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5 No.4 pp.31-41
https://doi.org/10.12811/kshsm.2021.15.4.031

관절전문병원 선택요인이 환자경험평가에 미치는 영향

정 예원1, 박 지경2
1동의대학교 대학원
2동의대학교 의료경영학과

Effect of Selection Factors of Joint Specialty Hospitals on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s

Ye-Won Jeong1, Ji-Kyeong Park2
1Graduate School of Dong-eui University
2Department of Healthcare Management, Dong-eui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hospital selection factors of joint specialty hospitals on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s and provide theoretical base to facilitate the spread of patient-centered medical culture and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specialty hospital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 to August 31, 2020, with inpatients hospitalized after being diagnosed with a joint disease at joint specialty hospitals in B City. The study tool comprised questions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hospital use characteristics, hospital selection factors, and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Results:

First, patients were found to consider professionality factors the most when selecting joint specialty hospitals. Second, doctor service showed the highest result for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Third, professionality factors, among the hospital selection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domains of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fessionality related to joint treatment and spread patient-centered medical culture by providing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joint specialty hospitals.



    Ⅰ. 서론

    과거 의료서비스는 공급자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공급자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소비자가 중심이 되는 환자중심 의료로 변화하고 있다[1]. 이에 따라 최근 의료의 질 평가는 환자 만족(patient satisfaction)의 개념을 뛰어넘는 환자경험(patient experience) 및 환자 중심성(patient-centeredness)의 개념을 필수적인 요소로 다루고 있다. 환자경험이란 의료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환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상호작용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으며 [2], 환자의 긍정적인 경험은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았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도 의미가 크고 임 상 결과 향상 및 치료와 약물 순응도를 제고할 뿐 만 아니라 치료과정 중 환자의 적극적 참여 또한 이끌어내는 것으로도 보고되었다[3]. 또한 환자중 심성(patient-centeredness)은 2000년대 이후 보건의 료체계의 주요이슈로 대두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의료의 질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 현재 여러 국가 에서 환자경험(patient experience)을 보건의료체계 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필수영역으로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간 환자중심성(patient-centeredness) 향상을 위해 개별 의료기관에서 환자중심성 관련 조사와 개선활동이 전개되던 중, 건강보험심사평가 원이 주체가 되어 2017년 환자경험평가제도가 도 입되었다. 현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자경험평가는 의료소비자가 경험한 의료서 비스 수준을 확인하여 환자 관점의 의료서비스 수 준을 향상하고, 이를 통해 환자중심 의료문화를 확 산시켜 국민건강 증대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4]. 2017년 시행된 1차 환자경험평가 대상 기 관은 상급종합병원 및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 95 개소였으며, 2019년 시행된 2차 환자경험평가대상 은 상급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154개 소로 더 많은 국민의 목소리를 의료현장에 반영하 기 위해 확대 실시되었다. 1차 환자경험평가는 상 급종합병원 및 대형병원 위주였던 반면 2차 환자 경험평가는 중소규모의 병원까지 확대 실시된데 그 의의가 있다.

    한편, 중소병원은 접근성이 용이하여 지역사회 환자들이 이용하기 쉬운 지역사회기반의 의료기관 이 대부분이며, 의료기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스 템이 부재하여 경영성과가 낮은 실정이다. 이에 따 라 보건복지부에서는 병원의 전문화 및 특성화를 통해 중소병원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민들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의료기관의 균 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11년부터 전문병 원제도를 도입하여 지정·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전문병원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는 제도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환자중심의 의료서 비스 평가가 필요하다[5]. 특히 인구 고령화에 따 라 관절질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관 절전문병원은 환자중심의료를 제공하여 의료서비 스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6]. 하지만 Cho[7]와 Her et al.[8]의 연구에서는 각각 종합병 원 입원환자, 대학병원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한 환 자경험평가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 며, Min et al.[9]의 연구에서는 전문병원 입원환자 를 대상으로 환자경험평가 3개 영역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시행되어 전문병원 입원환자들의 환자 경험평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관절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들의 병원선택요인과 환자경험평가를 파악하고 병원선 택요인이 환자경험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환자중심 의료문화 확산과 관절전문병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병원선택요인과 환자경험평 가를 파악한다. 둘째, 병원선택요인과 환자경험평 가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셋째, 환자경험평가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B광역시 소재의 300병 이상 관절전문병원 2개 소에서 관절질환을 주진단으로 입원한 만 19세 이 상의 입원환자 중, 퇴원이 예고되어 있는 재원일수 1일 이상인 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020년 7월 1일에서 8월 31일까지 62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조 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286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58부가 회수되어 90.2%의 회 수율을 보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 한 설문지 7부를 제외한 총 251부의 유효 설문지 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해 D대학교 생 명윤리심의위원회의 사전승인(승인번호: DIRB-20206-HR-E-10)을 받은 후 승인된 연구절차 에 따라 진행되었다. 모집된 연구대상자에게 연구 목적과 방법, 설문조사의 익명성과 비밀보장 원칙 을 설명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본인의 의사에 따라 언제든지 참여 철회가 가능하며, 참여 철회에 따른 불이익이 없음을 고지한 후 ‘개인 정보 제공 동의 서’에 서면 동의를 받았다.

