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7 No.1 pp.13-21
https://doi.org/10.12811/kshsm.2023.17.1.013

노인의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이 스마트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

박은하‡
부산가톨릭의료원 메리놀병원

The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n Smartphone Use in Older Adults

Eun-Ha Park‡
Busan Catholic Medical Center Maryknoll Hospit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egree of adaptation of the older adults to the digital age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cognitive functio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which determine the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on smartphone use.


Methods:

Data of 9,885 senior citizens aged 65 years or older from the 2020 Senior Survey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us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hile controlling for maj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spouse presence, and economic activity.


Results:

Among the cognitive functio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it was confirmed that cognitive function was more significant for men, and the higher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women, the more significant it was for smartphone use.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finds that various policies and measures are required to strengthen cognitive function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devices for older adults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



    Ⅰ. 서론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2021년 기준 853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6.8%로 해마다 그 비 율이 빠르게 늘고 있다. 이 추세로 본다면 2025년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20.6%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1]. 이러한 우리 사회의 급속한 인구 고령화는 길어진 노년기의 신체적 · 정신적 건강, 소득과 경제, 사회활동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사회적 갈등과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2][3].

    생산가능인구는 감소하여 소비가 줄고, 기업의 투자 감소에 따른 사회의 총수요가 위축된다. 또 한, 노년 부양비를 증가시켜 사회보장기금들의 재정 악화를 초래한다. 그중 노인 의료비는 해마다 증가 하는 추세로 건강보험 총진료비 중 65세 이상 노인 의료비 비중이 2021년에는 43.4%를 차지하였다[4].

    중고령자는 신체적 기능 저하, 은퇴 등 인생 전 환기를 맞는 시점에서 심리적으로 위축되기 쉬우 며 60세 이후에는 사회적 관계망까지 축소되어 우 울, 외로움 등의 정서적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5]. 또한 인지기능 저하에 따른 치매를 비롯 하여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쉬운 시기로 건강상태 는 노년기 삶의 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 이다. 특히 스스로 인식하는 주관적 건강상태는 질 병의 유무 혹은 의료이용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평가된 상태를 말하며 임상적 건강 수준과 함께 일반적인 건강 수준을 반영하는 지표 중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6].

    따라서, 노년기 삶의 질을 좌우하는 인지기능 강화와 신체적 · 정신적 건강상태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나날이 급변하는 정보기술과 더불어 노인세대에 게도 디지털은 피할 수 없는 일상이 되었다. 정보 기술의 발전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기 또는 기 기 간 네트워크가 밀접하게 연결된 ‘초연결 정보화 사회’를 만들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20~40대는 99%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지만, 60대는 79%, 70대의 경우는 35%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보유율은 현저히 떨어지며 활용능력 또한 65세 이 상의 고령층은 타 세대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7].

    선행연구들은 노인이 디지털 기기와 정보 활용 을 통해 경험하는 유용성이나 지각된 성과가 인지 기능과 삶의 만족을 높여줄 수 있는 수단임을 강 조한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노인은 인지기능이 높았으며[8], 사회활동 참여 수준과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이었다[9]. 정보화 교육을 받은 노인은 생활 만족도가 더 높았고[10], 스마트폰 이용능력은 이 용성과를 통해 노인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11][12][13][14][15].

    따라서,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노인들의 스마 트폰 이용 여부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년기 삶의 질을 좌우하는 주요 변인인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 정도가 스마트폰 이용 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노인의 디지털 시대 적응 정도를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기능은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 을 미칠 것이다.

    셋째, 삶의 만족은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을 미 칠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에서 제공하는 2020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 다. 노인실태조사는 3년마다 수행되는 조사이며, 2008년 1차 조사를 시작으로 2020년 5차 조사가 수행되었다. 이 조사는 노인의 생활 현황과 특성 및 욕구를 파악하고, 시계열적 자료 축적을 통해 노인의 특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노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과 미래 고령사회에 대응하 는 노인 정책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65세 이상 노인가구 중 1차 추출된 조사구에 서 표본가구를 선정하여 TAPI(Tablet-PC Assisted Personal Interview)방식의 면접조사로 2020년 9월 14일부터 11월 20일까지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만족이 스마트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9,885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변수 및 측정 도구

    1) 독립변수

    (1) 인지기능

    인지기능은 MMSE-DS(치매 선별용 한국어판 간 이정신상태검사)로 측정한 점수로 지남력 10점, 기 억등록 3점, 주의집중 및 계산 5점, 기억회상 3점, 언어기능 7점, 이해 및 판단 2점으로 총 30점 만점 으로 측정되었다. 기능장애의 평가 기준은 24~30 점은 인지적 손상 없음, 18~23점은 경도 인지장 애, 10~17점은 분명한 인지기능 장애로 분류하였 다.

