인 견해이며, 간호에 대한 자신의 가치관 과 직결된다[13]. 간호전문직관은 환자안전관리 활 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간호전문직관이 올 바르게 형성될 때 임상실무현장에서 의료 전문가들 과 원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환자안전관리활 동이 향상되어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14].

    현재까지 수행되어 온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 리활동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5],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의사 소통 명확성[10],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환자 안전역량[15],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 감[16], 환자안전 동기와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 [17], 환자안전관리 지식, 간호전문직관[18] 등이 연 구되어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관련된 요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 4학년 모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4학년을 대상으로 환자 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 전관리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한 연구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동안 환자간호에 참여하게 되어 환자안전에 영향 을 미치지만, 임상술기 경험이 부족하고 안전사고 에 대한 대비가 미숙하다. 따라서 졸업을 1년 정도 남겨둔 4학년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정 도를 점검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 수행 향상을 위 한 중재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학년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와 관계 를 확인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 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 향 상을 위한 방안마련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 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와 관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 과 같다.

    대상자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전 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파악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 차이를 파악한다.

    대상자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전 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다.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들을 파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 통능력, 간호전문직관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 와 관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 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2개, G시 소재 1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으로, 임상실습 경험이 1년 이상인 4학년 학생이다. 자료 는 2023년 3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 41일간 수집 하였으며, 각 대학의 간호학과에 사전 협조를 구한 후 진행하였다. 설문지 배부 전 연구 대상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설문작성 방법을 설명하고, 쉬는 시간에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자 수의 산정을 위해 G power 3.1.9.7 프로그램을 이 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검정력 .95, 유의수준 .05, 효과크기 .15, 예측요인 8개(일반적 특성 5개, 독립변수 3개)를 적용하여, 최소 표본 수가 160명 으로 산출되었다. 탈락률을 고려하여 180부의 설문 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179부 중 설문 작성의 누락이 있는 설문지 5부를 제외한 174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3. 연구도구

    1) 환자안전 태도

    환자안전 태도는 Park & Park[8]이 개발한 도구 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16개 문항이며, 각 문항은 1점에서 5점까지 5점 척도이다. 점수가 높 을수록 환자안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 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 .68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 .74 이었다.

    2)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능력은 Hur[9]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 였다. 본 도구는 총 15개 문항이며, 각 문항은 1점 에서 5점까지 5점 척도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의사 소통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 도는 Cronbach’s ⍺= .72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 .87이었다.

    3) 간호전문직관

    간호전문직관은 Yoon et al.[13]이 개발한 도구 를 Han et al.[19]이 구성타당도 검증을 통해 축소 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18개 문항(전 문직 자아개념 6개 문항, 사회적 인식 5개 문항, 간호의 전문성 3개 문항, 간호역할 2개 문항, 간호 의 독자성 2개 문항)이며, 각 문항은 1점에서 5점 까지 5점 척도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 .92, Han et al.[19]의 연구에서 ⍺= .94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 .87이 었다.

    4) 환자안전관리활동

    환자안전관리활동은 Yoo & Lee[20]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15개 문항이며, 각 문항은 1점에서 5점까지 5점 척도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 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 .89이 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 .87이었다.

    4. 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 내 기관생명윤 리위원회의 승인 후 시행하였다(승인번호 : 가야대 -23-001).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설문지 배부 전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절차, 익명 성 보장, 참여 및 철회에 대한 자율성, 연구 목적에 한해 설문 내용 사용 등에 대한 설명을 시행한 후 서면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대상자들에게는 답례품으로 문구류를 제공하였다.

    5.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전 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 차,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 직관과 환자안전관리활동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 전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

    본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 태도 정도는 평균 4.18±0.38점, 의사소통능력 정도는 평균 4.14±0.50 점이었다.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평균 4.15±0.50점 이었으며, 하위영역으로 살펴보면, 전문직 자아개 념 평균 4.36±0.50점, 사회적 인식 평균 3.48±0.87 점, 간호의 전문성 평균 4.44±0.64점, 간호역할 평 균 4.30±0.75점, 간호의 독자성 평균 4.52±0.92점이 었다.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평균 4.46±0.42점 이었다<Table 1>.

