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2 No.2 pp.15-26
https://doi.org/10.12811/kshsm.2018.12.2.015

당뇨병 환자의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 관련요인: 2013 지역사회건강조사

오지혜1, 이영훈2‡
1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원광의과학연구소

Factor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Dental Treatments Performed by Unqualified Dental Practitioners in Diabetes Mellitus: Results from The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Ji-Hye Oh1, Young-Hoon Lee2‡
1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2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Institute of Wonkwang Medical Science,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unqualified dental practice.


Methods :

We interviewed 19,961 adults aged 30 years and over using the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To determine the independent factors related to experience of unqualified dental practice,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calculat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experience of dental treatment by unqualified dentis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older people, families with less than 1 million won household income. It was lower scores in diabetes health education while The worse the subjective oral health and the required dental ca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dental treatment.


Conclusions :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unqualified dental practice was higher in diabetes patients from vulnerable classes, such as women, the elderly, and those with poor educational background or low income.



    Ⅰ 서론

    당뇨병(Diabetes)은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만 성질환으로 제1형은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되지 않고, 제2형은 췌장의 인슐린 생성 능력이 저하되 는 것으로 분류한다. 인슐린이란, 혈중 포도당 (glucose)을 인체가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 절하는 호르몬으로 심장, 혈관, 눈, 신장 및 신경을 손상시켜 장애와 조기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세 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당뇨병 의 증가 원인을 과체중과 비만의 증가로 보고하였 고, 모든 유형의 당뇨병에서 신체 여러 부분의 합 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만성질환으로 규정 하였다[1]. 2016년도에 보고된 국민건강통계에 따 르면 만 30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2001 년부터 2016년까지 증감을 반복하였고, 성별로 남 자가 14.2%, 여자가 11.3%로 남자가 2.9% 더 높았 다[2].

    치주질환은 치주조직이 파괴되어 결합 조직의 손상, 치조골의 상실, 치주낭 형성을 특징으로 하 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성인의 치아 상실의 주 된 원인이다. 치주질환의 원인은 구강미생물, 유전, 흡연, 음주, 당뇨병, 스트레스 등으로 보고되어 있 다[3]. 2015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치주질환 유병률이 만 30세 이상에서 2007년 42.5% 이후 꾸 준히 감소하다 2013년부터 증가하여 2015년에는 35.4%이었고, 젊은 연령대인 30대에서 치주질환 유 병률이 남자 16.5%, 여자 14.5%는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4]. 특히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 조절의 실패와 치주질환의 위험 증가는 양방향으로 관계 가 있음이 규명되었다[5]. Chaudhari et al.[6]은 당 뇨병 환자가 치과 수술 및 발치 경험이 높다고 보 고하였다. 국내연구에서도 Ku et al.[7]은 당뇨병 소견에서 치주건강상태와 관계가 있다고 하였고, 당뇨병뿐만 아니라 공복혈당장애에서도 치주질환 의 위험도가 높다고 하였다[8]. Kim et al.은 당뇨 병의 유병기간이 거듭될수록 치과 이용 빈도가 증 가함을 보고하였고[9], Han et al.은 당뇨병환자에 서 의치필요성, 구강기능 제한, 저작불편 호소를 보고하였다[10].

    이렇게 당뇨병 환자에서 치과치료는 필수이며, 발치 등과 같이 치아상실의 경우 보철치료는 당연 히 따르는 결과이나 치과영역에서 크라운(Crown) 및 가공의치(Bridge)와 같은 보철은 건강보험에 해 당되지 않아 치료비의 부담이 크다. 이와 같은 이 유로 최근에 60대 노인에게 반값 진료로 유인하여 무면허 치과영업을 한 업자들이 구속되는 사건이 있었다[11].

