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7 No.3 pp.15-28
https://doi.org/10.12811/kshsm.2023.17.3.015

의료기관 코디네이터의 직무에 관한 연구논문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김선녀‡
동명대학교 간호학과

Literature on Job Analysis of Medical Institution Coordinators: A Systematic Review

Seon-Nyeo Kim‡
Departments of Nursing, Tongmyong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job analysis of coordinators in Korean medical institutions.


Methods: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were collected from a search term database.


Results:

The review included 13 articles and nine medical coordinators. New coordinators are constantly emerging at medical institutions. Although coordinators have similar titles, their qualification criteria and roles differ. Some coordinators perform medical practice, and others do not. Most job analyses of the coordinators were conducted to reduce confusion by clarifying their duties.


Conclusions:

When similar titles exist within the same medical institution, there is potential for job confusion and compromised patient safety.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clear distinctions between the titles of the medical and non-medical coordinator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조직의 규모가 복잡하고 커짐에 따라서 조직에서 조정기능을 담당하는 코 디네이터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1]. 코디네이 터는 조정자, 종합하는 사람, 진행자를 뜻하는 직 업으로[2] 음식, 의료, 행사, 건축, 패션 등 각양각 색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3].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코디네이터는 중간관리자 성격을 지니며 환자들의 의료서비스 욕구를 충족 시키기 위해 병원의 행정업무를 기획, 관리, 개선 하는 업무를 한다[4]. 또한 의료진 중심으로 운영 되는 병원조직의 서비스 공백을 줄여서 고객이 병 원과 가까워질 수 있게 하고 의료서비스의 질 향 상과 더불어 의료기관 서비스경쟁력을 높인다 [1][4][5].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의료기관 코디네이터는 ‘병원코디네이터’로 1994년에 치과에서 생겼고 점 차 내과, 소아과의원 및 병원과 종합병원까지 활동 영역이 확장되었다[1][4]. 병원코디네이터는 그들이 근무하는 의료종목의 이름을 합성하여 한의원코디 네이터, 치과코디네이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1]. 병원코디네이터는 서비스에 중점을 두었기에 비의 료인도 취업가능하였는데 코디네이터의 수요가 증 가하면서 많은 사설교육기관이 생겨났다[1]. 현재 는 각각의 자격기관에서 약 30시간정도의 교육 후 민간자격시험을 실시하고 있다[4]. 여러 코디네이 터 교육기관은 코디네이터제도의 활성화 시켰지만 각 교육기관마다 코디네이터 직무해석, 역할 및 역 량을 다르게 정의하고 있기에 선행연구에서는 병 원코디네이터가 직무혼돈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 였다[1]. 명확하지 않은 직무는 다른 직종과 갈등 을 일으킬 수 있다[6]. 특히나 의료기관에서 불명 확한 직무는 의료관계법 위반으로 이어질 위험성 이 존재한다[7]. 더하여 현재 우리나라 의료기관에 는 비의료인 병원코디네이터도 근무하고 있으며, 동시에 간호인력들도 장기이식코디네이터, 임상연 구코디네이터라는 명칭 등으로 여러 가지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1][8]. 이렇듯 성격이 다른 여러 코 디네이터가 의료현장에서 근무하고 있지만 아직까 지 정확한 코디네이터의 종류 및 종사인원조차 파 악되지 않고 있다[7]. 코디네이터의 직무혼란 및 타 직종과의 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의료기 관에 근무하고 있는 코디네이터의 종류를 알아보 고 그들의 직무를 명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직무분석은 한 직무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특징, 자격요건 등 상세한 정보를 수집하고 직무관 리목적에 일치하도록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과정이 다[9]. 직무분석방법에는 면접법, 관찰법, 설문지법,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기법, 동태적 직무분석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그 중 DACUM 기법은 해당 직무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실 무중심의 직무를 분석할 수 있어서 직무분석연구 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10]. 또한 동태적 직무분석 방법의 경우 DACUM과 같은 수직적 직무분석방 법을 수행하고 추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평적 분석을 추가하는 방법이다[11]. DACUM 기법과 동태적 직무분석방법은 해당직무의 전문가가 직무 분석을 시행하기에 직무의 현실과 상관성이 높으 며 현장 직무수행 실태를 잘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10][11].

    의료기관의 코디네이터 종류는 한국고용정보원 에서 제공하는 한국직업사전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국직업사전은 직업탐색 및 직업연구와 정 책수립을 위하여 직업에 따른 세부직무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직업사전에 기록되지 않은 직업도 있기에[3] 현재 활동중인 의료기관의 코디네이터의 종류와 그들의 수행직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검증된 문헌을 활용한 문헌고찰이 필요 하다.