    <Table 1>

    Descriptive Statistics of Study Variables (N=174)

    Variable Range Mean±SD Min-Max Values
    Patient Safety Attitude 1-5 4.18±0.38 3.06-5.00
    Communication Skills 1-5 4.14±0.50 2.87-5.00
    Nursing Professionalism 1-5 4.15±0.50 1.94-5.00
    Professional self-concept 1-5 4.36±0.50 2.67-5.00
    Social awareness 1-5 3.48±0.87 1.00-5.00
    Professional identity in nursing 1-5 4.44±0.64 1.00-5.00
    Role of nursing practice 1-5 4.30±0.75 1.00-5.00
    Originality of nursing 1-5 4.52±0.92 1.00-5.00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1-5 4.46±0.42 3.33-5.00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활동 정도의 차이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 결 과, 연령은 21세 미만 78명(44.8%)으로 가장 많았 고, 22-24세 61명(35.1%), 25세 이상 35명(20.1%) 순 이었으며, 평균연령은 23.47(±4.60)세 이었다. 성별 은 여성 152명(87.4%), 남성 22명(12.6%)이었으며, 간호학전공 만족 정도는 만족 98명(56.3%), 보통 71명(40.8%), 불만족 5명(2.9%)이었다. 환자안전교 육 경험은 있다 162명(93.1%), 없다 12명(6.9%)이었 으며, 임상실습 중 안전사고 경험은 없다 157명 (90.2%), 있다 17명(9.8%)이었다<Table 2>.

    <Table 2>

    Difference in Study Variable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74)

    Characteristic Categories n(%) or Mean±S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Mean±SD t or F(p) p
    ≦21 78(44.8) 4.50±0.44 0.65 .522
    Age(years) 22-24 61(35.1) 4.43±0.38
    ≧25 35(20.1) 4.44±0.44
    23.47±4.60
    Gender Male 22(12.6) 4.50±0.36 0.46 .643
    Female 152(87.4) 4.46±0.43
    Satisfaction of major Satisfaction 98(56.3) 4.53±0.38 2.63 .068
    Moderate 71(40.8) 4.39±0.46
    Unsatisfaction 5(2.9) 4.31±0.44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education Yes 162(93.1) 4.47±0.42 0.37 .403
    No 12(6.9) 4.42±0.38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accident Yes 17(9.8) 4.44±0.48 -0.3 .768
    No 157(90.2) 4.48±0.42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 관리활동 정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3. 대상자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 전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간의 상관관계

    본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간의 상관관계 분 석 결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 태도 (r=.386, p<.001), 의사소통능력(r=.358, p<.001), 간 호전문직(r=.430,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 다. 환자안전 태도는 의사소통능력(r=.368, p<.001), 간호전문직관(r=.389,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의사소통능력은 간호전문직관(r=.575,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Table 3>.

    <Table 3>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N=174)

    Variabl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Patient Safety Attitude Communication Skills
    r(p) r(p) r(p)
    Patient Safety Attitude .386(<.001)
    Communication Skills .358(<.001) .368(<.001)
    Nursing Professionalism .430(<.001) .389(<.001) .575(<.001)

    4.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을 파 악하기 위하여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상관관계가 있 었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들의 공차한계(tolerance)는 0.632∼0.818로 0.1을 넘었으며, 분산팽창인자(variance inflation factor)는 1.223∼1.581로 10을 넘지 않아 독립변수 들 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 한, Durbin-Watson 값이 2.132로 2에 근접하여 잔 차의 자기상관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산출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F=18.836,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 치는 변수로는 간호전문직관(β=.271, p=.001), 환자 안전 태도(β=.238, p=.001)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24.9%이었다<Table 4>.

