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4 No.3 pp.47-58
https://doi.org/10.12811/kshsm.2020.14.3.047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리교육이 입원아동 주보호자의 관리수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역할확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anagement Education for Respiratory Disease on Disease Management, Stress, and Confidence of Primary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verify the effect of management education for respiratory disease using a video on disease management, stress, and confidence of the parental role of primary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We developed a management education video of respiratory disease for hospitalized children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dvice from expert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As a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using the video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stress of primary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However,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disease management and confidence of the parental role.


Conclusions:

In educating primary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the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 through videos can be actively utilized. In the future, measures to reduce stress on primary caregivers should be implemented.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호흡기 감염성 질환은 영유아기와 아동기의 급 성 감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영아사망 률의 3위에 해당한다[1]. 특히 영유아기는 면역기 능이 미성숙하고, 호흡기 부속 근육의 발달이 완전 하지 못하며, 기관에서 종말 세기관지까지 호흡기 도 사이의 간격이 짧다. 이로 인해 호흡기 감염에 민감하여 입원 시 집중 치료가 요구되는 심각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또한 급성 호흡기 감염은 아 동에게 있어 이환율 및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질환 이며, 특히 5세 미만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두 번째 로 높은 사망원인으로 알려져 있다[2].

    아동은 자신의 생활습관을 스스로 변화시키거나 환경을 조절하는 데 취약하므로 보호자의 건강 지 식이나 태도에 의존하게 된다. 즉, 아동의 호흡기 질환 관리는 보호자의 지식이나 태도 및 행위가 중요하다. 이처럼 호흡기 질환 환아의 건강과 회복 이 보호자의 관리수행 정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간 호사는 환아의 건강 상태를 회복하고 유지 및 증 진하기 위해 보호자의 교육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야 한다. 질환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일차적인 예 방이 될 수 있으므로 아동과 함께 생활하는 보호 자가 호흡기 감염 관리를 위한 적절한 지식과 대 처방법을 학습한다면 호흡기 감염으로 인한 심각 한 상황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게 될 것이다[3].

    그럼에도 자녀의 입원이라는 상황은 보호자에게 스트레스가 되는 사건이며[4], 심리적 위기와 함께 가족에게 위협을 초래한다. 보호자가 경험하게 되 는 이러한 스트레스는 아동의 상태나 치료와 예후 에 관한 정보 부족 등에 의한 것으로[5], 이를 완 화하기 위해서는 보호자의 상황에 맞는 교육기회 를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자녀의 입원상황에 적 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입원아동의 보호자는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돌봄이 익숙하지 않으며 환아를 돌보 는 데 오류가 있는 경우 아동의 건강에 위해를 가 할 수 있기 때문에 돌보기를 수행하는 데 부담을 느끼고 아동을 돌보는 부모역할에 대한 확신이 낮 아지게 된다[6]. 이때 간호사는 낯선 환경에서 주 보호자들을 지지하도록 계획하여 그 상황에서 적 절한 주보호자 역할을 온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자녀를 돌보는 데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와 관련한 부모역할확신 및 스 트레스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보호 자의 역할증진 프로그램 교육을 통해 보호자의 자 신감이 상승했을 뿐만 아니라 역할확신이 증가하 였고[7], 보호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스트레 스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어 정보제공의 중 요성을 보여주고 있다[5].