    현재 의료기관 코디네이터에 직무분석 연구는 보건, 간호, 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4][12][13]. 직무분석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된다는 것은 그만큼 코디네이터가 다양한 분야에 서 취업하고 있다는 것을 반추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각각의 분야에서 단일 직업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코디 네이터에 대한 종류 및 직무에 관한 전체적인 시 각을 가진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4][6][11][13].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발행된 의료기관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연구를 종합하여 코디네이 터의 종류를 알아보고 그들이 실제수행하고 있는 직무를 확인하고 현재 관리의 사각지역에 있는 의 료기관 코디네이터를 관리방법을 모색함으로서 앞 으로 코디네이터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에 소속된 코디네이터 들의 직무분석 관련 연구 중에서 선정기준에 적합 한 논문을 추출한 후 코디네이터의 종류와 그들이 수행하는 직무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종합하기 위 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연구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코디네이터의 종류와 그들의 직무를 확 인한다. 두 번째,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코디네이 터들이 실제로 어떤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지 시사 점을 확인한다.

    문헌의 선정기준은 국내 의료기관 코디네이터들 을 대상으로 직무분석을 시행한 연구로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된 연구,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을 통하여 책무와 과업을 제시한 연구이다. 정확한 자 료수집을 위하여 먼저 의료기관 코디네이터의 범 위를 설정하였고 그 후 문헌검색 및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1) 의료기관 코디네이터의 범위설정

    한국직업사전(2020)에서 ‘코디네이터’를 검색하 여 직업의 직무개요 및 표준산업분류와 표준직무 분류를 확인하였다. 한국직업사전에는 총 11개의 코디네이터가 있었다. 본 연구에 포함된 의료기관 에 근무하는 코디네이터는 총 5종류로 병원코디네 이터,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장기이식 코디네이터,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건강코디네이터가 있었다 <Table 1>. 의료기관에 근무하지 않는 코디네이터 는 총 6개로 건설코디네이터, 빌딩정보모델링코디 네이터, 도시재생코디네이터, 인테리어코디네이터, VFX코디네이터, 패션코디네이터가 있었으며 본 연 구에 포함하지 않았다.

    <Table 1>

    Medical institution coordinator listed in the Korean Occupational Dictionary

    Job / Job code similar names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job classification
    Hospital coordinator/0292
    • Hospital Survice Coordinator

    • Medical Coordinator

    Q861 Hospital
    Q862 Clinc
    3991
    Customer counseling and monitoring agents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1222
    • Clinical Research nurse

    • CRC(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M701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2131
    Life science test institute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3040
    • Organ Transplant Nurse

    • Transplant Coordinator

    • Transplant Nursing Coordinator

    • Kidney Nurse

    Q869
    Other health care
    2430 Nurs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5213
    • Medical Tourism Coordinator

    N752
    Travel agencies and other travel assistance services
    4231
    Leisure and tourism service workers
    Health Coordinator/6151
    • Health Food Coordinator

    Q861 Hospital 5212
    Store salesperson

    2) 문헌검색 및 자료수집

    코디네이터의 범위설정 후 문헌검색을 시행하였 다. 본 연구는 Cochrane 핸드북의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ic review and Meta Analysis)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분석대상을 선정하고 수집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시행하였다<Figure 1>.

    <Figure 1>

    Flow diagram of study selection

    KSHSM-17-3-15_F1.gif

    첫째, 문헌검색은 2022년 12월 30일부터 2023년 1월 8일까지 수행하였고 출판년도는 제한 없이 검 색하였다. 둘째, 자료 검색은 출판편향을 줄이기 위하여 넓은 범위를 검색하였다. 국내문헌은 학술 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학술정보(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디비피아 (DataBase Periodical Information Academic, DBpia),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운영하는 ScienceON, 한국학술지 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를 통하여 출판 및 완성된 학술지를 검색하였다. 한국직업사전을 통하여 설정한 5종류 의 코디네이터의 명칭 및 유사명칭을 포함하여 검색식을 작성하였다. 구체적인 검색어는 ‘코디네 이터’, ‘장기이식간호사’, ‘연구간호사’, ‘신장간호 사’, ‘Coordinator’ AND ‘직무분석’, ‘업무분석’, ‘데 이컴’, ‘직무기술서’, ‘DACUM’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총 133편의 연구를 수집하였다. 문헌의 누락 을 방지하고자 검색논문의 참고도서를 수기로 검 색하였다. 셋째, 중복으로 검색된 101편을 제거한 후, 남은 41편의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근무지가 병원이 아닌 연구 11개, 근무지가 의료기관이나 코 디네이터가 아닌 연구 10개를 제거하였다. 넷째, 원문을 확보 후 검토하여 직접 직무분석을 수행하 지 않은 연구 7개를 제거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13편의 문헌이 체계적 문헌고찰 대 상 연구로 선정되었다.