    <Table 4>

    Influencing Factors on Patient Safety Managemen Activity (N=174)

    Variable B SE β t p
    Constant 2.016 .341 5.915 <.001
    Patient Safety Attitude .265 .082 .238 3.244 .001
    Communication Skills .096 .070 .115 1.384 .168
    Nursing Professionalism .228 .070 .271 3.243 .001
    R2 .249 Adj R2 .236 F(p) 18.836(<001) Durbin-Watson 2.132

    Ⅳ. 고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 통능력, 간호전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간의 관 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을 파악 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를 중심 으로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 대상자의 환자안전 태도는 평균 4.18점 (5점 만점)으로, Kim & Jo의 연구[6] 평균 3.72점, Park & Park의 연구[8] 평균 3.77점, Park의 연구 [12] 평균 3.77점보다 높았다. 본 연구에서 선행연 구보다 환자안전 태도 정도가 높았던 것은, 간 호교육인증평가에서 환자안전 영역이 강화되어 2021년 프로그램 학습성과 개정을 통해 각 대학에 서 안전과 질 향상의 원리를 적용하여 운영하도록 규정한 것과 관련되어 보인다. 각 대학에서는 환자 안전관리 교과목을 신설하거나, 교내 및 임상실습 교과목에 환자안전을 강화하여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교육과정을 통해 환자안전 교육이 이루어질 경우, 환자안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한 다는 연구[12]와 일맥상통하는 결과이다. 하지만 간호대학생이 졸업 후 신규간호사로서 임상실무현 장에서 간호업무를 수행할 때에는 복잡하고 다양 한 환자 요구로 인해 환자안전을 우선순위에 두는 데 한계가 있어 안전사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7]. 또한, 환자안전 태도는 장기간의 후천적인 학 습과 경험을 통해 형성될 뿐 아니라[6] 한번 형성 된 태도는 반복적인 교육에도 불구하고 쉽게 변화 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7].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더욱 더 긍정적인 환자안전 태도의 형성 및 확 립이 요구되며, 학부과정 초기부터 체계적인 교육 이 제공될 수 있도록 현재 운영 중인 교육과정을 점검한 후 재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4.14점(5 점 만점)으로, Lee et al.[21]의 연구 평균 3.60점, Han[22]의 연구 평균 3.28점, Jang[23]의 연구 평균 3.68점보다 높았다.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21][22]에 비해 의사소통능력 정도가 높았던 것은 본 연구는 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지만, Lee et al.[21]의 연구는 3, 4학년, Han[22]의 연구는 3학년을 대상 으로 시행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는 높은 학 년일수록 임상실습 및 시뮬레이션 실습 등을 통해 의사소통능력 향상의 기회가 많고, 임상실습의 경 험으로 의료인과 환자와 소통하고 협력하는 능력 을 습득하여 의사소통능력 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는 연구 결과[23]를 지지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4 학년을 대상으로 한 Jang[23]의 연구 평균 3.68점 보다도 의사소통능력 정도가 더 높았는데, 이는 전 공만족도 정도가 Jang[23]의 연구보다 높았던 것과 관련되며,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았다는 연구[22]에 의해 뒷받침된다. 의사소통능 력은 간호교육에서 성취해야 하는 핵심 역량 중 하나로[23], 학습자 주도 학습 중의 하나인 플립드 러닝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할 뿐 아니라 플립드러닝의 경험과 결과물을 통해 의 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24]. 따라서 의사 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다양 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평균 4.15점(5 점 만점)으로 간호대학생을 대상을 한 Park[12]의 연구 평균 3.76점, Kim et al.[18]의 연구 평균 3.61 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Han et al.[19]의 연구 평균 3.30점, Kim & Park[25]의 연구 평균 3.63점 보다 높았으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et al.[26]의 연구 평균 4.11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 결과[12][19][25][26]를 살펴보 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정도가 간호사와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더 높았는데, Mun & Kim[14]은 간호전문직관이 간호교육을 통해 형성 되어 졸업 후 업무수행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확립되는 특성이 있지만, 임상실무현장에 서 자신의 이상과 가치가 부합하지 않을 경우, 간 호전문직관이 변화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 시기에 형성된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사로 근무하는 기관에서도 지속적으로 유지되 고 발전할 수 있도록 중재방안을 마련해야하며, 이 때 본 연구의 하위 영역 중 가장 낮았던 사회적 인식 영역을 중점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평균 4.46점으로 Song & Moon[15]의 연구 평균 3.96점 보다 높았으며, Son & Park[16]의 연구 평균 4.24 점, Kang & Park[17]의 연구 평균 4.31점, Kim et al.