    (2) 주관적 건강상태

    응답자에게 평소 건강상태에 대한 생각을 묻는 문항으로 5점 척도 (매우 건강하다, 건강한 편이다, 그저 그렇다, 건강이 나쁜 편이다, 건강이 매우 나 쁘다)로 측정되었다.

    (3) 삶의 만족

    건강상태, 경제 상태, 배우자와의 관계, 자녀와 의 관계, 사회 여가문화 활동, 친구 및 지역사회와 의 관계 등 삶 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5점 척도(매 우 만족함, 만족함, 그저 그렇다, 만족하지 않음, 전혀 만족하지 않음)로 측정되었다.

    2) 종속변수

    종속변수는 스마트폰 이용 여부이다. 이용 여부 는 예, 아니오로 측정되었으며, 더미 변수로 변환 하여 분석하였다.

    3) 통제변수

    노인의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 가 스마트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 하여 주요 인구 사회학적 특성들을 통제하였다. 사 용변수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및 경 제활동이었고 성별, 배우자 유무 및 경제활동 여부 는 더미 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연령은 조사시점기 준 만 나이를 사용하였다. 교육수준은 무학에서부 터 대학교 졸업 이상으로 7개 구간으로 측정하였 다.

    4) 자료 분석

    통계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 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하였다. 인구 사회학적 특성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을 하였다. 인구 사회학적 변수와 노인의 인지기 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가 스마트폰 이 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 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인구 사회학적 특성

    연구대상의 연령분포는 남성의 경우 60대 36.5%, 70대 46.6%, 80대 이상이 16.9%이었고 여성 은 60대 34.7%, 70대 43.2%, 80대 이상이 22.1%이 었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는 남성이 80.6%, 여성 44.5%이었다. 교육수준은 남성의 경우 고등학교 졸 업이 36.9%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55.8%로 가장 많았다. 경제활동 여부는 남 성이 48.9%, 여성 30.9%로 여성보다 남성의 경제 활동 비율이 높았다. 스마트폰 이용 여부는 남성이 58.7%, 여성은 46.4%이었다<Table 1>.

    <Table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9,885)

    KSHSM-17-1-13_T1.gif

    2. 독립변수의 경향

    인지기능(최저 0점, 최고 30점)점수는 평균 24.32이었으며 정상범위가 남성은 73.3%, 여성은 60.6%이었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평균 3.34로 중간 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건강이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남성은 57.3%이었고, 여성은 44.9%이었다.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는 3.48로 중간보다 높은 수 준이었고 삶이 만족한 경우가 남성은 55.7%, 여성 이 49.3%이었다<Table 2>.

    <Table 2>

    Tendency of Independent Variables N(=9,885)

    KSHSM-17-1-13_T2.gif

    3.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이 스 마트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이 스마트 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델 1 과 모델 2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Table 3>.

    <Table 3>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n smartphone use

    KSHSM-17-1-13_T3.gif

    모델 1은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경 제활동 여부 등 인구 사회학적 변수를 모델 2는 모델 1의 변수에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을 추가하였다.

    모델 1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B=-.029, p<.0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B=.103, p<.001), 경제활동을 할수록(B=.050, p<.001) 스마트폰 이용에 유의하게 영 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31.6%이었다.

    모델 2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B=-.027, p<.0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B=.089, p<.001), 경제활동을 할 수록(B=.038, p<.001), 인지기능이 높을수록(B=.009, p<.001), 건강상태가 좋을수록(B=.015, p<.05), 삶의 만 족도가 높을수록(B=.036, p<.001) 스마트폰 이용에 유 의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32.8%이었다.

    4. 남성 노인의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 의 만족이 스마트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

    남성 노인의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이 스마트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델 1과 모델 2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Table 4>.

    <Table 4>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n smartphone use among older adult males

    KSHSM-17-1-13_T4.gif
    <Table 5>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n smartphone use among older adult females

    KSHSM-17-1-13_T5.gif

    모델 1은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경 제활동 여부 등 인구 사회학적 변수를 모델 2는 모델 1의 변수에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을 추가하였다.