    3) 문헌의 질평가

    수집된 문헌의 질평가를 시행하였다. 현재 직무 분석의 연구의 질평가도구는 개발되어 있지 않았 기에 본 연구에서 다빈도로 사용한 직무분석방법 을 파악한 후 해당 절차대로 연구를 수행하였는지 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13개의 문헌 중 12개는 수 직적 직무분석방법인 DACUM기법을 사용하였으 며 1개의 문헌은 수직적 방법에 수평적 방법을 추 가로 사용한 동태적 직무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하려는 자료는 수직적 직무분석 결과이기에 문헌검증은 대부분 문헌에 사용된 수 직적 직무분석방법인 DACUM 기법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문헌의 질평가는 Norton & Moser[4]의 DACUM hand book(4thed)의 절차를 참고하였다. 첫째, 직무를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는 경험이 풍 부한 종사자, 연구기록자, 데이컴전문가를 포함하 여 데이컴위원회를 구성한다. 둘째, 연구를 시작하 기 전 데이컴 전문가는 DACUM 분석방법에 대하 여 오리엔테이션을 한다, 셋째, 워크샵에 참여한 전문가가 수행하고 있는 직무내용을 순차적으로 열거한다. 넷째, 직무내용을 검토 후 책무와 과업 을 규명한다. 다섯째는 과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도구를 확인하는 것이다. 여섯째, 책무와 과업을 검토, 수정, 보완하여 차트를 완성 한다[4]. 이 중 DACUM 5단계는 DACUM handbook(4thed)이 나온 2013년도에 추가되었는데 본 연구에 수집된 문헌의 절반 이상은 5단계가 진 행되기 전에 이미 시행된 연구이기에 5단계의 수 행여부는 질평가에 추가하지 않았다. 문헌의 질평 가 결과 모든 문헌이 DACUM에서 사용하는 절차 대로 작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모든 문헌을 체계적 문헌고찰에 포함하였다.

    2. 자료 분석 방법

    자료수집은 연구자가 개발한 구조화된 분석양식 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 - 문헌에서 수집된 자료는 의료기관 코디네이터 의 명칭, 연구방법, 연구비 지원여부, 연구목적, 직 무분석방법, 책무와 과업, 직업을 가지기 위한 자 격요건 등이며 수집된 자료는 Microsoft Excel을 활용하여 정리하였다.

    • - 문헌에서 수집된 코디네이터의 직무는 한국직 업능력개발원의 분류대로 6가지(고객관리, 조직관 리, 자기관리, 병원마케팅, 원무관리, 병원시설관리) 로 구분하였다[14].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의 특성

    본 연구에서 분석한 직무분석에 관한 논문을 출 판연도별로 분류한 결과 2003년을 시작으로 2009 년까지 3편(23.1%), 2010년∼2015년 5편(38.4%), 2016년 이후가 5편(38.4%)이었다. 평균 저자수는 2 명에서 12명까지로 나타났다. 총 4편의 연구가 연 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되었다. 직무분석에 사용한 연구방법은 DACUM 12개, 동태적 직무분석방법 1 개이며 연구에 참여한 인원은 8명~ 300명이었다 <Table 2>.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view article

    Authors (year) Name of Coordinator Name of journal Fund support Research method n
    Yoo et al.(2011) Hospital coordinator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X DACUM 15
    Yoo et al.(2016) Head hospital coordinator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X DACUM 15
    Cho et al.(2018) Dental coordinat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X DACUM 8
    Lee et al.(2009) Cancer care coordinator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Administration O Dynamic Job Analysis 9
    Sung et al.(2009)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O DACUM 132
    Cho et al.(2014) Coordinator working in the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X DACUM 30
    Hwang et al.(2021) Care coordinators (nurse) Journal Korean Academic Nursing X DACUM 50
    Kang et al.(2012) Clinical research doordinator Journal Korean Academic Nursing X DACUM 300
    Byun et al.(2003)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 Journal Korean Academic Nursing X DACUM 70
    Kim et al.(2014)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O DACUM 78
    Kim et al.(2011) Global health care coordinator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O DACUM 62
    Hwang et al.(2017)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X DACUM 10
    Dang et al.(2019)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Jout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X DACUM 122

    2. 코디네이터의 종류와 직무분석목적

    1) 코디네이터의 종류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에 사용된 연구대상자 를 한국직업사전의 직업명 및 직업코드를 사용하 여 분류하였다. 그 결과 병원코디네이터 3편, 임상 시험코디네이터 1편, 장기이식코디네이터 2편, 국 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3편이 있었다. 국제진료코디 네이터는 2013년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제 도가 생기기 전인 2011년의 명칭이기에 국제의료 관광코디네이터로 분류하였다. 직업사전의 분류에 없는 코디네이터는 암환자케어 코디네이터, 심뇌혈 관 코디네이터, 진료코디네이터, 만성질환관리 코 디네이터등이 있었다.

    2) 직무분석 연구목적

    수집된 문헌들을 직업사전의 기준으로 분류한 뒤 수집된 연구들의 연구목적과 자격요건을 확인 하였다<Table 3>.