    그동안 치과 무면허 불법 시술에 관련하여 연구 가 선행되었고, 그 결과 고연령, 도시 이외 거주, 낮은 교육수준, 미충족 치과치료 경험, 틀니 및 보 철사용이 관련요인으로 보고되었다[12][1314][15]. 하지만 치과이용빈도가 많은 당뇨병 환자에서 이 와 같은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서 치과시술 중 무자격자 치과시술 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이를 근절하 고, 치과에서의 진료를 위해 접근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한 지역사회건 강조사 중 설문 항목에서 가장 최근에 ‘무자격자에 의한 치료 경험’에 대한 항목이 있는 2013년도 원 시자료를 이용하였다.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는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18개 영역의 258개 문항으로 구성된 조사표를 이용하였으며, 조사 완 료된 대상자는 228,781명이었다. 조사는 전문적으 로 훈련된 조사원이 표본가구를 방문하여 노트북 컴퓨터에 탑재된 전자조사표를 이용하여 조사대상 자와 1:1 대면면접에 의한 간접기입식 방법으로 수 행되었다. 본 연구는 당뇨병 의사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 30세 이상 성인 20,84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 며, 분석에 활용된 변수값이 결측(응답거부 또는 모름)된 887명을 제외한 19,961명을 최종 분석 대 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원광대학교 생명윤리위 원회 심의를 거쳐 수행하였다(IRB no. WKIRB-201708-SB-057).

    2 연구 변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거주지역, 교 육수준, 혼인상태, 직업, 가구소득, 국민기초생활수 급 여부를 포함하였다. 연령은 만 나이를 기준으로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및 70세 이상으 로 분류하였다. 거주지역은 대상자의 거주지 주소 를 기준으로 읍·면 및 동으로 구분하였다. 교육수 준은 최종학교 졸업을 기준으로 무학, 초등학교 졸 업, 중학교 졸업,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혼인상태는 결혼 여부 및 배우자 유무 에 따라 유배우자, 이혼·별거, 사별, 미혼으로 구분 하였다. 직업은 한국표준직업분류에 따라 조사된 직업분류 변수를 활용하여 전문행정관리직(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사무직(사무종사자), 판매 서비스직(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농어업(농·림· 어업종사자), 기능단순노무직(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단순노무종 사자), 기타(직업군인, 학생·재수생, 주부, 무직)로 분류하였다. 가구소득은 최근 1년 동안 월 평균 가 구소득을 기준으로 100만원 미만, 100-199만원, 200-299만원, 300-399만원, 400만원 이상으로 구분 하였다. 국민기초생활수급 여부는 수급권자와 비수 급권자로 구분하였다.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관련 특성은 흡연상태, 음주빈도, 체질량지수, 의사진단 경험(고혈압, 당뇨 병, 이상지질혈증)과 함께 당뇨병 현재 치료, 당뇨 병 교육, 당뇨병 합병증 검사(안저검사, 미세단백뇨 검사)를 포함하였다. 흡연상태는 비흡연, 과거흡연, 현재흡연으로 구분하였으며, 음주빈도는 최근 1년 동안 술을 얼마나 자주 마셨는지를 기준으로 비음 주, 월 1회 이하, 월 2-4회, 주 2-3회, 주 4회 이상 으로 구분하였다.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에 따라 저체중(<18.5), 정상(18.5-24.9), 비만(≥25.0)으 로 분류하였다.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에 대 해 의사에게 진단받은 적이 있는 지를 확인하였다. 당뇨병에 대해 인슐린, 경구 혈당강하제, 비약물치 료(운동, 식사요법) 등의 현재 치료 여부를 확인하 였다. 당뇨병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병의원, 한방병의원 또는 보건기관)을 받은 적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당뇨병 합병증 검사는 최근 1년 동안 안저검사 및 미세단백뇨검사를 받은 적이 있는 지 를 확인하였다.