    2. 연구도구

    1) 병원선택요인

    병원선택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Lee&Park[6]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병원선택요인을 전문성 요 인 5문항, 의료서비스품질 요인 5문항, 물리적 요 인 4문항, 접근성 요인 3문항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문항은 ‘전혀 고려하지 않음’ 1점에서 ‘많이 고 려함’ 4점까지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점수가 높 을수록 중요한 병원선택요인임을 의미하며, Cronbach’s α는 전문성 요인 .939, 의료서비스품질 요인 .836, 물리적 요인 .791, 접근성 요인 .957인 것으로 나타났다.

    2) 환자경험평가

    연구대상자의 입원경험을 측정하기 위해서 건강 보험심사평가원이 실시하는 환자경험평가 설문지 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환자경험을 간호사경험 4문항, 의사경험 4문항, 투약 및 치료과정경험 5문 항, 병원환경경험 2문항, 환자권리보장경험 4문항 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았 다’ 1점에서 ‘항상 그랬다’ 4점까지 4점 척도로 측 정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의 입원경험이 긍 정적임을 의미하며, Cronbach’s α는 간호사경험 .918, 의사경험 .851, 투약 및 치료과정경험 .863, 병원환경경험 .816, 환자권리보장경험 .785인 것으 로 나타났다.

    3.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5.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 및 병원이용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 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병원이용 특성에 따른 병원선택요인과 환자경험평가는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병원선택요인과 환자경 험평가와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 였으며, 병원선택요인이 환자경험평가에 미치는 영 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이 145명 (57.8%)으로 남성 106명(42.2%) 보다 많았으며, 연 령은 60대가 76명(30.3%)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52명(20.7%), 40대 39명(15.5%), 70대 이상 32명 (12.8%), 20대 29명(11.6%), 30대 23명(9.2%)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이용 특성에서 병실형태는 상급병실 이용자가 150명(59.8%)으로 일반병실 이용자 101명 (40.2%) 보다 많았으며, 입원경로는 외래가 190명 (75.7%)으로 응급실 61명(24.3%) 보다 많았다. 수술 여부에서는 수술 시행자가 172명(68.5%)으로 수술 미시행자 79명(31.5%) 보다 많았다<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251)

    KSHSM-15-4-31_T1.gif

    2.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병원선택요인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병원선택요인 중 전 문성 요인은 성별에서 여성이 3.36±.692점으로 남 성 3.18±.715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990, p=.048), 연령에서는 50대가 3.51±.569점으 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2.90±.704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4.286, p=.001). 수술유무에서 수술 시행자가 3.39±.672점으로 수술 미시행자 3.06±.740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515, p=.001). 의료서비스품질 요인은 병실형태에서 일 반병실 이용자가 3.04±.673점으로 상급병실 이용자 2.78±.599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203, p=.002). 물리적 요인은 병실형태에서 일반병실 이 용자가 2.89±.646점으로 상급병실 이용자 2.63±.552 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415, p=.001). 접근성 요인은 연령에서 30대가 3.30±.810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70대 이상이 2.32±1.220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6.004, p<.001). 수술 유무에서는 수술 미시행자가 3.10±1.049점으로 수 술 시행자 2.79±1.127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t=-2.098, p=.037)<Table 2>.

    <Table 2>

    Hospital Selection Factors by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N=251) unit : M±SD

    KSHSM-15-4-31_T2.gif

    3.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환자경험평가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환자경험평가에서 간 호사경험은 수술 유무에서 수술 시행자가 3.25±.764점으로 수술 미시행자 3.00±.799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328, p=.021). 의사경험은 성별에서 여성이 3.60±.536점으로 남성 3.26±.642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4.470, p<.001), 연 령에서는 60대가 3.56±.571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 로, 30대가 3.16±.749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F=2.998, p=.012). 병실형태에서 상급병실 이용자가 3.52±.560점으로 일반병실 이용자 3.37±.661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1.846, p=.006), 수술 유무에서 수술 시행자가 3.58±.591점 으로 수술 미시행자 3.30±.612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754, p=.006). 환자권리보장경험은 연 령에서 50대가 3.11±.669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60대가 2.72±.683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F=2.930, p=.014)<Table 3>.