    <Table 3>

    The purpose of the coordinator's job analysis study

    Job / Job code Authors (year) Name of Coordinator Purpose of the research Qualifications required
    Hospital coordinator/0292 Yoo et al.(2011) Hospital coordinator Reestablishment of roles private license (not required condition)
    Yoo et al.(2016) Head hospital coordinator Role difference analysis
    Cho et al.(2018) Dental coordinator Curriculum development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1222 Kang et al.(2012)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Role establishment Nurse's license (not required condition)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3040 Byun et al.(2003) T r a n s p l a n t a t i o n coordinator Role establishment Nurse's license Doctor’s license
    Kim et al.(2014)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 Reestablishment of roles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5213 Kim et al.(2011) Global health care coordinators Role establishment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national qualification
    Hwang et al.(2017)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Practical test development
    Dang et al.(2019)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Role establishment
    Not classified Lee et al.(2009) Cancer care coordinator Role establishment Nurse's license
    Sung et al.(2009)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Role establishment Nurse's license
    Cho et al.(2014) Coordinator working in the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Role establishment Nurse's license
    Hwang et al.(2021) Care coordinators (nurse) Role establishment Nurse's license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연구의 목적은 주로 신생 직업의 역할규명, 기존직업의 역할재규명, 교육과 정 및 시험개발, 역할별 차이규명으로 크게 4가지 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역할규명 및 역할 정립을 목적으로 시행된 연구는 총 9편이었다.

    그 중 암환자케어코디네이터, 심뇌혈관질환센터 코디네이터, 케어코디네이터(간호사), 국제의료관광 코디네이터는 정책 및 제도의 설립과 관련되어 새 로 생겨난 직업이었다. 두 번째, 기존직업의 역할 을 재규명한 연구는 총2편으로 장기이식코디네이 터,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연구가 있었다. 세 번 째, 교육관련 연구는 2편으로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치과코디네이터 직무분석연구, 실기시험개발을 위 한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직무분석연구가 있었 다. 마지막으로 병원코디네이터 실장의 직무분석은 기존 병원코디네이터와 역할 차이를 규명하기 위 하여 시행되었다.

    추가로 각 코디네이터 직업을 가지기 위한 자격 요건을 확인하였다. 먼저 병원코디네이터는 민간자 격증이 있지만 직업을 가지기 위한 필수조건은 아 니였다. 임상연구코디네이터는 대부분 간호사들이 연구간호사라는 이름으로 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간호사 면허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였다. 장기이식코디네이터는 간호사면허 혹은 의사면허 가 요구되었다.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는 국가자 격증이 있었다. 직업사전에 없는 코디네이터들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간호사 자격증이 필요 하였다.

    3. 의료기관 코디네이터 직무

    본 연구에서 수집된 코디네이터 직무명세서의 구체적인 직무인 의무(Duty)와 일(Task)를 수집하 였다. 수집된 직무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14]의 병 원코디네이터를 직무분석분류에 따라서 6가지 직 무(고객관리, 조직관리, 자기관리, 병원마케팅, 원무 관리, 병원시설관리)로 구분하고 그 외 직무 기타 로 표기하였다. 유형식(2011)의 병원코디네이터의 직무 중 진료지원은 세부내용을 확인한 결과 진료 시간조절, 재진예약, 진료예약안내하기 등으로 확 인되어 고객관리로 분류하였다.

    직무분류 결과 대부분 코디네이터는 고객관리, 조직관리, 자기관리를 시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하지만 마케팅, 원무관리, 병원시설관리는 코디 네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시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 았다.

    분류되지 않은 기타직무를 확인한 결과 직업사 전에 분류된 코디네이터들은 병원코디네이터의 6 가지 직무 외에 각자의 전문화된 직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즉 임상시험코디네이터는 임상시험 관련직 무, 장기이식코디네이터는 장기이식과 관련된 전문 가적인 업무,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는 관광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이 외 몇몇 코디네이터는 기타직무로 환자를 직접간호하거나 환자교육 등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환자에게 직접 간호 및 교육을 수행하는 코디네이터는 국제진료코디네이터, 국제 의료관광코디네이터, 암환자케어코디네이터, 진료 코디네이터, 심뇌혈관질환코디네이터가 있었다 <Table 4>.

    <Table 4>

    Duties of Medical Institution Coordinator

    Authors (year) Name of Coordinator (duty & task) Classification of duties
    Hospital coordinat or/0292 Yoo et al.(2011) Hospital coordinator (duty10, task76)
    • C: Customer service, Customer consultation, Customer management, Medical support

    • O: Medical service planning, Organization management

    • S: Self development

    • M: Marketing, Medical institution image management

    • A: Financial management

    Yoo et al.(2016) Head hospital coordinator (duty9, task68)
    • C: Customer management,

    • O: Organization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 S: Self development

    • M: Marketing,

    • A: Financial management

    • Etc: Medical service quality management, Business planning, Business analysis

    Cho et al.(2018) D e n t a l coordinator (duty8, task34)
    • C: External customer management

    • O: Administrative administration, Internal customer management

    • S: Self development

    • A: Manage medical record, Materials and equipment management

    • F: Environmental and interior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Clinical research coordinat or/1222 Kang et al.(2012)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duty12, task78)
    • C: Participants management, Participants education

    • S: Self improvement

    • A: Data management, Document management, Research budget management, Administrative work for research review/supervision organization