    구강건강 지표는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 치실 및 치간칫솔 사용, 필요 치과진료 미수진 경험, 구 강검진, 스케일링 여부 및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 (이하 ‘무자격시술경험’)을 평가하였다. 주관적 구 강건강 수준은 좋은 편(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 쁜 편(나쁨, 매우 나쁨)으로 구분하였다. 치아 건강 을 위해 치실 혹은 치간칫솔의 사용 여부를 확인 하였다. 필요 치과진료 미수진 경험은 최근 1년 동 안 치과진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나 진료를 받지 못한 적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최근 1년 동 안 구강건강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구강검진을 받 은 적이 있는지와 스케일링(치석제거)을 받은 적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무자격시술경험은 치과가 아 닌 곳에서 무자격자에 의한 치과시술(무자격)을 받 아 본 적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3 자료 분석

    통계분석은 SPSS for Windows 2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변수는 빈도(백분율)로 제시하였다. 각각의 변수에 따른 무자격 시술경험 여부는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무자격시술경험과 관련된 독립적인 요 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 용하여 교차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 (confidence interval, CI)을 구하였다. 단변량분석 (카이제곱검정)에서 무자격시술경험과의 관련성이 유의(p<0.01)한 변수들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포 함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당뇨병 환자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무자격시술경험

    전체 대상자 19,961명 중 무자격시술경험이 있 는 사람은 4,520명(22.6%)이었다. 여성(26.4%)에서 남성(18.6%)에 비해 무자격 시술 경험률이 유의하 게 높았다(p<0.001). 연령이 증가할수록 무자격 시 술 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면서 70세 이상은 30.9%를 보였다. 읍·면 지역이 동 지 역에 비해 무자격 시술 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교육수준에 따른 무자격 시술 경험률은 대학교 이상에서 가장 낮았으며, 교육수준이 낮아 질수록 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아져서 무학에서 34.4%로 가장 높았다. 혼인상태에 따라서는 이혼의 무자격 시술 경험률이 31.9%로 가장 높은 반면, 미 혼에서 가장 낮았다(p<0.001). 직업에 따른 무자격 시술 경험률은 기타(26.0%)와 농어업(24.2%)에서 높은 반면, 사무직(7.4%)과 전문행정관리직(8.2%)에 서 낮았다. 가구소득에 따른 무자격 시술 경험률은 100만원 미만에서 30.0%로 가장 높았고 소득이 증 가할수록 무자격 시술 경험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의 무자격 시술 경험 률(27.4%)은 비수급자의 경험률(22.2%)에 비해 유 의하게 높았다(p<0.001)<Table 1>.

    2 당뇨병 환자에서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관련 특성에 따른 무자격시술경험

    흡연상태에 따른 무자격 시술 경험률은 현재흡 연자(22.5%)에서 가장 높았고, 비흡연자(23.8%) 및 과거흡연자(19.1%) 순이었다(p<0.001). 음주빈도와 무자격 시술 경험률은 U자형 관련성을 보이는데, 비음주에서 24.8%로 가장 높았고 주 2-3회 음주에 서 17.5%로 가장 낮았다. 정상체중의 무자격 시술 경험률은 21.9%였으며, 비만 19.8%, 저체중 34.0% 를 보였다(p<0.001).

    의사에 의한 고혈압 유진단자(24.4%)는 무진단 자(20.0%)에 비해 무자격 시술 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하지만, 이상지질혈증 의사진단 여부에 따른 무자격 시술 경험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06). 당뇨병 건강교육 무경험자(24.8%) 는 유경험자(18.1%) 에 비해 무자격 시술 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당뇨병 합병증 확인을 위한 미세알부민뇨 무검사자(23.1%)는 유검사자 (21.5%)에 비해 무자격 시술 경험률이 유의하게 높 았다(p=0.015). 하지만, 안저검사 무검사자의 무자 격 시술 경험률은 유검사자에 비해 경계역에서 유 의하게 높았다(p=0.072)<Table 2>.

    3 당뇨병 환자에서 구강건강 지표에 따른 무 자격시술경험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에 따른 무자격 시술 경험 률은 나쁜 편(28.7%)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보 통(15.8%)과 높은 편(10.1%) 순이었다(p<0.001). 치 실 및 치간칫솔 무사용자(23.8%)는 유사용자(15.7%) 에 비해 무자격 시술 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필요 치과진료 미수진 유경험자(31.0%)는 무경험 자(20.0%)에 비해 무자격 시술 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구강검진 무경험자(24.4%)는 유경 험자(16.2%)에 비해 무자격 시술 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스케일링 무경험자(24.8%)도 유 경험자(14.6%)에 비해 무자격 시술 경험률이 유의하 게 높았다(p<0.001)<Table 3>.

