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4 No.3 pp.31-45
https://doi.org/10.12811/kshsm.2020.14.3.031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Oriental Nursing Job Training Program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of oriental nurses and to develop an occup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them.


Methods:

The researchers reviewed literature and interviewed oriental medical professionals to construct an educational needs questionnaire. One hundred oriental nurs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e primary content validity test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ten experts, while the secondary content validity test was done with 50 oriental nurs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using SPSS 23.0 for Windows.


Resul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48 items of the educational needs questionnaire were constructed. After an analysis of 100 datasets obtained from educational needs survey, 37 items remained. Items of CVI below 0.80 were deleted and 33 items remained after two content validity tests.


Conclusions:

The oriental nursing job train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training of new oriental nurses in oriental hospital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인구 고령화로 만성⋅퇴행성 질환의 유병 률이 증가하면서 치유보다는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조절과 유지가 중요해지면서 한방의료에 대한 가치 가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의료 현장에서 양·한방 협진 형태의 진료를 받은 환자들 가운데 84%가 긍 정적인 반응을 보인 사실에서 소비자인 환자들의 한방치료에 대한 만족이 높음을 알 수 있다[1].

    2018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018년도 4분기 한방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는 1,861명으로 2010년 1,380명, 2016년 1,457명에 비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2]. 한방병원을 이용하는 대상자가 양적으로 늘어나면서 한방간호 인력의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양적, 질적으로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나 고 있다[3]. 현재 우리나라의 간호는 서양철학에 기반을 두고 성장하면서 서양철학 중심의 간호모 델을 가지고 간호사의 역할 정립과 간호직무체계 를 정립함에 따라 동양철학을 기초로 한방과 간호 를 연결시킨 한방간호 실무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한방간호 직무교육의 실태 조 사에 따르면 한방 관련 교과목은 전국적으로 과반 수도 안 되는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대학마다 이수학점과 교육내용에 차이가 많았다[4]. 간호사 의 43~56%가 학부 과정에서 한방간호 직무교육을 받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5].

    한방병원에서 자체적으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방간호 실무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한방전문간호사 수련 과정이 있으나 참여율이 저조하며, 한방간호 와 관련된 간호사 보수교육 또한 년 1회 집체교육 만 실시되고 있어 한방간호 실무지식을 발전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6]. Baek의 연구[7]에서 한방간호 사가 임상에 있으면서 한방과 관련된 직무교육 혹 은 세미나를 받은 시간은 ‘없다’가 23%, '30시간 이 상’이 17%로 전체 근무 기간 중 한방간호와 관련 된 교육 이수 시간은 30시간 이하가 대부분이었다.

    한방간호사는 한방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으로 인한 한의사와의 직무상의 갈등, 간호 전문직으로 서의 역할 갈등 등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가 높다 [8]. Hwang의 연구[9]에서도 한방간호 용어들이 양방병원에서 사용하지 않는 고유 용어로 되어있 어 간호 직무를 함에 있어서 한방간호 지식 부재 로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한방간호 지식의 부족은 한방간호사의 불만족을 야기한다[3]. 한방 간호사는 주로 중소병원에 근무하고 있으며 중소 병원 간호사는 취업 후 1년 이내 37%가 이직하는 실정이다. 간호사의 이직은 병원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10] 한방간호사의 직무만족 제고 를 위한 한방간호 지식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국내 문헌을 살펴보면 임상에서 요구하는 한방 간호 직무교육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 정으로 한방간호사가 대상자들에게 질적 수준이 높은 한방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한방 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 지침서 개발 등의 필요성 이 대두되고 있는 바이다. 기존의 한방간호 직무분 석은 대부분 양방간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11], 교육 요구도 조사는 오래되어 최근 급증하는 한방간호사들의 교육 요구를 반영하기에는 시대에 맞지 않고 최근에는 수행하지 않는 직무가 포함된 [12]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독자적인 한 방간호 직무를 중심으로, 최근의 한방간호 실무를 반영한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방간호사가 습득하여야 할 한방간호의 전문적 지식을 교육하기 위한 표준화 된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며 구체 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한방간호사의 한방간호 직무교육에 대한 요 구도를 파악한다.