    • F: Management of research facilities and materials

    • Etc: Research management, Management of standard operational procedure, Management of research related specimen and test, Plans for clinical trial

    Organ transplant ation coordinat or /3040 Byun et al.(2003) O r g a n transplantation Coordinator (duty5, task22)
    • C: Donor management, Recipient management

    • S: Professional development

    • M: Management for activating of organ donation

    • A: Administering organ transplantation

    Kim et al.(2014) O r g a n transplantation Coordinator (duty5, task13)
    • C: Donor management, Recipient management

    • S: Professional capability development

    • M: Organ donation activation management

    • A: Organ transplantation administration

    Internation al medical touri sm coordinat or/5213 Kim et al.(2011) Global health care coordinators (duty8, task59)
    • C: Customer service, Education consultation

    • S: Self development

    • M: Hospital marketing

    • A: Administrative management

    • F: Facility management Risk management

    • Etc: Tourism business support, Performing direct nursing & medical support

    Hwang et al.(2017)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duty4, task44)
    • C: Medical tourism consultation, Medical tourism information

    • A: Post treatment (cost management)

    • Etc: Medical tourism planning

    Dang et al.(2019)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duty8, task63)
    • C: Tour information, Patient guidance in the hospital, Interpretation service provided, Patient satisfaction management

    • M: Marketing

    • A: Manage medical record

    • Etc: Patient education, Patient care

    Not classified Lee et al.(2009 Cancer care coordinator (duty6, task14)
    • C: Consultation and counsel

    • O: Coordination and collaboration

    • S: Leadership

    • Etc: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Research

    Sung et al.(2009)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duty10, task54)
    • C: Patient and family counseling

    • O: Hospital staff training, Coordination of treatment flow, Meeting planning and operation, Business improvement activities

    • S: Self development

    • M: Marketing to the community

    • A: Administrative work

    • Etc: Direct patient care.

    Cho et al.(2014) Coordinator working in the regional cardiocerebrov ascular center. (duty10, task69)
    • C: Tasks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 O: Education for professional workforce, Task of pomotion

    • S: Self improvement

    • A: Tasks of administration

    • Etc: Patient education, Management of major critical pathway, Management of education program, Developing and production of education data,

    Hwang et al.(2021) Care coordinators (Nurse) (duty12, task42)
    • C: Registration and intake, Counselling and support

    • O: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Service linkage and coordination

    • S: Professional development

    • A: Documentation, Administration

    • Etc: Assessment of health and family history, Comprehensive assessment, Care plan, Patient management, Health education,

    C=Customer management, O=Organization management, S=Self care, M=Marketing, A=Administrative management, F=Facility management