    4 당뇨병 환자에서 무자격시술경험과 관련된 요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무자격 시술 경 험의 유의한 관련요인을 확인하였다<Table 4>. 분 석에 포함된 변수를 모두 보정한 상태에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흡연상태, 음주빈도, 체 질량지수, 당뇨병 건강교육,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 필요 치과진료 미수진이 무자격 시술 경험과 독립 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남성에 비해 여성의 무자격 시술 경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OR 1.49, 95% CI 1.31-1.69). 30-39세에 비해 50-59세, 60-69세, 70 세 이상의 무자격 시술 경험 위험이 각각 2.22배, 3.40배, 4.28배 유의하게 높았다. 대학교 이상을 기 준으로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무자격 시술 경험 위 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무학의 OR은 2.87 (95% CI 2.33-3.54)이었다. 가구소득 400만원 이상에 비 해 100만원 미만의 무자격시술경험 위험이 유의하 게 높았다(OR 1.19, 95% CI 1.05-1.35).

    비흡연자에 비해 무자격 시술 경험 위험이 과거 흡연자 1.51배, 현재흡연자 1.38배 유의하게 높았 다. 정상체중에 비해서 저체중의 무자격 시술 경험 위험은 1.14배 유의하게 높았다. 당뇨병 건강교육 을 받은 사람은 받지 않은 사람에 비해 무자격 시 술 경험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OR 0.77, 95% CI 0.71-0.84).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이 좋은 편을 기 준으로 무자격 시술 경험 위험은 보통 1.52배, 나 쁜 편 2.45배 유의하게 높았다. 치과진료 미수진 유경험자는 무경험자에 비해 1.50배 무자격 시술 경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변수 보정 전 에는 비음주에 비해 모든 음주빈도 구간에서 무자 격 시술 경험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지만, 보정 후 에는 반대로 비음주에 비해 모든 음주빈도 구간에 서 무자격 시술 경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하 지만, 단변량분석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던 혼 인상태, 직업, 국민기초생활수급권, 의사진단 고혈 압, 당뇨병 합병증 검사(안저검사 및 미세단백뇨검 사), 치실 및 치간칫솔 사용, 구강검진, 스케일링은 무자격 시술경험과 독립적인 관련성을 보이지 않 았다.

    Ⅳ 고찰

    이 연구는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 용하여 당뇨병이 있는 지역사회 성인에서 무자격 자 치과시술 경험의 관련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고연령, 낮은 교육수준, 현재 및 과거 흡연, 저체중, 현재 음주, 당뇨병 건강교육 이수, 낮은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 필요 치과진료 미수진 경험이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을 유의하게 높이 는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

    최근에도 치과의사 면허 없이 시술하여 구속된 사례에서도 불결한 환경과 검증되지 않은 약품 및 멸균되지 않은 기구를 사용[11]하여 감염에 무방비 하게 노출될 위험이 컸다. 이렇게 노출된 감염사고 는 회복이 어렵거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지만, 불법의료행위에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보상을 받기 어려워 결과적으로 재 치료가 불가피하여 이중으 로 치료비가 발생하는 등 경제적인 손실이 가중된 다.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들 [13][14][15]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무자격자 치 과시술 경험이 유의하게 높게 보고되었고,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도 여성의 무자격 자 치과시술 경험이 유의하게 높아서 성별이 독립 적인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2015년 우리나라 전체 1인 가구의 50.2%가 여성 1인 가구였는데, 여 성 1인 가구 중 60세 이상이 43.2%를 차지하였다. 여성 1인 가구의 월 평균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56.9%였고, 60세 이상은 80.2%이었다[16]. 건강에 관심이 많은 여성이나 1인 가구가 늘어가고, 고용 에 따른 소득의 불안은 지출의 항목의 우선순위에 서 밀려났으며, 특히 보건의료비중 본인 부담이 많 은 치과치료라는 점이 무자격자라는 차선으로 선 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무자 격 치과시술 경험 교차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 는데, 특히 30대에 비해 60대와 70대는 교차비가 크게 증가하였다.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에서도 연령대가 높을수록 무자격자 치과시 술 경험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3][14]. 우리 국민의 경상의료비는 54세까지 일정 한 수준을 유지하다 노년으로 접어들면서 급격히 증가하는데[17], 최근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만 60 세 이상의 실업률은 전년에 비해 약 15%, 비경제 활동인구는 약 12%로 크게 증가하였다[18]. 이는 노인들에서 고혈압,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이 많이 이환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해야 하지만, 실업 및 비경제활동으로 인한 고정적 수입 의 저하로 인해 특히 본인부담금이 많은 치과치료 비의 부담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고령층에 서 의료기관보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낮은 무자격 자 치과시술을 많이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 위험도가 높아 Ok et al.[14]과 Kim et al.[15]의 연 구와 일치하였다. 이는 2004년부터 시행된 중학교 의무교육[19]으로 국민의 교육수준이 향상되고 있 는 가운데, 대개 교육수준이 낮은 고령층에서 무자 격자 치과시술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