[18]의 연구 평균 4.53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의 결과[15][16][17][18]를 바탕 으로 비교해볼 때,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중상이상의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간호교육 및 의료기관에서 환자안전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실습에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17]. 하지만 환자안전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부분 으로, 전체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일정수준 이상유지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 다. 상급종합병원은 의료의 질 관리 차원으로 높은 수준의 환자안전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상급병 원 임상실습 경험은 환자안전관리활동 증진의 요 인으로 보고되고 있다[27]. 이에, Kang et al.[27]은 실습병원 규모와 관계없이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증 진시킬 수 있는 환자안전 프로그램 개발과 임상실 습의 중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환자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의 모듈을 개발한 후 시뮬레이 션 실습수업에 적용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정확한 술기 습득과 자신감 향상을 통해 환자안전관리활 동을 증진시켜 나가야 하며, 지속적인 산학협력을 통해 실습병원이 최적의 교육여건을 갖출 수 있도 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 관리활동은 간호학전공 만족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선 행연구[15][16][17]에서는 간호학전공 만족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러한 차이가 간호학과 진학 동기를 포함한 개인의 특성 이나 지역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 추후연구를 통 해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환자안전관리활동 프로 그램 개발에 있어 이러한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고려할 때, 보다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 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 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과 양의 상 관관계, 환자안전태도는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 관과 양의 상관관계, 의사소통능력은 간호전문직관 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의사소통능력[21]과 간호전문직관[12]이 향상되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간호전문 직관이 향상되며[28],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태도 [16]가 긍정적이고, 간호전문직관[18]이 향상될 때 환자안전관리활동이 증진된다는 연구결과[16]에 뒷 받침된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안전관리활동 강화를 위해서는 긍정적인 환자안전태도,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의 형성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은 간 호전문직관, 환자안전 태도이었으며, 총 24.9%의 설명력을 보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첫 번째 영 향요인은 간호전문직관 이었는데, 간호대학생을 대 상으로 한 Kim et al.[18]의 연구에서 설명력은 낮 았으나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영향 요인으로 규명되어 본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확고 한 간호전문직관을 가진 간호사는 보다 효율적이 고 적극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어[25],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형성은 환자안전관리활동 증진에 필수불가결한 요 소라 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간호사 이미지는 간호전문직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므 로[28] 간호전문직관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 용을 통해 질적인 간호제공에 대한 책임과 간호전 문직 발전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강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간호사가 전인간호를 제 공하는 핵심 인력이라는 내용의 언론 홍보를 비롯 한 홍보 마케팅을 통해 간호직에 대한 사회의 부 정적인 편견과 고정관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정책 적 전략을 모색해나가야 한다. 두 번째 영향요인은 환자안전 태도이었는데, 이는 임상실습만족도와 환 자안전 태도가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영향요인이었 던 연구[29]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다. 선 행연구[8]에 의하면, 전공 지식 및 환자안전 지식 은 환자안전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인 환자안전 태도는 환자안전관리활동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교수자의 환자안전 지식과 태도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역량에 영 향을 미친다[30].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환자안전 태도 형성을 위한 체계적인 환자안전 교 육에 앞서 교수자의 환자안전 역량을 확인하고 함 양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30]. 이를 토대로 환 자안전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인 환자안전 태도 형성을 비롯한 환자안전 역량이 향상되어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Ⅴ. 결론