    Ⅳ. 고찰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코디네이터의 종류와 직무분석 방법, 결과의 범위를 확인하고 분 석함으로서 국내 의료기관 코디네이터의 수행직무 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코디네이터는 총 9종류가 있었다. 그 중 5종류의 코디네이터는 직업분류사전 에 기재된 코디네이터이며 그 외 4가지 종류의 코 디네이터는 직업사전의 기준으로 분류하기 힘들었 다. 먼저 직업분류사전의 코디네이터 중 직무분석 연구가 진행된 연구는 4개로 병원, 임상시험, 장기 이식,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이다. 직무분석이 시 행되지 않은 직업은 건강코디네이터로 2016년 고 용노동부의 승인을 받아 처음 생겨났으며 병원과 약국에서 기능성식품을 판매하는 일을 시행하며 직무분류상 상점판매원(5212)으로 구분된다[3]. 건 강코디네이터에 대하여 조사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명칭을 가진 다른 직업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은 서울시 치매안심센터에서 활동하는 건강코디네 이터로 치매초기어르신의 인지프로그램의 방문학 습을 하는 50세 이상의 전문활동가였다[15]. 두 직 업 모두 비의료인이 관련 교육을 받은 후 건강관 련 직무를 수행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두 직종이 서로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아직 건강코디네이터의 직업은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직업분류사전으로 분류할 수 없는 4가지의 코디 네이터는 암환자케어코디네이터, 진료코디네이터, 심뇌혈관질환센터코디네이터, 케어코디네이터였다. 일반적으로 병원코디네이터들은 의료종목 또는 수 행직무에 따라서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부르고 있지 만[1] 이들 코디네이터들은 간호직무를 수행하거나 [11][16], 간호사 면허가 필요한 직종이기에[8,17] 서비스 중심의 직무를 수행하는 병원코디네이터로 분류하기는 힘들었다. 따라서 이들 직업은 기존의 병원코디네이터와는 다른 성격을 가진 새로운 직 업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도 지난 수십년동안 과학기술의 발전과 산업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직업이 생성되었다고 하였 다[3]. 본 연구를 통하여 코디네이터의 종류를 확 인해 본 결과 직업사전에 기록된 코디네이터의 종류보다 많은 코디네이터가 활동 중임을 알 수 있었다.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연구들의 목적을 분류한 결과 직무수행의 목적은 신생직업의 직무분석 8개, 교육과정 및 자격시험개발을 위한 연구가 2개, 기 존직업의 역할을 재규명하거나 직급에 따른 직무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 3개 있었다. 이렇듯 신생직업에 대한 직무분석 연구가 많다는 것은 의 료계에서도 의료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업무 가 출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18]. 본 연구 에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새로운 코디네이터가 발 생하는 유형을 분석해보았다. 첫 번째 유형은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생겨난 간호사 코디네이터가 있 었다. 우리나라 대형병원조직은 부서간 장벽의 높 은 특징이 있기에 부서들의 관계를 조정, 중재, 관 리하는 코디네이터의 역할이 필요한 상황이였다 [1]. 이러한 분위기에서 의료기관에서 효율성 제고 를 위해 간호인력이 암환자코디네이터 혹은 진료 코디네이터 등으로 불리우며 여러부서들을 연결하 며 여러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었다[8]. 두 번째 유형은 국가의 정책개발과 관련 하여 생겨난 코디네이터가 있었다. 국제의료관광코 디네이터는 2009년 의료관광과 관련된 의료법이 개정되면서 생겨난 직업이다[6]. 암환자케어코디네 이터는 종양전문간호사제도와 관련하여 생겨난 직 업이며[11] 현재는 암전문코디네이터[19] 혹은 항암 전문간호사[20] 등 병원마다 상이한 이름으로 부르 고 있으나 대부분 종양전문간호사가 근무하고 있 었다[19]. 또한 심뇌혈관센터코디네이터는 정부의 보건의료분야 균형발전정책‘의 일부로 권역별 심뇌 혈관질환센터를 설립하면서 만들어진 직업으로 심 뇌혈관질환센터 운영지침에는 교육전담 코디네이 터를 고용하여 심뇌혈관질환을 환자를 교육하고 질병을 예방하도록 명시하였다[8]. 2022년 심뇌혈 관센터운영지침을 확인한 결과 심뇌혈관코디네이 터, 교육전담코디네이터, 교육전담간호사의 명칭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2023년에는 교육전담간 호사로 명칭을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었다[21]. 케 어코디네이터는 2019년 일차의료만성질환관리시범 사업에서 의사와 지역사회 구성원의 사이를 연결 하여 만성질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서 생겨난 직업이었다[17]. 이를 종합하면 최근까 지도 정책과 관련된 새로운 코디네이터들이 생성 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번째 유형은 기존 의 직업명을 코디네이터로 변경한 경우이다. 장기 이식전문간호사회는 1999년에 대한장기이식 코디 네이터협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현재 장기이식코 디네이터 및 장기조직구득의사와 간호사를 지칭하 는 KODA Coordinator, 장기이식전문간호사를 지 칭하는 장기구득코디네이터(Organ procurement coordinator, OPC)라는 명칭을 함께 사용하고 있 다[22].

    직무분석을 시행한 연구목적 중 자격시험 등을 위한 연구는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가 유일하였 다.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자격증은 국가자격 증이며 응시기준은 간호사, 보건의료, 관광분야, 언 어전공분야의 등 비의료인도 취득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수집된 코디네이터들의 자격을 확인한 결 과 심뇌혈관센터코디네이터, 케어코디네이터 등은 간호사 면허가 필요하고[21][17], 병원코디네이터는 민간자격증을 운영하지만 자격증이 없어도 취업이 가능하였다[7]. 이를 종합한 결과 의료기관의 코디 네이터 유형은 서비스중심의 비의료인 병원코디네 이터, 국가자격증이 필요한 비의료인코디네이터(국 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간호사 코디네이터 세가지 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자격의 차이를 보임 에도 불구하고 현재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여러 유 형의 코디네이터들은 의료인 여부와 상관없이 모 두 코디네이터라는 직업명을 사용하고 있었다.

    코디네이터들이 실제 수행하는 직무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한 결과 대부분의 코디네이터의 수 행직무는 다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코디네이터들 은 고객관리, 조직관리, 자기관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추가로 각 코디네이터의 자격기준에 맞추 어 간호직무나 관광직무 등을 추가로 수행하고 있 었다. 즉 코디네이터의 업무에 별도로 수행하는 직 무가 간호 혹은 관광 등의 전문적인 직무를 수행 하면서 관련자격요건이 필요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현재 수집된 연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비의 료인 코디네이터는 비의료직무를 의료인코디네이 터는 의료직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국제의 료관광코디네이터의 경우 의료인이 아니기에 비의 료직무를 수행해야함에도 불구하고 간호사직무인 직접간호와 환자교육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간호사는 외국인과의 의사소통문제로 코디네이터와 함께 환자간호 및 교육을 수행하지 만 인력이 부족한 일부 병원에서는 의료관광코디 네이터가 환자상담 및 교육을 한다고 하였다[6]. 의료관광을 온 환자들은 주목적이 수술 및 치료이 기에 양질의 간호를 원하며 부적절한 간호활동의 경우 환자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23]. 이와 관련하여 2021년 국정감사에서는 최근 비의료행위 를 수행하는 병원코디네이터를 간호사로 고용하는 추세가 증가함에 따라 병원코디네이터가 의료행위 를 수행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였다[7]. 일반적인 병원코디네이터는 환자예약, 관리 등 비 의료행위를 수행해야 함으로 병원서비스코디네이 터가 의료상담, 교육직무 등을 수행하여 의료법을 위반하지 않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1][7].