    간호정보 제공을 위한 교육 도구로는 주로 소책 자나 인쇄물이 활용되는데, 동영상을 이용한 간호 정보 제공은 영상과 더불어 음향에 의한 자극까지 더해지기 때문에 소책자나 인쇄 매체를 활용한 교 육보다 학습자의 주의 집중력, 이해력, 기억 유지 능력 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8]. 따라서 간호 사가 직접 환자를 방문하여 설명하는 방법과 더불 어 동영상, 슬라이드 등을 이용한 시청각 정보를 활용하는 교육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9]. 학습내용을 인쇄물이나 소책자 등으로 읽기만 했 을 때 보통 사람들의 경우 내용의 10%를 기억하 고, 카세트나 오디오를 이용해 듣기만 했을 때는 내용의 20%를 기억하고, 사진이나 그림으로 본 것 은 내용의 30%를 기억하며, 비디오나 동영상을 통 해 본 것은 내용의 50% 정도를 기억하기 때문에 [10], 간호교육을 할 때 동영상을 활용한 연구가 다른 매체를 활용한 교육보다 기억력 향상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외에도 동영상을 교육매체로 활용한 선행연 구를 살펴보면 아버지에게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 영상 교육을 제공하였을 때 가정통신문보다 교육 활동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11], 태블 릿 PC를 이용한 감염관리 동영상 교육을 받은 실 험군에서 인쇄된 교육 자료를 제공받은 대조군보 다 감염관리 지식점수와 수행이 증가하고 불확실 성은 감소하여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이 더 효과적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12]. 이와 같은 이유로 최 근에는 교육을 통한 효과연구에 동영상을 이용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13]. 그러나 임상 현장에서는 여전히 소책자가 주된 교육 자료로 사 용되고 있으며 간호사의 바쁜 업무로 인하여 주보 호자에 대한 아동 간호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매체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으로 시각화하고 구 조화된 간호교육을 통해 입원아동 보호자의 호흡 기질환 관리수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역할확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향후 간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입원 아동의 건강회복 및 보호자의 부모역할확신을 증진하는 데 도움을 주 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리교 육이 입원아동 주보호자의 관리수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역할확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 이다.

    3. 연구 가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 1) 가설 1.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리교 육을 받은 주보호자는 일반적인 교육을 받은 주보 호자 보다 관리수행정도가 높을 것이다.

    • 2) 가설 2.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리교 육을 받은 주보호자는 일반적인 교육을 받은 주보 호자 보다 스트레스가 낮을 것이다.

    • 3) 가설 3.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리교 육을 받은 주보호자는 일반적인 교육을 받은 주보 호자 보다 부모역할확신이 높을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리교 육이 입원아동 주보호자의 관리수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역할 확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의 유사 실험연 구이다<Table 1>.

    <Table 1>

    Table for Study Design.

    KSHSM-14-3-47_T1.gif

    2. 연구 대상

    본 연구는 B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소아청 소년과 병동에 바이러스나 세균 등에 의한 상·하 기도 감염으로 처음 입원한 만 6세 이하 학령전기

    아동의 주보호자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수락한 자, 설문지를 이해하고 응답이 가능 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료직 종사경험이 있 는 입원아동의 주보호자는 제외하였다. 이 연구의 표본크기는 G*power 3.1 program을 이용하여 연 구에 필요한 표본의 수를 산출하였고, t-test를 적 용하여 양측검증에서 유의수준 .05, 검정력 .80, 효 과크기 .80으로 설정하였을 때 각 군당 26명, 총 52명이 산출되었다. 효과크기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험효과를 보고한 Koo [3]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계산하였다. 탈락율 20% 를 고려하여 각 군당 35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으 며 입원 중 보호자가 바뀌어 사후 설문조사를 하 지 못한 3명씩을 제외하고 실험군 32명, 대조군 32 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3. 연구 도구

    1) 관리수행정도

    관리수행정도는 환자에게 제공되는 모든 중재에 대해 계획대로 해내는 것을 말하며[14] 본 연구에 서 는 분무요법, 흉부 물리요법, 호흡기질환 증상, 감염관리, 발열관리 5항목을 포함하여 주보호자가 호흡기질환 관리를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만든 도구를 이용해 Likert 4점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화한 것을 말한 다. 본 도구는 연구자가 아동 호흡기질환 관리교육 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14,18] 분무요법 수행 8문항, 흉부 물리요법 5문항, 호흡기질환 증 상 9문항, 감염관리 5문항의 도구를 개발하였고, 발열관리는 Park [19]이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가 가정에서 발열 관리를 위해 수행해야하는 관리 내 용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25문항 중 호흡기질환 관리와 관련 있고 입원상황에 맞는 문항을 선택하 여 총 10문항으로 수정·보완하였다. 본 도구는 소 아청소년과 전문의 1인, 소아청소년과 수간호사 1 인, 소아청소년과 병동간호사 3인에게 내용타당도 를 검증받았으며 모든 문항에서 CVI 점수는 .80 이상이었다. 각 문항은 ‘거의 그렇게 하지 않았다’ 1점에서 ‘항상 그렇게 했다’ 4점까지로 가능한 점 수범위는 37~148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관리수행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Chronbach’s α=.81이었다.