    모델 1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B=-.028, p<.0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B=.096, p<.001), 경제활동을 할수록(B=.079, p<.001) 스마트폰 이용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26.6%이었다.

    모델 2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B=-.026, p<.0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B=.084, p<.001), 경제활동을 할수록(B=.067, p<.001), 인지기능이 높을수록 (B=.008, p<.001) 스마트폰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27.6%이었다.

    5. 여성 노인의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 의 만족이 스마트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

    여성 노인의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이 스마트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델 1과 모델 2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1은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경 제활동 여부 등 인구 사회학적 변수를 모델 2는 모델 1의 변수에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을 추가하였다.

    모델 1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B=-.029, p<.0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B=.111, p<.001) 스마트폰 이 용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34.5%이었 다.

    모델 2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B=-.027, p<.0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B=.095, p<.001), 인지기능이 높을수록(B=.009, p<.001),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B=.048, p<.001) 스마트폰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35.9%이었다.

    Ⅳ. 고찰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이 스마트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20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 세 이상의 노인 9,885명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 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고찰은 다음과 같다.

    노인의 인지기능은 스마트폰 이용에 정적(+)으 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은 32.8%이었다. 주요 인구 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남성 노인의 경우 연령은 낮을수록, 교육수준과 경제활동, 인지 기능은 높을수록 스마트폰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27.6%이었다. 남성 노인에 있어 경제활동은 사회적 활동 참여의 중요한 수단으로 사회활동을 하면서 스마트폰 이용 정도가 높아진 다는 의미로 해석되며 Kim[16]의 연구와도 일치하 였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일자리 취업 정보가 대 부분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공유된다 는 측면에서 노인의 취업에 스마트폰 이용이 영향 을 끼치는 것으로 생각된다[17].

    여성 노인은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과 인지 기능, 삶의 만족은 높을수록 스마트폰 이용에 유의 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35.9%이었다. 노인의 인지기능이 스마트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스마 트폰을 사용하는 군에서 인지기능이 높게 나타난 Choi et al.[8], Hwang et al.[18]의 연구결과와 일 치하였고, 스마트폰의 이용으로 인지기능이 높아지 는 것은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서는 새로운 학습이 필요하기에 그만큼 뇌 활성화 가 이루어짐으로써 인지기능 또한 높아지는 것으 로 사료 된다.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주요 인구 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이용에 정 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은 32.8%이었다. 건 강하다는 것은 육체적 건강은 물론이고 치매나, 우 울과 같은 정신적 결함이 없는 안녕한 상태를 말 하는 것으로 Oh et al.[6]와 Hwang & Kim[19]의 연구에서 정신건강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노년기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 요한 요소이다. Kim[16]과 Hwang et al.[18]의 연 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이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im & Jun[2]의 연구에서 는 정보기술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이용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신건강이 좋을수록 정보기술 이용 만족도가 높 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스마트폰 이용수준이 높게 나타난 Yang et al.[20] 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주관적 건강상태는 스마트폰 이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은 없었다.

    노인 삶의 만족은 스마트폰 이용에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은 32.8%이었다. 주요 인구 사 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남성 노인의 경 우 유의미한 영향력은 없었으며 여성 노인은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이용에 유의한 영향 을 미쳤고 설명력은 35.9%이었다.

    Kim & Choi[11]와 Lee & Park[12]은 노인의 정 보화기기 사용과 이용능력이 삶의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디지털 기기 이용이 노인 삶의 만 족에 전적으로 좌우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하 지만 Kim & Jun[9], Shin & Koo[10], Kim & Choi[11], Lee & Park[12], Kim & Yoo[13], Kang et al.[14], Hwang & Hwang[15], Kim [16]과 Kim et al.[21]등 많은 연구자는 노인의 디지털 기기 이 용이나 활용 여부가 노인의 삶 및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어 노인 삶의 만족이 정보통신기술의 이용능력과 무관하지 않음 을 알 수 있다. 또한 Kim & Jun[9]과 Kim[16]의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을 이용한 사회활동 참여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삶의 만족도에 기여될 수 있음 을 주장하였다.