    • 2) 한방간호사의 한방간호 지식 향상을 위한 직 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한방간호사를 대상으로 한방간호 직 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로서 교수체제설계의 대표적 모델인 ADDIE 모형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을 개념적 틀로 사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단계까지 진행하였다[13]. 분석단계에서는 한 방간호사와 관련된 문헌고찰과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요구도 조사 항목을 설정하였고, 설계단 계에서 프로그램 구성 항목의 1차, 2차 전문가 타 당도를 검정하였고 개발 단계에서 프로그램 구성 을 확정하였다.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문헌고찰을 통한 요구도 조사 예비항목을 구성 하기 위한 전문가 인터뷰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한방병원에 근무하는 한의사 2인, 한약사 1인, 한 방간호 경력 5년 이상 간호사 2인 등 총 5인이었 다. 한방간호 직무교육 요구도 조사는 2019년 9월 02일부터 9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B광 역시, U광역시, D광역시 소재 한방병원에 근무하 는 간호사로, 6개월 이상의 한방간호 경력을 가진 자를 편의추출로 선정하였다. 각 병원의 간호부서 장의 동의를 얻은 후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 발적으로 동의한 한방간호사 100명을 대상으로 연 구 목적과 조사 방법을 설명한 후 자료 수집을 진 행하였다.

    개발된 예비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 타당 도 검정을 위한 조사는 2019년 9월 16일부터 9월 27일까지 실시하였다.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 의 내용 타당도 평가는 2차에 걸쳐 이루어졌다. 1 차로 연구자가 개발한 예비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 로그램의 내용 타당도를 평가한 대상자는 한방간 호학 교수 1명, 한의학 박사 3명, 한약사 1명, 한방 병원 부서장 및 간호팀장 5명 등 총 10명을 포함 하였다. 전문가 합의를 거쳐 내용 타당도를 검정하 여 수정, 보완된 예비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 을 한방병원에서 한방간호를 수행한 경험이 있고 한방간호 근무경력이 5년 이상인 간호사 50명을 대상으로 2차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수집은 부경대학교 기관생명윤 리위원회(IRB 승인번호: 1041386-2 01908-HR-36-02) 의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 설문지에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기술하고 연구 참여 동의서를 첨부 하였다. 연구 참여 동의서에는 연구 참여에 자발적 으로 동의를 한 경우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연구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지 철회가 가능하다는 내용을 포함하였다. 밀봉봉투를 설문지 와 함께 배부하여 작성이 완료된 설문지 내용에 대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하였으며, 참여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조사 과정에서나 조사 내용 에 개인정보를 일체 요구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참여자의 신원을 알 수 있 는 자료 및 설문지는 연구자가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 보관함에 보관하며 논문 출판 이후 3년 동안 보관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폐기할 것이다. 자료수 집 시 연구 참여에 대한 감사 표시로 소정의 답례 품을 제공하였다.

    3. 연구 도구

    1)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등의 3문항 을 포함하였고, 근무 특성은 현재 근무 중인 병원 의 병상 수, 근무형태, 현 직위, 총 임상경력, 한방 간호 경력 등의 5문항을 포함하였다.

    2) 한방간호 직무교육 요구도 조사

    한방간호사에 대한 한방간호 직무교육 요구도는 연구자가 한방간호와 관련된 문헌고찰과 한의사 2 인, 한약사 1인, 한방간호 경력 5년 이상 간호사 2 인의 인터뷰를 통해 총 48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그런 다음 서로 관련된 항목을 묶어 ‘한방간호의 역사’, ‘한의학의 기초이론’, ‘인체의 한방적 이해’, ‘진찰과 변증’, ‘한방 치료법’, ‘양생과 조리’, ‘한방 과 간호’, ‘한방기구 및 환경관리’, ‘약재의 관리’, ‘외래환자 관리’, ‘병실에서의 한방 기초간호’, ‘응 급한방간호’, ‘기타’ 등 총 13개 영역으로 구성하였 다. 각 항목의 필요성을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 였으며 ‘전혀 필요하지 않다’ 1점부터 ‘매우 필요하 다’ 5점까지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점수가 클수록 교육의 요구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도 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6이었다.