    2) 스트레스

    스트레스란 환경적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자원 이 충분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정서적, 행동적, 생 리적 반응을 말하며[15] 본 연구에서 입원아동 보 호자의 스트레스는 Yoo [15]가 개발한 ‘구순구개열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Jeong & Won [7]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Jeong & Won [7]의 도구는 총 25문항으로 아동을 돌보 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주 보호자를 어머니로 제한하지 않았기 때문에 남편 과 시댁에 대한 스트레스와 관련된 12문항은 삭제 되었고 3문항은 의미전달이 명확하지 않아 이해하 기 쉽도록 수정하였다. 수정·보완된 도구는 소아청 소년과 전문의 1인, 소아청소년과 수간호사 1인, 소아청소년과 병동간호사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모든 문항에서 CVI 점수는 .80이상 이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 우 그렇다’ 4점까지로 가능한 점수범위는 13~52점 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입원아동 주보호자의 스트 레스가 높음을 의미한다. Yoo [15]의 연구에서 Chronbach’s α=.81, Jeong & Won [7]의 연구에서 .87 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82였다.

    3) 부모역할확신

    부모역할확신은 아동이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보호자의 양육행위에 대한 확실한 인지를 말하며 [8] 본 연구에서는 Melnyk [16]이 아동간호단위에 입원한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개발한 PBS를 Won [17]이 번역하고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 였다. 도구는 보호자의 아동 행동 변화에 대한 확 신 9문항과 보호자의 아동간호 참여행위 10문항으 로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문항은 ‘전 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4점까지로 가능한 점수범위는 15~6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역할확신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Chronbach’s α=.90이었다.

    4. 실험절차

    1) 호흡기질환 관리방법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입원아동 주보호자의 효과적인 호흡기질환 관리 를 위한 교육 동영상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14,18] 및 각종 교육 인쇄물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선행연 구를 통해 호흡기질환의 원인 및 증상, 네뷸라이저 치료방법, 흉부물리요법 방법, 호흡기 관리방법을 포함하였고, 입원아동 보호자 5인의 추가 면담을 통해 발열관리 방법, 손 위생 방법이 교육내용에 추가되었다. 작성된 교육내용은 소아청소년과 전문 의 1인, 소아청소년과 병동 수간호사 1인, 소아청 소년과 병동 간호사 3인에게 확인 후 불필요한 내 용을 삭제하였다. 2018년 3월부터 한 달 동안 교육 프로그램에 해당되는 주제를 바탕으로 사진, 동영 상 촬영 및 PPT를 제작하였으며 성우 목소리에 맞 춰 PPT 화면을 구성하였다. 네뷸라이저 치료는 준 비물, 순서, 방법, 사용 후 관리, 기타 주의사항으 로 내용을 구성하여 직접 동영상을 촬영하였으며, 손 위생은 보건복지부 승인을 받아 질병관리본부 손 위생 동영상을 사용하였다.

    제작된 입원 아동의 호흡기 질환관리 동영상은 구성 및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소아청소년과 전 문의 1인, 소아청소년과 수간호사 1인, 소아청소년 과 병동 간호사 3인에게 최종 확인 후 완성하였고, 총 상영시간은 5분이었다. 구체적인 내용 구성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Composition of Video Content for Respiratory Disease Control of Inpatient Children

    KSHSM-14-3-47_T2.gif

    2) 호흡기질환 관리교육 책자 개발

    본 연구의 호흡기질환 관리교육 책자의 교육내 용은 동영상 개발과 함께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 구성은 <Table 2>와 같다. 교육내용을 바탕 으로 사진 및 PPT를 제작하였고, 네뷸라이저 적용 방법 및 손 위생 방법은 시행 순서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여 책자를 제작 하였다. 제작된 책자는 구성 및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1인, 소아청소년과 수간호사 1인 소아청소년과 병 동 간호사 3인에게 최종 확인 후 완성하였다. 입원 아동의 호흡기질환 관리 책자는 총 12페이지로 구 성되었다.