    간호대학생은 예비 간호사이자 미래 간호리더로 서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 을 한다. 환자안전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영역 으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통해 안전 한 치료와 회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태도, 의사소통능력, 간호 전문직관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와 관계를 확 인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환자 안전관리활동의 가장 큰 영향요인은 간호전문직관 이었으며, 다음으로 환자안전 태도가 영향요인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간호대 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증진을 위해 다양한 환 자안전 사례의 적용 및 홍보 마케팅 등의 정책적 인 전략을 통한 간호전문직관의 향상과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환자안전 태도 형성이 필요 하다.

    본 연구는 4학년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활 동 영향요인으로 간호전문직관과 환자안전 태도가 주요변수임을 확인하여, 환자안전관리활동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마련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 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자 료수집 시 직접 관찰이 아닌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확인하였으므로 실 제적인 환자안전관리활동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 다. 또한, 대상자 선정 시 특정 지역의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간호대학생을 편의표집 하였으므 로 전체 간호대학생들에게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데는 신중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의사소통 능력이 환자안 전관리활동과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영향요인으로 규명되지 않았으므로 대상자 의 특성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반복 연구를 통 해 그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 에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으 로 규명된 간호전문직관과 환자안전 태도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중재 효과를 검증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Figure

    Table

    Descriptive Statistics of Study Variables (N=174)
    Difference in Study Variable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74)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N=174)
    Influencing Factors on Patient Safety Managemen Activity (N=174)

    Reference

    1. J.H. Lee (2011), Patient Safety and Healthcare Standard.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54(5);444-446.
    2. J.H. Yoo, K.A. Kang (2014), Survey of Oncology Nurse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Nursing Care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Asian Oncology Nursing, Vol.14(2);119-126.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23), Korean Patient Safety Incident Report 2022,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pp. 1-2.
    4. J.H. Park (2020), Effects of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Importance, Patient Safety Culture and Nursing Service Qualit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6(3);181-191.
    5. S.H. Choi, H.Y. Lee (2015).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1(2);184-192.
    6. H. Kim, H.J. Jo (2021).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Patients’ Safety on Self-Effica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9(5);489-500.
    7. S.J. Choi (201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Learning Transfer based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New N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pp. 7-16.
    8. J. Park, M. Park (2014).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0(1);5-14.
    9. K.H. Hur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Vol.47(6);380-408.
    10. K.A. Kim, M.Y , Mun (2023). Influence of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Clarity of Communication on Behavior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3(3);85-95.
    11. D.J. Solet, J.M. Norvell, G.H. Rutan, R.M. Frankel (2005). Lost in Translatio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Physician-to-physician Communication during Patient Hand Offs, Academic Medicine, Vol.80(12);1094-1099.
    12. M.H. Park (2017). Convergenc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Patient Safety Attitud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11);317-327.
    13. E.J. Yeun, Y.M. Kwon, O.H. Ahn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5(6);1091-1100.
    14. M.Y , Mun, M.Y. Kim (2019), Influence of Hospital Ethical Climat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5(5);458-466.
    15. M.O. Song, J.E. Moon (2018). A Stud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9(9);379-388.
    16. S.H. Son, J.S. Park (2017). A Study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Behavior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9(4);1043-1053.
    17. E.H. Kang, H.J. Park (2021). A Stud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1(24);523-534.
    18. C.G Kim, H.M. Yu, H.W. Kim, A.Y. Nam, H.S. Roh, D.S. Bang, J.U. Sin, A.H. Lee, E.G. Lee, H.Y. Jeon, S.L. Jeong, Y.J. Jung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Patient Safet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Nursing Students, Korean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Vol.24(2);26-40.
    19. S.S Han, M.H. Kim, E.K. Yun (2008).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4(1);73-79.
    20. H. Yoo, H. Lee (2008). The Initial Application of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Xcale (PSM-A) for Nursing Dtudents: Brief o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6);3423-3436.
    21. O.S. Lee, K.S. Lee, H.J. Gu (2020). Influence of Perception of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Patient Safety Attitude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8(10);307-314.
    22. S.H. Han (2016).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10);217-227.
    23. S. Jang, S. Kim, N. Park (2020). Factors Influencing Metacogn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5(4);448-458.
    24. S.J. Moon (2023).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3(1);157-167.
    25. J. Kim, H. Park (2023). The Influence of Knowledge on Standard Precaution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on Hospital Nurses’ Performance with Guidelines for Standard Precau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30(2);225-235.
    26. Y.S. Kim, Y.J. Lee, J.A. Park (2023). The Influence of Clinical Competency and Confidence in Essential Nursing Skills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29(1);78-85.
    27. M. Kang, Y. Jang, U.R. Song (2020).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of Nursing Students: a Quantile Regression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6(3);230-240.
    28. Y.J. Kim (2020).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s, Image of Nurse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14(8);265-276.
    29. S.S. Huh, H.Y. Kang (2015). The Attitude of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8);5458-5467.
    30. N.J. Lee, S. Ahn, M. Lee, H. Jang (202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formatics System for Nursing Faculty to Improve Patient Safety Teaching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6(5);488-500.
    July 26, 2023
    September 1, 2023
    September 13, 2023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