    위의 결과로 노인의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은 스마트폰 이용에 정적(+)인 영향을 주 지만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파악되었다. 즉 연령과 교육수준, 인지기능은 남녀노인 모두에게 영향이 있었지만, 남성 노인은 경제활동, 여성 노 인은 삶의 만족 요인이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노인들의 정보 기기 활용 및 정보기술 이용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지기능 강화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 는 정책과 방안이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이용여 부만을 고려하였으며 활용수준을 다루지 않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차후 활용수준을 고 려한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노년기 삶을 좌우하는 주요 변인인 인지기능,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 정도가 스 마트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노 인의 디지털 시대 적응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 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지기능은 스마트폰 이용에 정(+) 의 영향을 미친다.

    돌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스마트폰 이용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에 따른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은 없었다.

    셋째, 노인 삶의 만족은 스마트폰 이용에 정(+) 의 영향을 미친다.

    위의 결과로 노년기 삶의 질 정도는 정보화 시 대를 살아가는 노인들의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노인복 지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려돼 야 한다.

    Figure

    Tab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9,885)
    Tendency of Independent Variables N(=9,885)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n smartphone use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n smartphone use among older adult males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n smartphone use among older adult females

    Reference

    1. https://kostat.go.kr/board.es?mid=a10502020600&bid=3207&act=view&list_no=161820
    2. M.Y. Kim, H.J. Jun(2016), The Influences of IT Use and Satisfaction with IT Use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1(1);85-110.
    3. C.S. Kim, H.Y. Cho(2017), Another View on the Social Discourse of Productive Aging in Korea, Social Science Research, Vol.24(2);7-28.
    4. https://www.nhis.or.kr/nhis/together/wbhaea01600m01.do?mode=view&articleNo=10816330
    5. S.M. Bae, Y.S. Koh(2017), A Exploratory Study for Influential Fa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Elder and Older Grou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7);111-121.
    6. Y.H. Oh, H.O. Bae, Y.S. Kim(2006), A Study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Self-perceived Health of Older Perso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6(3);461-476.
    7. J.Y. Park(2019), Status of Digital Divide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Media Retention Devices and Utilization Capabilities of Older Households, KISDI STAT Report, Vol.19(22);1-7.
    8. M.J. Choi, B.S. Son, C.I. Jo, J.S. Lee, D. Jung(2022), A Study on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on Their Cognitive Funct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33(1);199-214.
    9. M.Y. Kim, H.J. Jun(2017),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The Mediating Rol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2(3);343-370.
    10. Y.J. Shin, M.J. Koo(2010), An Explorative Study on Computer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13(4);119-147.
    11. S.S. Kim, H.I. Choi(2019), The Effect of the Using a Smartphone by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19(11);841-851.
    12. H.J. Lee, M.K. Park(2020), Older Adults' Digital Divide and Life Satisfaction : Comparing Mobile and PC-based Digital Divide,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29(2);209-241.
    13. K.H. Kim, S.J. Yoo(2020), Impact of Media Literacy of the Elderly on Thei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Life: Comparative Study Against the Mature Age Group with a Focus on Media Access and Social, 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37(3);95-138.
    14. W.S. Kang, M.S. Kim, J.U. Ko(2013), Effects of the Smartphone Information Use and Performance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3(1);199-214.
    15. H.J. Hwang, ᆞY.S. Hwang(2017), Gaps and Reasons of Digital Divide within the Elderly in Korea: Focusing on Household Composition, Social Science Research, Vol.24(3);359-386.
    16. M.Y. Kim(2018),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11);264-277.
    17. Y.M. Park(2007), A Study on the Measures to Activate Programs for Employment of the Aged,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The University of Seoul, p.99.
    18. S.H. Hwang, H.J. Lee, E.H. Ha, S.H. Kim, G.K. Jung, H.J. Choi(2017), The Effects of Use of Smartphone and Cognitive Function on Depression, and Loneliness of Life in Elders,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11(1);9-19.
    19. B.D. Hwang, Y.J. Kim(2022), The Relevance of Self-rated Health Level and Mental Health,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6(3);51-62.
    20. M.J. Yang, K.S. Yun, S.H. Cho(2022), The Effects of Smartphone Usage Levels, Health Literacy, and Self-Efficacy on Self-Care Agency in an Elderly Community Pop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6(2);75-86.
    21. S.K. Kim, H.R. Shin, Y.S. Kim(2020), The Effect of Mobile Device Capability of Middle and Older Aged Adults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Social Particip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8(3);23-34.
    December 18, 2022
    February 22, 2023
    March 14, 2023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