    4. 자료분석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다음의 통계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한방간호 요구도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 2) 직무교육 프로그램의 타당도 검정은 평균과 CVI (Content Validity Index)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분석단계

    1) 개념적 준거 틀 개발과 요구도 조사 항목 선정

    한방병원의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조사 하기 위해 한방간호협회의 협조를 얻어 확인한 결 과, 협회에 등록된 상위 15개 한방병원에서는 자체 적으로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고, K병원에서만 자발적인 동의에 의해 유료 로 한방 전문 간호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문헌고찰[4, 14-21]을 바탕으로 한방간호사 직무교 육 요구도 조사를 위한 예비항목을 구성하였다. 예 비항목은 한의학의 발전 2개, 한의학의 기초이론 3 개, 인체의 한방적 이해 5개, 진찰과 변증 3개, 한 방치료법 8개, 약과 양생 조리 2개, 한의학의 특징 6개, 한방과 간호 5개, 한방기구 및 환경관리 5개, 약재의 관리 7개, 외래환자 관리 2개, 침구와 환자 관리 2개, 물리치료실 환자관리 4개, 환자의 조리 4개, 양생 4개, 조리양생 재료 5개, 병실에서의 한 방기초간호 3개, 변증간호 3개, 중병간호 1개, 처방 읽기와 간호기록 2개 등 총 20개 영역, 78개 항목 이 포함되었다.

    예비항목을 현재 한방병원에 근무 중인 한의사 2인, 한약사 1인, 한방간호 경력 5년 이상인 간호 사 2인의 인터뷰를 통해 보완하였다. 중복되는 한 방 생리학과 병리학은 제외하였고, 지압법과 도인 술은 기타요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중복되어 있 는 약과 양생 영역은 각 양생과 조리와 약재의 관 리에 포함하였다. 약첩 싸기와 약 달이는 법은 탕 전실의 고유 업무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자문단 모두 제외할 항목이라는 의견을 주어 수렴하였다. 한방보험 영역인 한방 상병과 한방의료보험 항목 은 자문단 5인 모두 필요한 항목이라는 의견을 주 어 포함하였다.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정리된 요구 도 조사 항목은 총 13개 영역과 48개 항목이었다.

    2) 요구도 조사와 직무교육의 예비 항목 선정

    요구도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대상자의 대부분이 여성이었고 (99%) 평균 연령은 31.65±4.80세이었으며 학력은 4 년제 대학교 졸업(56%)이 전문대학교 졸업(44%)보 다 많았다. 대상자가 근무 중인 병원의 규모는 200 병상 미만이 대부분이었고(89%) 근무 형태는 교대 근무(56%)가 상근(44%)보다 많았다. 대상자의 현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대부분이었고(94%) 총 임상 경력은 평균 7.27±4.37년, 한방간호 경력은 평균 3.64±3.32년이었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00)

    KSHSM-14-3-31_T1.gif

    한방간호사의 한방간호 직무교육 요구도의 전체 평균은 4.06±0.72점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응급 한방간호 4.44±0.67점, 한방과 간호 4.34±0.64 점, 외래환자 관리 4.23±0.69점 순으로 높게 나타 났다. 항목별 요구도 분석 결과 상위 3개 항목은 응급 한방간호(4.44±0.67점), 외래환자 관리 영역의 약복용법(4.40±0.65점), 침구치료법, 금기 환자, 침 맞는 자세, 발침(4.43±0.62점) 순으로 나타났다. 한 방간호사의 한방간호 직무교육 요구도 조사 결과 4점 미만을 나타낸 항목들을 제외한 총 12개 영역, 37개 항목을 직무교육을 위한 예비 항목으로 선정 하였다<Table 2>.

    <Table 2>

    Job Training Needs in Korean Oriental Nursing (N=100)

    KSHSM-14-3-31_T2.gif

    2. 설계: 타당도 검정

    본 연구단계에서는 한방간호학 교수 1인과 한의 학 박사 2인, 한약사 1인, 한방병원 간호부서장 및 간호팀장 6인등 총 10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 으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개발된 12개 영역, 37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예비항목에 대해 4점 척도를 사용하여 문항별 CVI를 계산하였다. 개발된 12개 영역, 37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예비 항목에 대해 4점 척도를 사용 ‘매우 적절하다’ 4점, ‘적절하다’ 3점, ‘적절하지 않다’ 2점, 매우 적절하 지 않다‘ 1점을 매기게 하였고 문항별 CVI를 계산 하였다. 본 도구의 항목별 타당도는 전체 37개 항 목 가운데 34항목이 0.80 이상의 전문가 합의를 나 타내었다. 0.80 이하의 내용 타당도를 나타낸 항목 은 예비항목에서 삭제하였다. 삭제된 항목은 한방 치료법 영역에서 ‘식료법’ 항목, 양생과 조리 항목 에서 ‘음식물의 성미와 조리’, 약재의 관리 항목에 서 ‘개념’의 3개 항목으로, 이들 항목이 한방간호사 의 한방간호 직무교육내용으로까지 표준화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전문가들의 판단을 수용하였다. 그 결과 1차 전문가 타당도가 검정된 한방간호 직 무교육의 교육내용에는 예비도구에서 3개 항목이 삭제된 12개 범주의 34항목이 포함되었다. 1차 전 문가 타당도를 거친 예비도구의 평균 CVI는 0.89이 었다.