    3)실험처치

    ⦁ 실험군: 바이러스나 세균 등에 의한 상·하기 도 감염 질환으로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한 후 네뷸 라이저 치료 처방이 있는 아동의 주보호자에게 먼 저 일반적 특성, 관리수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 역할확신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실험처치로 호흡기질환 관리 교육책자를 통한 일차교육을 실 시하였으며 이후 호흡기질환 관리방법 동영상을 제공하였다. 동영상을 중심으로 구성된 책자는 입 원기간 내 수시로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동도 함께 볼 수 있도록 쉽고 간편하며 휴대하기 쉽도 록 하였다. 교육 장소는 노트북을 이용하여 침상에 서 헤드셋을 끼고 편하게 시청하도록 하였고 병실 이 산만한 경우 집담회실에서 시행하였다. 퇴원 시 관리수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역할 확신에 대한 사후조사를 시행하였다.

    ⦁ 대조군: 바이러스나 세균 등에 의한 상·하기 도 감염 질환으로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한 후 네뷸 라이저 치료 처방이 있는 아동의 주보호자에게 먼 저 일반적 특성, 관리수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 역할확신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병동에서 기존에 교육하던 방법(환아 입원 즉시 건강사정과 동시에 진단에 따른 호흡기질환의 정의와 치료계 획, 네뷸라이저 기계 작동방법 및 약물 교육, 발열 시 대처법, 손위생 필요성과 방법 등을 약 5분에 걸쳐 구두로 설명)을 실시하였으며, 퇴원 시 관리 수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역할 확신에 대해 사후 조사를 시행하고 호흡기질환 관리교육 책자를 제 공하였다.

    5.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고찰 및 전문가의 조언을 토대로 입원아동의 호흡기질환 관리교육 동영상을 개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해 자료수집 진행 전 연구자가 속한 B광역시 P대학교 병원 기관 임상연구심의위원회 승인(IRB No. 1804-005-065)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자가 한 병동에 입원함에 따라 중재의 확산 가능 성이 있어 대조군은 2018년 4월 16일부터 5월 15 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군은 2018년 5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시행되었다. 자료수집 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실 험군과 대조군 각각 35부씩 배부하였고, 응답이 불 성실하거나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하여 각각 32 부의 자료만을 사용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에게 자료수집 후 소정의 사은품을 제공하였다.

    6.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1)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χ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 2)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관리수행정도, 스트레 스 및 부모역할확신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t-test로 분석하였다.

    • 3)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관리수행정도, 스트레 스 및 부모역할확신의 변화는 t-test를 사용하여 검 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및 아동관련 특성에 대한 동질 성 검증

    주보호자는 ‘어머니’가 실험군과 대조군 각 24명 (75%), 32명(100%)으로 가장 많았고, 주보호자의 연령은 실험군 36.66(±5.94)세, 대조군 35.53(±4.60) 세로 나타났다. 직업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무 직’이 16명(50%), 14명(43.8%)으로 가장 많았다. 주 보호자의 교육 정도는 실험군 ‘고졸’ 4명(12.5%), ‘대졸’ 20명(62.5%), ‘대학원 이상’ 8명(25%)이었고, 대조군 ‘고졸’ 5명(15.6%), ‘대졸’ 23명(71.9%), ‘대 학원 이상’ 4명(12.5%)이었다. 현재 가족 중 호흡기 질환은 실험군에서 4명(12.5%), 대조군에서 11명 (34.4%)에서 있다고 대답하였으며, 호흡기질환 관 리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실험 군 9명(28.1%), 대조군 14(43.8%)에서 받은 적이 있 다고 대답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 아동과 주보호자의 관계(χ2=7.92, p=.005)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다른 일반적 특성은 모두 동질 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

    Homogeneity Test for General and Child-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N=64)

    KSHSM-14-3-47_T3.gif

    2. 대상자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실험군과 대조군의 관리수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역할확신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4>.