    코디네이터에 대하여 더욱더 엄밀한 업무분장과 행정교육 지도를 한다고 하여도 지금처럼 의료인 코디네이터와 비의료인코디네이터의 구별없이 유 사한 명칭사용을 지속한다면 직무혼돈 및 나아가 의료법 위반의 위험이 지속될 것이라 예상된다. 더 하여 의료기관에 방문하는 일반인은 의료인과 비 의료인 코디네이터를 구별하기는 매우 어렵기에 의료법 위반이 일어나더라도 환자는 이러한 사실 을 알 수 없기에 환자들의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 된다.

    이와 유사한 예로 부동산 분야에 공인중개사와 중개보조원과 관련된 문제를 볼 수 있다. 부동산에 근무하는 중개보조원은 현장 안내와 일반 서무 등 단순한 업무만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가 공인중개사와 중개보조원을 구분하기는 어렵기에 현실에서는 중개보조원이 중개대상물을 광고하거나 거래계약체결 등 불법 중개가 이루어 지고 있다[12].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불법행위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중개보조원의 수를 제한하고 중개보조원의 명칭을 사무원, 사무직원으로 변경해 야 한다고 하였다[24].

    의료계에서도 환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유사 한 직업명칭 사용을 금지하게 한 사례도 있었다. 약국이나 병원 등에서 기능성식품을 파는 영양상 담사는 영양사가 아니지만 병원에서 근무하는 상 담영양사는 영양사면허가 필수이다. 일반인들이 상 담영양사와 영양상담사를 사람들이 혼동하여 각종 부작용이 일어나자 정부에서는 법개정을 통하여 영양사 자격이 없는 사람에게 영양상담사 명칭사 용을 금지하였다. 현재영양상담사는 건강코디네이 터로 명칭을 변경한 상태이다[25].

    종합하자면 현재 의료기관의 코디네이터도 영양 상담사 및 공인중개인과 유사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즉 의료인코디네이터와 비의료인코디네이터 는 서로 다른자격기준을 가지고 있지만 유사한 명 칭을 사용하고 있다. 더하여 현재 의료기관의 코디 네이터의 종류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 라서 환자안전을 위하여 코디네이터 및 간호사들 이 업무분담과 책임범위를 명확히 규정해야하고 가능하다면 비의료인코디네이터와 의료인코디네이 터의 명칭을 구분되게 변경할 필요가 있다. 현재 미국에는 의료기관 코디네이터라는 직업은 없지만 유사한 직무를 수행하는 직업으로 의료비서 및 행 정보조원(Medical Secretaries and Administrative Assistans, MSAA)과 의료보조 (Medical assistant, MA)가 있다[7]. 두 직업 모두 별도의 자격증이 필 요하지 않고 의사 또는 간호사의 지시아래 업무를 수행하고 의료현장에서 다양한 지원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피어리뷰를 통하여 검증된 문헌을 수 집하였으며 전문가들이 의료현장에서 코디네이터 들이 실제 수행하는 직무를 분석하는 데이컴기법 및 동태적직무분석방법을 사용한 문헌을 수집하였 기에 의료기관의 코디네이터의 현실을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였다. 또한 한번도 논의되지 않았던 코디네이터의 종류와 직무에 대 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학회에 발표된 연구만을 사용한 것으로 의료현장에 존재하지만 직무분석이 시행되 지 않은 코디네이터들의 직무분석 연구를 진행한 후 문헌고찰 연구를 반복연구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사회 여러방면에서 합의를 통하여 의료인과 비의료인코디네이터를 갈등없이 구분할 방법을 강 구할 필요가 있다.

    Ⅴ.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 코디네이터의 직무분 석 문헌들을 이용하여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코디 네이터의 종류 및 특징과 그들이 수행하는 직무의 시사점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현재까지 의료기관에는 여러 종류의 코디네이터 직업들이 생겨났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정책개발 및 의료기술발전에 따라 전문화된 코디네이터들이 지속적으로 생겨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연 구에 수집된 여러문헌의 연구목적을 분석한 결과 몇몇 코디네이터들이 직무혼란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비의료직무를 수행하는 코디네이터와 의료직 무를 수행하는 코디네이터가 의료기관에서 유사한 이름으로 함께 근무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의료현 장은 직무간의 갈등이 빈번하고 간호인력이 항상 부족하며 환자들은 비의료인이 의료행위를 시행하 더라도 그 사실을 알 수 없다. 따라서 비의료인의 의료법위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법개정을 통하여 의료인코디네이터와 비의료인코디네이터를 유사직업명칭을 금지하고 그들의 업무영역을 명확 하게 규정해야 한다. 더하여 보건 의료인력을 양성 하고 있는 다수의 학교에서도 학생들을 교육할 때 환자 관리와 보건정책의 연관된 직무와의 연결고 리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분석이 이루어 져야 하 며 각자의 직무범위 안에서 서로 협력하여 일할 수 있도록 직무수행프로토콜을 개발할 필요가 있 다. 국가차원에서도 본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코 디네이터의 종사규모 등 현황을 파악하고 그들의 자격과 업무의 정의가 명확하게 정리되도록 정부 가 행정적으로 대응할 것을 제안한다.