    거주지에서 당뇨병환자의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 험은 변수를 보정하기 전에는 읍᠊면 지역에 비해 동 지역에서 교차비가 유의하게 낮았으나 보정 후 오히려 교차비가 1.18로 증가하여, Ok et al.[13]의 연구의 대도시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Kim et al.[15]의 연구와 차이가 있었다. 이는 지역별 인구 의 연령구조 중 동 지역에서의 고령인구 증가[20] 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1년 동안 월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가구를 기준 으로 변수 보정 전에는 299만원 이하의 소득이 있 는 가구에서 당뇨병 환자의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 험 교차비가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나 보정 후에는 가구소득이 100만원 미만에서만 유의미하였다. 이 는 소득이 낮을수록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이 유 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고하였던 Ok et al.[13] 의 연구와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치면열구전색(치아홈메우기, 2009-), 영유아구강검진(2012-),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2012-), 치석제거(2013-), 노인틀니(2012-)와 같은 정책이 시행된 결과로 보이며, 실제로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소득수준에 따른 구강건강의 지표 차이가 줄어든다고 하였다[21].

    한편 비흡연자에 비해 당뇨병 환자의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은 변수 보정 전에는 현재 흡연자만 이 교차비가 유의미하게 낮았으나 보정 후 과거 및 현재 흡연자 모두 유의하게 높아 Kim et al.[14]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또한 비음주에 비해 모든 음주에서 보정 전에는 유의하게 낮았으나 보 정 후 오히려 교차비가 유의미하게 높아 Ok et al.[13]과 Kim et al.[14]의 연구와 차이가 있었다. 이는 당뇨병이 치주질환과 밀접한 상호영향의 관 계로, 특히 흡연과 음주는 치주질환의 독립적인 요 인[7]으로 작용하여 당뇨병 환자에서 이를 조절하 지 않았을 때 치조골 손실에 의한 치아상실로 이 어져 그 결과 차선으로 무자격자의 치과시술을 선 택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저체중에서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 위험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는데, 이는 노인인구의 증가[20]로 예측해볼 수 있다. 노년기에 접어들면 식욕부진 등 에 따른 영양불균형으로 저체중을 유발하고 면역 력 감소로 이어져[24] 신체운동이 줄어든다. 또한 은퇴에 따른 외부활동의 감소와 고혈압 등과 같은 만성질환의 이환되어 특히 신체장애 등을 유발하 는 합병증[1]이 많은 당뇨병 환자에서 타인의 도움 을 받지 않으면 치과 방문이 어려워 무자격자를 선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당뇨병 건강교육 이수자에서 무자격 자 치과시술 경험 위험도가 유의하게 낮았는데, 이 는 당뇨병 교육이 합법적인 치과진료를 통한 구강 건강관리 실천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당뇨병은 건강교육을 통하여 생활습관, 치료 및 당뇨병 관리방법, 합병증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1]. 당뇨병 환자가 일정기간 마다 건강교 육을 받는다는 것은 그만큼 당뇨병에 대한 이해와 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합병증을 알 고 운동 및 식이조절을 통하여 혈당을 조절함으로 써 구강질환의 발생을 예방하고 진행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당뇨병 환자의 치주질환 진행을 늦 추고 치아상실을 최소화하는 등 전반적인 구강건 강관리를 위해서는 당뇨병 건강교육과정 가운데 구강건강관리 교육이 보다 중요하게 포함될 필요 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이 낮을수록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 교차비가 높아졌는데, 이 는 Kim et al.[12]의 연구와 유사하였으나 교차비 의 크기는 본 연구에서 모두 작았다. 지난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당뇨병 치료율이 2005 년에 비해 약 60%대를 유지하고 있고[2], 당화혈색 소 또한 평균 6.5% 미만으로 조절된다고 하였다 [23]. 