    <Table 3>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by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N=251) unit : M±SD

    KSHSM-15-4-31_T3.gif

    4. 병원선택요인과 환자경험평가 간의 상관관계

    병원선택요인과 환자경험평가 간의 상관관계에 서 전문성 요인은 의료서비스품질 요인(r=.177, p=.005), 물리적 요인(r=.152, p=.016), 간호사경험 (r=.226, p<.001), 의사경험(r=.277, p<.001), 투약 및 치료과정경험(r=.279, p<.001), 병원환경경험(r=.217, p=.001), 환자권리보장경험(r=.209, p=.001)과 정(+) 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서비스 품질 요인은 물리적 요인(r=.522, p<.001), 간호사 경험(r=.269, p<.001), 의사경험(r=.242, p<.001), 투 약 및 치료과정경험(r=.359, p<.001), 병원환경경험 (r=.217, p=.001), 환자권리보장경험(r=.364, p<.001) 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 리적 요인은 접근성요인(r=.144, p=.022), 간호사경 험(r=.285, p<.001), 의사경험(r=.209, p=.001), 투약 및 치료과정경험(r=.254, p<.001), 병원환경경험 (r=.279, p<.001), 환자권리보장경험(r=.338, p<.001) 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 근성 요인은 의사경험(r=-.140, p=.026)과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경험은 의사경험(r=.409, p<.001), 투약 및 치료과정경험 (r=.474, p<.001), 병원환경경험(r=.509, p<.001), 환 자권리보장경험(r=.626, p<.001)과 정(+)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경험은 투약 및 치료과정경험(r=.412, p<.001), 병원환경경험(r=.330, p<.001), 환자권리보장경험(r=.356, p<.001)과 정(+) 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약 및 치 료과정경험은 병원환경경험(r=.443, p<.001), 환자 권리보장경험(r=.554, p<.001)과 정(+)의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환경경험과 환자권 리보장경험(r=.521, p<.001)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Table 4>

    Correlation between Hospital Selection Factors and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N=251)

    KSHSM-15-4-31_T4.gif

    4. 환자경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환자경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 병원이용 특성, 병원선택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환자경험평가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 중 명목변수 는 더미변수(dummy variable)로 변환하여 분석하 였으며 연령은 연속변수로 분석하였다. 모든 독립 변수들의 공차는 .681∼.902, VIF는 1.109∼1.467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가능성은 배제되었으며, Durbin-Watson 결과는 1.522로 나타나 자기상관성 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경험평가 중 간호사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술여부(β=.145, p=.025),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인(β=.163, p=.011)과 물리적 요인(β =.188, p=.009)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2.5%로 나타났다. 의사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189, p=.003), 병실형태(β=.132, p=.030),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인(β=.165, p=.007), 물리적 요인(β =.169, p=.014)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 요인(β=-.124, p=.043)은 부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 명력은 20.0%로 나타났다. 투약 및 치료과정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 인(β=.240, p<.001), 의료서비스품질 요인(β=.275, p<.001)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연령(β=-.139, p=.046)은 부(-)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7.1%로 나타났다. 병원환경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인(β=.185, p=.004), 물 리적 요인(β=.197, p=.007)에서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β=-.152, p=.035)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0.8%로 나타났다. 환자권리보장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 인(β=.153, p=.013), 의료서비스품질 요인(β=.240, p=.001), 물리적 요인(β=.181, p=.010)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β=-.145, p=.036)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모형의 설명력은 18.3%로 나타났다.

    Ⅳ. 고찰

    본 연구는 관절질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고 령화 시대에 관절전문병원 선택요인이 환자경험평 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관절전문병원 환자 의 가치가 존중받으며, 환자가 직접 체감하는 의료 의 질 향상과 환자 중심의 의료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 다.

    환자경험평가 중 간호사경험은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인, 물리적 요인이 정(+)의 영향을 미치 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Cho[7]의 연구에서도 병원 시설과 편리성이 간호사 서비스 경험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으 며, 이는 병원 환경이 쾌적하고, 시설이 좋을수록 환자들은 높은 수준의 간호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간호사경험에 정(+)의 영향을 미쳤을 것 으로 사료된다.