    Figure

    KSHSM-17-3-15_F1.gif
    Flow diagram of study selection

    Table

    Medical institution coordinator listed in the Korean Occupational Dictionary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view article
    The purpose of the coordinator's job analysis study
    Duties of Medical Institution Coordinator
    C=Customer management, O=Organization management, S=Self care, M=Marketing, A=Administrative management, F=Facility management

    Reference

    1. J.A. Kim, H.K. Lim, J.W. Park (2015), Hospital Coordinator, Soomunsa, pp.14-29.
    2. https://en.dict.naver.com/#/entry/enko/0b2b845054974c9695b13dea28871b5d
    3. J.H. Lee (2019), Korea Dictionary of Occupation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p.6-2563.
    4. H.S. Yoo, S.D. Lee, S.Y. Shim (2011), Job Analysis of Hospital Coordinator Based on the DACUM Method. Korea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Vol.15(3);101-114.
    5. H.S. Yoo, S.Y. Shim, M.S. Kim (2016), The Job Analysis of Head Hospital Coordinators Based on the DACUM Method.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21(3):37-52.
    6. G.M. Dang, J.H. Kim (2019),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Plastic Surgery Medical Tourism Coordinators for Chinese,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Vol.38(2);23-49.
    7. M.H. Kim (2021), 2021State Administration Audit Issue Analysis,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pp.11-14.
    8. K.S. Cho, S.B. Kwon, K.S. Lee, H.M. Son (2014), Job Analysis of Coordinator Working in the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Vol.21(2);153-163.
    9. D. Ignatavicius, J. Griffith (1982), Job Analysis: The Basis of Effective Appraisal,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2(7-8);37-41.
    10. R.E. Norton, J. Moser (2013), DACUM Handbook(4th ed.), Columbus: OH: Center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pp.1-232.
    11. T.W. Lee, E.H. Kim, I.S. Ko, I.S. Lee (2009), Dynamic Job Analysis of the Cancer Care Coordinator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5(4);571-580.
    12. H.S. Kang, H.M. Son, N.Y , Lim, K.S. Cho, S.B. Kwon, Y.J. Yi, Y.S. Park, E.H. Lee, J.H. Kim, H.J. Han, J.M. Baik, Y.H. Jeong (2012), Job Analysis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Using the DACUM Process, Journal Korean Academic Nursing, Vol.42(7);1027-1038.
    13. H.S. Kim, Y.S. Yoo, O.H. Cho (2014), Task Performance and Analysis of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20(2);246-255.
    14. J.H. Kim (2004), Job Analysis of Hospital Coordinator in Korea, Korea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 pp.1-89.
    15. https://50plus.or.kr/appView.do?ANN_NO=839&setPageIndex=1
    16. Y.H. Sung, N.Y. Lim, G.O. Park, J.H. Jung, I.G. Kwon, U.S. Kim, M.S. Hwang (2009),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Clinical Nurse with Education and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5(2);139-155.
    17. J.H. Hwang, U.J. Choi, M.S. Kim, S.E. Yi, Y.S. Park, J.H. Kim. J.Y. Yoon, D.S. Shin (2021), Job Analysis of Nurse Care Coordinators for Chronic Illness Management in Primary Care Settings: Using Developing a Curriculum Proces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51(6);758-768.
    18. Y.H. Sung, N.Y. Lim, K.O. Park, J.H. Jung, I.G. Kwon, U.S. Kim (2009),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Clinical Nurse with Education and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5(2);139-155.
    19. https://gs-cancer.severance.healthcare/gs-cancer/patient-carer/guide/hospital-guide/cancer-nursing.do
    20. http://cancer.snuh.org/content/G002005007.do
    21. https://www.mohw.go.kr/react/search/search.jsp
    22. https://www.koda1458.kr/organ/terminology.do
    23. H.G. Ryu, Y.J. Han, W.H. Jang, J.J. Kim (2014), Research of Awareness of the People in Charge of Medical Tour Regarding the Qualifying Examination of International Medical Tour Coordinator, Vol8(3);63-73.
    24. H.J. Chae (2020), Case Analysis on Real Estate Transaction Incident of Brokerage Assistant, Korea Association of Real Estate Law, Vol.23(3);143-161.
    25. http://www.00news.co.kr/news/curationView.html?idxno=60104
    August 11, 2023
    September 16, 2023
    September 27, 2023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