이는 건강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본인 스스 로 건강의 문제점을 알고 치료 및 생활습관 등의 개선을 통하여 회복된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 력의 일환으로 보이며, 결과적으로 치주질환의 진 행으로 인한 치아상실을 최소화하여 무자격자 치 과치술 경험의 위험도가 낮아진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치과치료가 필요하나 미수진 경험이 있는 경우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 위험도가 높아 Kim et al. 의 연구와 일치하였다[14]. 저소득집단에서 고소득 집단보다 금전적인 이유로 치과 치료를 받지 않았 다는 보고와 함께 우리나라의 경우 가구소비 중 의료비 비율이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24]. 선 행된 연구[12][13][14]에 따르면 부정구강진료 경험 은 상실치아의 보철을 위해 노인층에서 많았다. 대 부분 비급여인 치과 보철치료는 상대적 빈곤율이 높은 만 66세 이상의 은퇴연령층[25]에서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부담이 되어 무자격자 치과시술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질병관 리본부에서 수행한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를 이용하여 면접에 의한 간접기입방식의 설문을 통한 자료 수집으로 무자격 치과시술 경험을 노출 시키고 싶지 않은 대상에서 실제와 달리 일부 누 락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둘째, 당뇨병 과 구강질환과의 관계에서 가장 큰 합병증은 치주 질환이나 치아상실과의 인과관계를 단면조사로 설 명할 수 없었다. 셋째, 그동안 무자격자의 처벌사 례는 많았으나 그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피해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아 문제점 인식 정도를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 로 부정구강진료의 관련요인[12][13][14][15]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만성질환 중 구강질환과 밀접한 관 계가 있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무자격자 치과 시술경험관련 요인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당뇨병 환자의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의 위험요인을 확인하였다. 향후 여성, 고연령, 저학력, 저소득층 등과 같은 사 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자격을 갖춘 자에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구강보건정책의 적극적인 홍 보 및 활용을 통하여 이들의 치아상실을 최소화하 고, 이들과 의료이용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의 료비 부담 경감과 같은 정책의 확대가 필요할 것 이다.

    V 결론

    본 연구는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 용하여 만 30세 이상 성인 19,961명을 대상으로 당 뇨병 환자의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 관련요인을 파악하였다. 관련요인을 살펴본 결과 남성을 기준 으로 여성에서 무자격자 치과시술 경험이 유의하 게 높았고, 50세 이상의 연령에서 경험이 높아지는 경향으로 특히 70대 이상(4.28배)에서 가장 높았다. 가구소득에서는 월 소득 100만원 미만(1.19배), 과 거 및 현재 흡연자, 현재 음주, 저체중, 주관적 구 강건강상태가 나쁠수록, 필요 치과진료 미수진 경 험이 있을수록 무자격자 치과시술경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하지만 당뇨병 건강 교육 이수자(0.77배)에 서는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당뇨병 환자에서 무자격자 치과시 술 경험은 사회적인 약자에서 높았다. 따라서 이를 근절하고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당뇨병 환자의 치 아상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국가에서 시행하 고 있는 성인구강검진을 통하여 검사 후 치료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의료이용이 높은 이들의 의료비 경감 등과 같은 정책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Figure

    Tab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ccording to Dental Treatments performed by unqualified Dental Practitioners