    1차 전문가 타당도 검정 결과 잔존한 12개 영역, 34개 항목에 대해 한방간호 경력 5년 이상의 간호 사 50명에게서 2차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2차 전문 가 타당도 검정에서는 Downie & Heath[22]의 전 문가 수에 따른 유의수준 산출 시 최대 인원인 10 인의 유의수준 점수인 0.80을 기준으로 타당도 판 정을 하였고 1차 전문가 타당도에서 0.80 이하의 점수를 나타낸 항목을 제외한 34개 항목으로 실시 하였다.

    2차 전문가 타당도 조사에서 연구대상자는 모두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36.28±5.18세이었으며 최 종 학력은 학사(50%)와 전문학사(44%)가 대부분이 었다. 현재 근무하는 병원의 병상 수는 50병상~100 병상 미만이 66%, 100병상 이상~150병상 미만이 34%이었다. 대상자의 근무형태는 상근직이 60%, 교대근무가 40%였으며, 현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8%, 수간호사 이상이 22%이었다. 대상자의 총 임 상경력은 평균 11.48±3.96년이었고 한방간호 경력 은 평균 7.38±2.39년이었다.

    ‘약재의 관리’ 영역에서 ‘보험 제제와 비보험 제 제’에 대해서 전문가 타당도 0.74의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한방간호사가 보험과 비보험 제제의 부분까지는 직무에서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 로 파악되어 삭제하였다. 나머지 영역의 세부항목 에 대해서는 모두 0.80 이상의 2차 전문가 타당도 를 나타내었고 평균 CVI는 0.95이었다. 따라서 2차 전문가 타당도가 검정된 한방간호사를 위한 한방 간호 직무교육의 내용은 12개 영역 33개 항목이 되었다<Table 3>.

    <Table 3>

    Expert Validity Test

    KSHSM-14-3-31_T3.gif

    연구 대상자의 교육 방법에 대한 의견조사 시 일회 교육 시 적절한 시간은 1시간~2시간 미만이 35명 70%, 교육 횟수는 분기별 1회가 41명 82%, 교육방식은 인터넷을 활용한 사이버 교육이 33명 66%, 평가방법으로는 자가 평가가 28명 56%로 가 장 높게 나타났다<Table 4>.

    <Table 4>

    Group Education Method (N=50)

    KSHSM-14-3-31_T4.gif

    3. 개발: 최종 프로그램 구성과 확정

    2차 전문가 타당도 조사 시 교육방법에 대한 조 사에서 1회 교육에 적합한 시간이 1~2시간 미만, 년 교육 횟수는 4회, 교육 방법으로는 인터넷을 활 용한 사이버 교육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난 결 과를 바탕으로 연 1회 8시간 미만의 한방간호 보 수교육 프로그램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어 8시간 의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헌고찰에서 한방간호, 양생과 조리, 응급 한방 간호 항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문헌에 내 용 포함률이 70% 이상을 나타내었고, 한방간호사 를 대상으로 한 요구도 조사에서 모든 항목이 4.0 이상의 높은 요구도를 보여 학습내용의 우선순위 는 대부분 높다고 생각되고, 응급 한방간호 영역은 문헌 내용 포함률이 낮았으나 전문가 인터뷰 시 전문가 대부분이 현재 실무에서 중요한 영역이라 는 의견을 수렴하여 교육 시간을 배정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차시와 시간 배정은 1차시, 한방 간호의 역사와 한의학의 기초이론은 기초적인 영 역이기 때문에 본격적인 한방간호 직무교육을 시 작하기 전에 기초적인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첫 번째 차시로 배정을 하였다. 인체의 한방적인 이해 와 진찰과 변증 영역은 한방 치료법을 알기 전 한 의학적인 이론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 생 각되어 두 번째 차시에 배정을 하였다. 한방치료법 은 실제 한방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치료이기에 교 육의 필요성이 높으므로 세 번째 차시로 배정하고 시간도 단독으로 1시간을 배정하였다. 한의학적인 이론과 치료법들을 이해한 후 한방간호의 용어와 한방간호 수행에 필수적인 양생과 조리를 네 번째 차시로 배정하였다. 약재와 한방 기구 및 환경관리 영역은 환자관리를 교육하기 전 선수지식으로 필 요하기 때문에 다음 차시에 1시간을 배정하였다. 환자 관리는 한방간호사들이 주로 수행하는 직무 에 대한 교육이기에 환자 관리로 묶어서 2시간을 배정하였다. 환자관리 안에 외래환자와 병실환자 관리를 포함하였다, 학습내용이 많기 때문에 구치 료와 부항치료를 함께 묶었고 2시간을 배정하였다. 응급간호 영역은 문헌고찰에서는 낮은 빈도를 나 타냈지만 전문가 인터뷰에서도 현재 매우 중요시 되는 항목이고 요구도 조사에서 4.0 이상의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기에 매우 필요한 항목이라 판단 되어 1시간을 배정하였고 앞선 차시에서의 교육내 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마지막 차시로 배정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7차시 8시간의 한방간 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구성 내용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Composition of the Occup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Oriental Nurses