    의사경험에는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인, 물 리적 요인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 났다. Kim&Park[10]의 연구에서는 일반병원과 전문병원을 이용한 환자 모두 병원선택 동기로 의료진의 우수성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종합 병원을 대상으로 한 Cho[7]의 연구에서는 병원시 설과 편리성이 의사 서비스 경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부 유사 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병원의 접근성을 덜 고려 하더라도 전문병원 의사의 전문화된 진료서비스를 받고자 입원치료를 한 후 질환이 호전되는 긍정적 인 경험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5>

    Factors Influencing the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N=251)

    KSHSM-15-4-31_T5.gif

    투약 및 치료과정경험에는 병원선택요인 중 전 문성요인과 의료서비스품질 요인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분야에 특화된 전문 의의 의학적 전문지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 등을 중요하게 생각한 환자들은 투약 및 치료과정에서 치료과정 및 부작용에 대한 인지수준이 높았을 것 이고, 이는 투약 및 치료과정경험에 정(+)의 영향 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병원환경경험에는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인 과 물리적 요인이 병원환경경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 바, 휠체어 시설 등 관절전문병원의 특화된 병원의 내부시설, 청결한 환경 등을 중요하게 생각한 환자들은 내부 시설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하며 안전한 입원 생활을 했을 것이며, 이는 병원환경경험에 정(+)의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 et al.[11]의 연구에서도 병원내의 편의시설의 이용편리성, 병원 의 실내온도 적절함, 병원의 실내공기 쾌적함, 병 원내부의 청결함과 쾌적함 등의 내적 물리적 환경 은 환자의 병원이용만족에 대해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u et al.[12]의 연구에서도 입원환자들은 친절한 의료서비스 제공 자와 시설 및 환경과 같은 물리적 요인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따 라서 안전한 입원생활을 위해 관절질환 환자들을 배려한 내부시설을 제공하여 환자의 병원환경경험 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환자권리보장경험에는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인과 의료서비스품질 요인, 물리적 요인이 정(+) 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진 의 전문성과 친절한 환자 응대, 편리한 내부 시설 등을 중요하게 생각한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검사· 치료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혹여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한 상황에서 불만 제기가 용이했기 때문에 신 체노출 등의 수치감을 느끼지 않았을 것이며, 이는 환자권리보장경험에 정(+)의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Cho[7]의 연구에서는 직원의 친절성과 환자배려가 환자권리보장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부 유사하였다. 따라서 환자권리가 보장될 수 있도록 환자를 배려 하고 존중하며, 궁극적으로는 환자중심의 의료서비 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관절전문병원 환자들은 병 원선택 시 전문성 요인을 가장 많이 고려하며, 환 자경험평가에서는 의사경험이 높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인 이 환자경험평가 전 영역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성 요인이 환자경험평가에 영 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Hwang et al.[13]의 연구에서 척추질환 입원 환자들은 척추질 환 수술을 많이 하는 병원, 의사의 실력과 의술이 우수한 병원과 같은 신뢰성 요인을 가장 중시하여 병원을 선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병원 선택요인 중 전문성요인은 중요성도 높으면서 만 족도 또한 높다고 한 Lee[14]의 연구결과와 일반병 원과 여성 전문병원을 이용한 환자들의 병원 선택 동기를 조사한 Kim&Park[10]의 연구결과와 유사 하다. Lee&Park[6]의 연구에서도 전문성 요인이 병 원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Kim et al.[11]의 연구에서도 인적서비 스, 의료서비스의 질이 환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다고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관절전문병원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슬 관절, 고관절, 견관절, 손목 및 발목관절 등 관절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하고, 환자가 체감할 수 있는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환자중심 의 료문화를 확산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관절전 문병원의 전문성 높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관절전문병원의 경 쟁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관절전문병원 환자들의 병원선택요인 이 환자경험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300병 이상 관절전문병원 2곳의 퇴원 예정인 입원환자를 대상 으로 이루어졌으므로, 관절전문병원 전체의 입원환 자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향후 관절전 문병원 전체를 대상으로 한 확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전문병원 중 관절전문병원을 대상으 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타 질환 및 진료과목의 전 문병원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환자경험평가에 대한 측정은 건강 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하는 환자경험평가 설문 지를 바탕으로 하였으나, 설문조사의 고유한 한계 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보다 환자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객관화된 연구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관절전문병원 선택요인이 환자경험평 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의료서비스 영역에 서 관절전문병원 환자의 가치가 존중받으며, 진료 파트너로서 역할 참여 등 환자 중심의 의료문화를 확산하고, 관절전문병원을 이용하는 환자가 직접 체감하는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병원선택요 인은 전문성요인은 여성, 50대, 수술 시행 환자가 가장 많이 고려하였으며, 의료서비스품질 요인과 물리적 요인은 일반병실 이용 환자가 많이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 요인은 20대와 수술 미시 행 환자가 가장 많이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환자경험평 가는 간호사경험은 수술 시행 환자가 경험수준이 높았으며, 의사경험은 여성, 50대와 60대, 상급병실 이용 환자, 수술 시행 환자가 경험수준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환자권리보장은 40대와 50대에서 경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사경험은 수술시행과 병원선택 요인 중 전문성 요인, 물리적 요인이 정(+)의 영향을 미 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의사경험에는 여성, 상급 병실 환자,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인, 물리적 요인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 며, 접근성 요인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투약 및 치료과정경험에는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인과 의료서비스품질 요인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병원환 경경험에는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 요인과 물리 적 요인은 병원환경경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환자권리보장경험에는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요인과 의료서비스품질요 인, 물리적 요인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관절전문병원 환자 들은 병원선택 시 전문성요인을 가장 많이 고려하 며, 환자경험평가에서는 의사경험이 높았다. 또한 병원선택요인 중 전문성요인은 환자경험평가 전 영역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Tabl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251)
    Hospital Selection Factors by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N=251) unit : M±SD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by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N=251) unit : M±SD
    Correlation between Hospital Selection Factors and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N=251)
    Factors Influencing the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N=251)