    <Table 4>

    Homogeneity Test o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N=64)

    KSHSM-14-3-47_T4.gif

    3. 대상자의 관리수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역 할확신에 대한 호흡기질환 관리교육의 효과 검정

    1) 가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후 관리수행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에서는 사전 2.73점에 서 사후 3.41점으로 0.68점 상승하였고, 대조군에서 는 사전 2.87점에서 사후 3.12점으로 0.25점 상승하 여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3.93, p<.001). 따라서 가설 1은 지지되었다 <Table 5>.

    <Table 5>

    Changes in Caregiver's stress, Disease Management, and Beliefs of Parental Role (N=64)

    KSHSM-14-3-47_T5.gif

    2) 가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후 스트레스 변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에서는 사전 2.59점에 서 사후 2.45점으로 0.14점 감소하였고, 대조군에서 는 사전 2.58점에서 사후 2.44점으로 0.13점 감소하 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09, p=.932). 따라서 가설 2는 기각되었다<Table 5>.

    3) 가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후 부모역할확신 변 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에서는 사전 2.59 점에서 사후 2.98점으로 0.40점 상승하였고, 대조군 에서는 사전 2.65점에서 사후 2.81점으로 0.16점 상 승하여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t=-3.02, p=.004). 따라서 가설 3은 지지되었다 <Table 5>.

    Ⅳ. 고찰

    본 연구는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리교 육이 입원아동 주보호자의 관리수행정도와 스트레 스 및 부모역할 확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호흡기질환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 료를 제공함으로써 간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 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동영상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교육 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관리수행정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흡기 감염성 질환의 환아 및 보호자에게 컴퓨터 교육프로그램 을 시행하여 관리수행정도가 높아진 Yi [20]의 연 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동영상 교육을 아니지만 소책자를 이용해 영아호흡기질환 관리교 육을 받은 어머니가 교육을 받지 않은 어머니보다 호흡기질환 증상관리 수행정도, 감염예방 관리 수 행정도, 수유관리 수행정도, 환경관리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Yi [14]의 연구와도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태블릿 PC를 이용해 VRE 감염관리 동영상 교육을 받은 보호자의 감염관리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져 본 연구 결과와 동 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12]. 동영상을 통한 아동 보호자의 교육 효과를 논의한 연구를 찾기는 어려 웠지만, 동영상 교육이 성인 환자의 질병관련 태도 및 관리수행에 긍정적 영향이 있는 연구결과를 고 려했을 때[13], 동영상으로 시행하는 보호자의 교 육이 입원아동의 질병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 할 수 있다. Kang과 Kim[21]의 연구에서도 호흡기 감염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의 감염관리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지식으로 나타나, 돌 봄 제공자의 관리수행정도를 향상시키려면 동영상 을 이용한 관리교육 프로그램이 활발히 이루어져 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동영상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서 스트레스 점수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입원아동 보호자의 보 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 제공 여부에 따른 보호자 의 스트레스를 측정한 Jeong & Won [7]의 연구와 급성 질환으로 입원한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입원아동 어머니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 결과 실험군의 스트레스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Moon [4]의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그 원 인은 Jeong & Won [7]의 연구에서는 실험군에게 처치하는 시간이 어려운 내용을 중심으로 입원 2 일째와 3일째 30분 이상 총 2회에 걸친 상황학습 시행과 1일 2회 이상 반복되는 자가 학습을 시행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책자를 이용한 교육 후에 동영상과 책자를 제공하는 방식을 취하여 교육 횟 수나 반복 교육면에서 두 연구가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또한 주보호자가 실 험군에서는 엄마, 아빠, 조부모이지만 대조군에서 는 주보호자가 모두 엄마였기 때문에 주보호자의 대상자 특성에서도 차이가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 다. 본 연구에서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리 교육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기 각되었으나, 많은 연구에서 동영상으로 정보제공을 하는 것이 주보호자와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을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22] 추후 연구에서는 입원아동 주보호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시청각 매체를 이용하는 동시에 대상자가 이를 숙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과 횟수를 고려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리교육은 입원아 동 주보호자의 부모역할확신에 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행위 변화, 부모역할에 대한 정보가 부모역할확신을 형성할 수 있게 해준 Melynk [16]의 연구와 비디오를 사용하여 침습적 인 처치에 대한 정보제공을 한 실험군에서 부모역 할확신의 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확인된 Won [17]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산욕초기 초산모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초산모의 자 기간호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어머니 역할적 응 도움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연 구결과를 볼 때[23], 본 연구 또한 호흡기질환 관 리교육으로 부모역할확신 점수가 높아졌을 것으로 생각되며, 증진된 자신감이나 역할확신이 보호자의 역할수행을 잘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리교육 이 입원아동 주보호자의 부모역할확신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간호교육 프로그 램을 임상실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 라 사료된다.