    KSHSM-14-3-31_T5.gif

    Ⅳ. 고찰

    본 연구에서는 한방간호사들에게 한방간호 전문 지식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일반 한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방간 호 직무교육 요구도를 파악한 후, 이를 근거로 한 방간호사를 위한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한방간호협회의 협조를 얻어 협회에 소속된 상 위 15개 한방병원의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 을 조사한 결과, 자체적으로 한방간호 직무교육을 진행하는 기관은 없었기에 문헌고찰을 통해 한방 간호 직무교육내용의 개념적 준거 틀을 개발하였 고 각 영역별로 교육에 포함해야 할 대표 항목을 실제 한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한의사 2인, 한 약사 1인, 한방간호 경력 5년 이상 간호사 2인의 자문을 통해 현재 한방간호에 있어 주로 교육되어

    야 하는 내용을 구성하여 교육 요구도 조사에 활용하였다. 일반 한방간호사를 대상으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한방치료법 영역(1개 항목), 양생과 조리 영역(2개 항목), 한방기구 및 환경관리 영역(3 개 항목), 약재의 관리 영역(1개 항목), 외래환자 관리 영역(2개 항목), 병실에서의 한방 기초간호 영역(1개 항목), 기타 영역(1개 항목) 등 총 11개 항목이 평균 4점 미만을 나타내어 예비항목에서 삭제하였다. 이들 항목은 한방간호의 영역이기보다 는 한의사나 한약사의 전문 영역에 해당되며, 현직 한의사도 잘 활용하지 않을 정도로 임상 실무에서 활용도가 낮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1차 전문가 타당도에서 한방치료법(1개 항목), 양생과 조리(1개 항목), 약재의 관리(1개 항목) 영 역에서 총 3개 항목이 CVI 점수 0.8 미만으로 낮 게 나타나 삭제하였다. 한방치료법, 양생과 조리, 약재의 관리는 일반 한방간호사가 실제 직무에서 거의 활용하지 않는 내용이며 특히 개념적인 부분 은 전문성과 난이도가 높은 내용이어서 일반 한방 간호사가 습득하기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인 것 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Baek[7]은 한방간호사에게 ‘한방 식이요법학’이 필요한 내용이라 제안하였고, 동서간호연구소의 한방간호 직무교육 과정에서도 ‘한방 약물에 대한 이해’ 항목을 교육내용으로 포 함하였다. 이는 한방 약물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필요하지만 임상에서는 직접적인 활용도 가 낮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실제 환자 들에게 복용법 이외에도 한방 약물의 효과와 부작 용 및 대처방법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한방 약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교육내용에 포함될 필요 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방간호사에게 교육될 필요가 있지만 0.9 미만 의 낮은 타당도를 보인 항목을 살펴보면 1차 타당 도 조사에서는 한의학의 기초이론(3개 항목), 인체 의 한방적 이해(2개 항목), 진찰과 변증(2개 항목), 침구요법(1개 항목), 한방과 간호(1개 항목), 한방기 구 및 환경관리(2개 항목), 약재의 관리(1개 항목), 외래환자 관리(3개 항목), 병실에서의 한방 기초간 호(1개 항목) 등 총 16개 항목이었다. 한방간호사 가 한의학의 기초이론과 한의사의 진찰과 변증에 대한 타당도를 낮게 평가한 것은 현재 한방간호사 에게 한의사의 진료를 보조하는 직무가 주로 강조 되고 환자 교육에 대해서는 간과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 생각된다[23]. 한편 2차 타당도 조 사에서는 한의학의 발전 항목만 0.9 미만으로 나타 났는데 이는 2차 타당도 조사가 실제 한방병원에 서 근무하는 한방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이들이 직무에 직접적인 관련이 적은 항목에 대해 낮게 평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의 학이라는 한국의 고유 의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의학의 발전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며 나 머지 대다수 항목은 한방간호 직무에 필수적인 항 목으로 생각되므로 교육내용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2차 타당도는 한방간호 경력 5년 이상의 간호사 50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는 한방간호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 일반간호사의 입장에서 한 방간호 직무에 활용되고 필요한 교육내용인지 파 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각 영역에서 2 차 타당도가 0.95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낸 항목 은 한방간호의 역사(1개 항목), 인체의 한방적 이 해(1개 항목), 진찰과 변증(3개 항목), 한방 치료법 (4개 항목), 양생과 조리(1개 항목), 한방과 간호(2 개 항목), 약재의 관리(1개 항목), 외래환자 관리(5 개 항목), 병실에서의 한방 기초간호(2개 항목), 응 급 한방간호(1개 항목)의 21개 항목이었다. 