    Reference

    1. Y. K. Kim, J. S. Kim (2009), "A study on healthcare institution selection of healthcare consumers using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Focusing on relations among clinics or small sized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Large-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ol.37(4);71-86.
    2. J.A. Wolf, V. Niederhauser, D. Marshburn, S.L. LaVela (2014), Defining patient experience, Patient experience journal, Vol.1(1);7-19.
    3. K. Browne, D. Roseman, D. Shaller, S.E. Levitan (2010), Analysis & commentary measuring patient experience as a strategy for improving primary care, Health Affairs, Vol.29(5);921-925.
    4. HIRA (2017), 1st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http://www.hira.or.kr/bbsDummy.do? pgmid=HI RAA0 2 0 0 4 1 0 0 0 1 0 0 &b r d S c n B l tNo =4&brdBltNo=9300)
    5. B. M. Kim, M. I. Hahm, I. S. Min, S. J. Kim (2018), "Factors Influencing on Selection of Specialty Hospital among Inpatients with Loyalty",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23(4);1-14.
    6. J. Y. Lee, Y. H. Park (2019), "Hospital Selec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by Recognition of Specialized Hospital : Based on Joint Specialized Hospital In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3(2);39-54.
    7. S. K. Cho (2018), "Patient Experience patient-centered care nursing care integrated service ward hospital use characteristics hospital selection motive", Department of Hospital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pp.31-39.
    8. E. K. Her, S. Y. Ahn, K. H. Kim (2019), "A Study on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of Appropriate Outpatient Medical Services of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0(10);351-357.
    9. I. S. Min, S. J. Kim, M. I. Hahm, Y. N. Lee, B. M. Kim,D. J. Kim, J. U. han (2017). A Study on Improvement in Evaluation and Designation System of Specialty hospital, pp.113-152.
    10. M. S. Kim, H. Y. Park (2006), "An Empirical Study on Service Quality and Patient Satisfaction in Specialty and General Hospitals",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11(1);31-53.
    11. M. G. Kim, D. C. Lee, S. J. Kim, M. J. Kang (2008) "Effects on Users' Utility Value of Hospital Choice to the Patien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visit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6);3387-3398.
    12. Y. A. Ku, Y. J. Han, S. S. Ahn (2011), "A Study on Evaluation over Medical Services and Its Improving Methods in the General Hospital : Focusing on Inpatients and Outpatients in K University Hospital", Korea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Association, Vol.13(3);101-128.
    13. S. I. Hwang, H. J. Lee, J. K. Kim, W. H. Cho, J. M. Kim, H. Y. Kang (2010), "Hospital Attributes considered by patients with spinal diseases in choosing speciality or general hospitals", Vol.15(2);27-43.
    14. K. A. Lee (2006), "An Analysis of Hospital Selection Factors And Patient Satisfaction Improvement", Graduate School of Hospital Management, Gachon Medical School, p.59.
    October 31, 2021
    November 24, 2021
    September 10, 2021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