    호흡기질환은 아동의 급성 질환 중 높은 빈도를 차지하며, 적절한 관리가 되지 않을 경우 합병증으 로 인해 건강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20]. 또한 아동에게 호흡기질환으로 인한 증상이 발생할 경우 보호자의 스트레스와 불안이 증가되 어 아동을 돌보는 것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는 보호자가 이러한 증상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 나 치료과정에 대한 막연한 생각이 원인으로 작용 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5] 교육을 통해 이를 완 화할 수 있다. 간호사의 체계적 관리시스템이 간호 사와 병원의 만족도에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24], 체계적인 교육은 보호자에게 꼭 필요하다. 최근에 는 동영상 교육을 통해 영상과 함께 음향 자극이 더해져 소책자나 단순 인쇄 매체를 이용하는 것보 다 학습자에게 교육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 동영상 을 이용한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며[25], 이에 본 연구에서도 호흡기질환의 증상 관리, 치료방법, 예 방법 등을 동영상을 통해 교육함으로써 보호자의 관리수행정도가 증가하고, 보호자 역할에 대한 확 신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행연구에서는 호흡기질환 아동 보호자의 지식 증가를 위한 소책자 제공이나 단순설명 교육 등이 주로 연구되었지만, 호흡기질환 아동의 보호자에게 동영상을 제공한 후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새로운 시도였다고 생각되며, 선 행연구[18]보다 짧은 중재임에도 불구하고 관리수 행정도나 부모역할확신에서 효과를 보여 임상에서 활용 가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하나의 주 제를 가진 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호흡기 질환의 원인, 증상, 치료, 감염예방, 관리방법 등의 전반적 인 내용을 교육 내용으로 구성하여 보호자의 아동 간호수행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 다. 그럼에도 일개 대학병원에서 호흡기질환 입원 아동의 주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이므로 이를 확대해석하거나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향후 연구 결과의 객관성 및 타당성을 높이 기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Ⅴ. 결론

    본 연구는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리교 육이 입원아동 주보호자의 관리수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역할 확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호흡 기 질환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함 으로써 간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 여 시도 되었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P대학교병원 소아청 소년과 병동에 바이러스나 세균 등에 의한 상·하 기도 감염으로 처음 입원한 만 6세 이하 학령전기 아동의 주보호자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대 조군 2018년 4월 16일부터 5월 15일까지, 실험군 2018년 5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하였다. 응 답이 불성실하거나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하여 각각 32부의 자료만을 사용하여 총 64부를 본 연 구의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고찰 및 전문가의 조언을 토대로 입원아동의 호흡기질환 관리교육 동영상을 개발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일반적 특성, 관리수 행정도, 스트레스 및 부모역할확신에 대한 사전조 사를 시행하고 일반적으로 병동에서 시행하고 있 는 호흡기질환 관리교육을 실시한 후 퇴원 시 사 후조사 및 교육책자를 제공하였다. 실험군에게는 대조군과 동일한 사전조사 후 개발한 동영상 및 교육책자를 제공하고 퇴원 시 사후조사를 실시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동영상을 이용한 호흡기질환 관 리교육이 주보호자의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감소시 키지는 못했지만, 관리수행정도 및 부모역할확신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아동 입원 환자의 주보호자에게 교육 시, 동영상으로 교 육 자료를 제공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 하며, 주보호자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안을 강구해 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Table

    Table for Study Design.