특히 응급 한방간호는 2차 타당도 분석에서 1.0으로 나 타났으며 대부분의 문헌에서도 교육내용으로 포함 되었으므로[17]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 내용 으로 매우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0.80 미 만의 타당도 점수를 나타낸 교육내용은 약재의 관 리 영역 중‘보험 제제와 비보험 제제’항목이었으며 교육 프로그램에서 제외하였다. 이는 보험 심사팀 이나 원무팀의 직무로 분류되어 한방간호사들이 잘 접하지 않는 직무에 해당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방간호사 직무교육 프로 그램은 12개 영역과 33개 항목으로 타당도가 검정 되었고 교육방법에 대한 조사에서 연 4회, 회당 1~2시간, 인터넷을 활용한 사이버 교육에 대한 선 호가 높게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연 8시간 미만 의 한방간호 보수교육 프로그램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어 최종적으로 7차시, 8시간의 한방간호 직 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2차 타당도 검정에서 보험 제제와 비보험 제제와 관련된 내용이 삭제되었으 나 한방병원 자문단과 인터뷰에서 건강 보험에 관 한 교육이 요구된다고 모두 제안하였기 때문에 한 방 건강보험에 관한 교육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한 다. 한방의료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이 계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므로 환자나 가족의 한방의료 선택 권을 옹호하기 위해서는 건강보험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므로 차후 교육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거나 개선할 때 참고하면 유용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 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한방병 원의 수간호사나 일반 한방간호사가 담당하기에는 그 내용이 광범위하고 전문적이어서 한방간호 직 무교육을 전담하는 교육간호사를 두어 일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현재 한방간호와 관련된 체계적인 직 무교육 프로그램이 미흡한 상황에서 교육 요구도 조사와 두 차례의 타당도 조사를 거쳐서 한방간호 사에게 제공할 수 있는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 로그램은 한방병원 경력 간호사이지만 한방간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경험이 부족한 간호사 들에게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한방병원에 배치된 신규간호사들의 적응을 돕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 각된다. 한편 한방간호 직무교육 요구도 조사를 일 개 지역의 한방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므로 요구도 조사 결과를 전체 한방간호사들 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따른다. 한방간호 직 무분석에 근거하지 않은 점과 한방간호 기술을 포 함하지 않은 점도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으 로써의 제한점으로 생각된다.

    Ⅴ. 결론

    본 연구 결과, 임상 실무에서 근무하고 있는 한 방간호사들의 체계화된 직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한방간호 지식 영역에 대한 요구가 우선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 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은 한방간호에 입문한 간호사에게 직무에 필요한 한방간호 지식 교육을 향상시키는데 체계적이라고 판단하며, 임상에서 교 육의 기초로 활용될 뿐 아니라 한방간호 보수교육 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한방간호사를 위한 한 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은 한방간호사들이 습득 해야 할 한방간호에 대한 전문적 지식에 대한 교 육내용을 표준화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라 생각하 며 다음을 제언한다.