    Health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_related Factors according to Dental Treatments performed by unqualified Dental Practitioners

    Oral Health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Dental Treatments performed by unqualified Dental Practitioners

    Relating Factors for Dental Treatments performed by unqualified Dental Practitioners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ference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Global Report on Diabetes,, www.who.int/diabetes/publications/grd-2016/en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8) 2016 Korea Health Statistics 2 Tren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7th year.,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pp.198-200
    3. B.L. Pihlstrom , B.S. Michalowicz , N.W. Johnson (2005) Periodontal Diseases., Lancet, Vol.366 (9499) ; pp.1809-1820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6) 2015 Korea Health Statistics 2 Tren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6th year., Korea Centers for DiseaseControl and Prevention, ; pp.232-234
    5. L. Casanova , F.J. Hughes , P.M. Preshaw (2014)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 a Two-Way Relationship., Br. Dent. J., Vol.217 (8) ; pp.433-437
    6. M. Chaudhari , R. Hubbard , R.J. Reid , R. Inge , K.M. Newton , L. Spangler , W.E. Barlow (2012) Evaluating Components of Dental Care Utilization among Adults with Diabetes and matched Controls via Hurdle Models, BioMed Central oral health, Vol.12(1):12-20.,
    7. I.Y. Ku , S.J. Moon , K.H. Ka , M.S. Lee (2013) The Comparison between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the Findings of Hypertension and DiabetesDisease of some Workers.,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 (2) ; pp.81-91
    8. J.H. Won , M.N. Ha (2014) An Association of Periodontitis and Diabete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4 (2) ; pp.107-113
    9. Y.H. Kim , Y.J. Kim , S.R. Jeong (2016) Dental Care Utilization by Diabetics according to theKorea Health Panel Survey.,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40 (2) ; pp.105-111
    10. Y.J. Han , M.A. Han (2016) Oral health and Behavior by Diabetic Status: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Surve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6 (2) ; pp.233-240
    11. http://news.kbs.co.kr/To the Elderly Unlicensed Dental Care Arrest. html
    12. E.Y. Kim , K.O. Lim , S.W. Ham (2010) The Model Predicting Unqualified Dental Practitioners Experience Patter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1 (10) ; pp.3839-3845
    13. T.Y. Ok , M.K. Kim , D.H. Han , M.J. Kim , S.H. Jeong (2012) Factors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Illegal Dental Treatments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6 (1) ; pp.55-61
    14. H. Kim , V. Kim (2013) A study on illegal Dental Treat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3 (2) ; pp.211-220
    15. J.E. Kim , J.I. Jung , H.N. Kim , S.Y. Kim , E.J. Jun , M.J. Kim , S.H. Joeng , J.B. Kim (2014) Factor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Illegal Dental Treatments among Korean adults: The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8 (4) ; pp.254-262
    16. W.J. Hwang , H.W. Kim , Y.O. Yoon , Y.R. Kim (2017) 2017 Women's Life in Statistics., Statistics Korea, ; pp.1-36
    17. B.C. Ha , M.S. Yoon , Y.I. Im , B.S. Choi (2016)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2015., Statistics Korea, ; pp.16-23
    18. H.J. Bin , H.J. Son (2018) December 2017 and Annual Employment Trends., Statistics Korea, ; pp.32-35
    19. http://www.archives.go.kr/National Archives of Korea: Compulsory Education for Middle School. html
    20. J.W. Lee , M.S. Yoon , Y.I. Im (2018)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2016., Statistics Korea, ; pp.17-18
    21. First Phase 2017-2021 Oral Health Project Basic Plan. Html
    22. http://cdc.go.kr/CDC/info/Nutrient Intakes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html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6th year.,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pp.247
    24. (2016) OECD Korea policy centreAccessibility In: Social Policy Headquarters, Health at a Glance 2015 OECD INDICATORS, pp.122-124.,
    25. J.R. Kim , H.S. Jung (2017) 2016 Income Distribution Indicator., Statistics Korea, ; pp.1-9
    April 30, 2018
    May 25, 2018
    June 8, 2018
    downolad list view