    Composition of Video Content for Respiratory Disease Control of Inpatient Children

    Homogeneity Test for General and Child-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N=64)

    Homogeneity Test o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N=64)

    Changes in Caregiver's stress, Disease Management, and Beliefs of Parental Role (N=64)

    Reference

    1. H.S. An(2010), Hongchangui pediatrics (12th ed), Seoul: Mirae-N, 1142.
    2. C.D. Mathers, D. Loncar(2006), Projections of global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from 2002 to 2030, PLoS Medicine, Vol.3(11);e442.
    3. H.Y. Koo(2002), The Educational Needs of Families with Respiratory Infected Children and the Degree of Nurses' Educational Performances Perceived by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ol.8(3);281-290.
    4. Y.S. Moon(2007), A Study on the Stress and Coping Effort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ol.10(2);147-157.
    5. M.H. Sung, S.H. Lee, K.C. Tak(2003), Stress and Coping Patterns in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7(2);217-232.
    6. M.S. Kim, K.W. Baek, S.R. Choi, S.W. Lee, H.S. Jang(2003), The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and belief of parental role for admitted children's moth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9(1);91-101.
    7. E. Jeong, I.S. Kwon(2017), Effect of Caregiver's Role Improvement Program on the Uncertainty, Stress, and Role Performance of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Child Health Nurse Research, Vol.23(1);70-80.
    8. H.O. Bae, S.R. Suh(2001), Effect of Structured Information Provided on Knowledge and Self Care Behavior of Liver Cirrho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Vol.13(3);476-485.
    9. G.S. Kang, E.M. Jun(2010), The Effects of the Video Education Program on the Residual urine, Gas Passing and State Anxiety of Hysterectomy Pati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16(4);409-418.
    10. Y.I. Park, M.H. Jun(2000), The Effect of a Self-Regul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s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0(5);1303-1317.
    11. S.I. Kwon, S.Y. Gu(2014), The effects of fathers’ education about infants using smartphones to parents’ sense of competence and parenting attitud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Vol.15(4);519-545.
    12. I.G. Kim(2015), The effects of video learning program for infection control by tablet PC on knowledge, performance of infection management, and uncertainty for the primary caregivers of VRE patients[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National university.
    13. Y.J. Kim, H.Y. Kang(2016), Effects of Early Exercise Education using Video on Exercise Knowledge and Compliance of Elderly Patients Who Undergo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2(3);316-325.
    14. M.Y. Yi(2006), Effects of the educational session of infant respiratory disease management of mother's performance level[master's thesis]. Gwangju: Cwonnam National university, 50-59.
    15. O.N. Yoo(1998), A study on the stress of cleft-lip and cleft-palate children’s mothers and their coping efforts[master’s thesis]. Seoul: Hanyang National University, 1-98.
    16. B.M. Melnyk(1994), Coping with unplanned childhood hospitalization: effects of informational interventions on mothers and children, Nursing research, Vol.43(1);50-55.
    17. D.Y. Won(1999), Effects of Information on Infiltration Treatment on Parent's Responsivenes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59.
    18. J.M. Lee(2016),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Nebulizer therapy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children[master’s thesis], Chunchon: Hallym University, 1-61.
    19. H.R. Park(2016), The Knowledge and Practice on Fever Management of Mothers with Children under Preschool Age at Home[master’s thesi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88.
    20. K.M. Yi(2009), Effects of Information on Management Practices for Children Suffering from Respiratory Communicable Disea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15(3);291-298.
    21. K.S. Kang, E.Y. Kim(2017),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about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by Child Care Center Teachers about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10);315-326.
    22. M.Y. Jung, I.K. Hong, H.Y. Noh, H.S. Park, J.M. Son, J.H. Kim, S.Y. Kim(2015), Effects of Video-Based Information Provision on Anxie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Thyroid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oiodine Treatment, Korean Clinical Nursing Reaserch, Vol.21(1);11-20.
    23. Y.E. Lee, Y.S. Ha(1992),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act of an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primiparous mothers and enhance their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2(1);81-115.
    24. Hwang, B. D., & Kim, Y. J. (2018). Evaluation of Patient-Centered Healthcare Provision in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Based on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2(3), 1-11.
    25. K.D. Wright, S.H. Stewart, G.A. Finley, S.E. Buffett-Jerrott(2007),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o alleviate preoperative anxiety in children: A critical review, Behavior Modification, Vol.31(1);52-79.
    January 31, 2020
    August 6, 2020
    September 15, 2020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