    • 1)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 그램을 한방간호협회의 보수교육으로 제공한 후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 2) 한방간호협회에 소속된 15개 한방병원 외에 도 전체 한방병원에 한방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 에 대한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 3) 한방간호의 직무 발전을 위해서는 한방간호 직무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교육 전담 간호사의 인력 개발이 필요하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00)

    Job Training Needs in Korean Oriental Nursing (N=100)

    Expert Validity Test

    Group Education Method (N=50)

    Composition of the Occup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Oriental Nurses

    Reference

    1. E.J. Lee, H.S. Park, S.Y. Lee, D.J. Bae, T.G. Lee, H.K. Shin(2012), Recognition of Medical Doctors Employed to University Hospital on the Cooperative Medical System between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s,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ol.33(3);298-305.
    2. Statistics Korea(2019), Number of Patients by Type of Medical Institution,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30_001&conn_path=I2
    3. J.S. Lee, H.K. Kim, G.C. Park(2015), The Effects of Role Conflict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of Oriental Medicine Hospital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5(3);241-251.
    4. J. Lee, H.K. Lee(2011), Importance and Usability Analysis of the Oriental Nursing Educational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7(3);376-386.
    5. H.S. Park, S.H. Shin(2017), The Relationships of Korean Medicine (KM) Nursing Knowledge, Nursing Practice and Role Conflict with Retention Intention in KM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23(2);160-170.
    6. Korean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Nurses(2018), OHNA(Oriental Hospitals Nurses Association) Education, Available form http://ohna.or.kr/edu/program.php
    7. J.Y. Baek(2001),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System for Oriental Nurse-Specialis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7(2);275-284.
    8. M.R. Song, J.S. Lee(2003), A Study o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0(3);316-325.
    9. J.I. Hwang(2011), Nursing Problems in Oriental Nursing Practice Based on Nursing Documentatio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7(1);66-70.
    10. Korea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2019), Nurse Turnover Survey, Available form http://bogun.nodong.org/xe/khmwu_5_4/543250
    11. M.J. Kim, M.H. Kim, H.S. Jeong, Y.S. Kim(2015), Analysis of the Job of Nurses Working on Oriental Medicine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1(4);341-353.
    12. Y.H. Chung, J.S. Kim, J.H. Kim(2004), Nursing Practice and Knowledge Need for Oriental Nursing among Nurses Working at Oriental Medicine Hospitals, The Journal of Dongshin University, Vol.14;245-268.
    13. M. Molenda(2003), In Search of the Elusive ADDIE Model, Performance Improvement, Vol.42(5);34-37.
    14. S.H. Jeon, M.H. Lee, T.O. Jung, B.H. Kim, S.K. Ahn, K.H. Kang, et al.(2009), Fundamental of Oriental Nursing, Seowon Media, pp.1-333.
    15. W.O. Kim, S.H. Jeon, M.H. Jang, H.J. Lee, I.S. Roh(2011), The Clinical Practice of Oriental Nursing Care, Seowon Media, pp.1-94.
    16. H.Y. Lee, K.B. Kim, K.J. Cho, H.S. Shin, K.J. Kim, H.J. Moon, et al.(2000), A Need Assessment on Establishment of Ori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5(1);90-101.
    17. D.H. Ok(1994), Introduction to Oriental Nursing Care, Eui Seong Dang, pp.1-268.
    18. D.H. Ok(2000), A Study on Nurses’ Role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 Care,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pp.1-85.
    19. Oriental Nursing Research Group(1998), College Oriental Nursing, Hyunmoonsa, pp.1-349.
    20. H.S. Shin(1994), Theory Construction of Oriental Nursing: A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4(3);327-344.
    21. M.J. Wang, J.H. Kim, Y.H. Kim, S.N. Paik, N.H. Cha, J.A. Kim, et al.(2004), A Study of Educational Situation, Operation, and Cognition of Oriental Nursing,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0(1);126-135.
    22. N.M. Downie, R.W. Heath(1974), Basic Statistical Methods(4th ed), Harper and Row, pp.1-367.
    23. K.H. Yang, G.W. Lee(2009), An Analysis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Situation for Development of Ori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5(1);5-14.
    June 29, 2020
    August 6, 2020
    September 27, 2020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